김성집

덤프버전 :

김성집
金晟集 | Kim Seongjip


파일:external/guesthousejeonju.com/19daa83d85265ae93177e72b31732b76154243.jpg

출생
1919년 1월 13일
경기도 경성부 필운동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
사망
2016년 2월 20일 (향년 97세)
학력
청운공립보통학교[1] (졸업)
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상과 / 졸업)
종목
역도
체급
미들급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38호
1. 개요
2. 생애
3. 선수 경력
4. 은퇴 이후
5. 수상 기록
6.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역도선수. 현역 시절 별명은 미스터 올림피언이다. 1948 런던 올림픽 역도 종목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메달을 땄고, 1952 헬싱키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한국선수단 단장을 두 차례 역임했고, 18년 동안 태릉선수촌 촌장을 지냈다. 또한 택견의 마지막 전승자였던 인간문화재 송덕기의 생질이기도 하다. 그의 모친인 송석녀가 송덕기의 누나다.

2. 생애[편집]


1919년 1월 13일 경기도 경성부 필운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에서 아버지 김순정과 어머니 송석녀의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청운공립보통학교(現 서울청운초등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43년 보성전문학교 상과를 졸업하였다.

3. 선수 경력[편집]


휘문고등보통학교 2학년 때 대한민국 "역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서상천[2] 교사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했다. 당시 역도를 통한 민족정신의 고취에 앞장서고 역도를 통해 항일을 실천하던 서상천이 설립한 중앙체육연구소에 들어가 역도훈련을 시작하였다.

휘문고보 3학년 때에는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하기 시작했고, 1936년 5월에 개최된 일본선수권 대회 및 1936 베를린 올림픽 참가 선수 선발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일본인이 아닌 조선인이 입문 1년 만에 일본을 제패하고 여러 차례 비공인 세계신기록을 세우자 일본역도연맹은 아예 1936 베를린 올림픽 역도종목 출전을 포기했다.

1938년에도 올림픽 후보선수 선발전과 전일본 역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였다. 그러나 1940년 예정된 올림픽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무산되었다. 이로써 올림픽 메달을 향한 그의 꿈은 멀어지는 듯했다.

그러다가 일제에서 해방이 되자 전성기를 지난 30세의 나이로 1948 런던 올림픽에 참가했다. 역도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였다.[3] 그 후 1952 헬싱키 올림픽에서도 미들급에서 동메달을 따내 대한민국 올림픽 출전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하여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되는 기록을 남겼다.

1954 마닐라 아시안 게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고, 1956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38세의 노장으로서 5위에 입상하였다.

4. 은퇴 이후[편집]


4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한 후에는 대한역도연맹 전무이사, 부회장, 대한체육회 이사, 사무총장, 아시아경기대회 및 올림픽경기대회 임원으로 활약했다. 1968년부터 1974년까지 8년간 체육회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어떤 청탁이나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원칙대로 일을 처리한 덕분에 '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72 뮌헨 올림픽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는 한국선수단 단장을 역임했고, 체육회 사무총장에서 물러난 후에는 1976년부터 1994년까지 무려 18년 동안이나 태릉선수촌 촌장으로 국가대표 선수들을 육성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선수촌장 시절 '호랑이', '염라대왕', '시아버지' 등의 별명을 얻기도 했다. 태릉선수촌 지옥훈련으로 악명 높은 불암산 크로스컨트리가 그의 작품이다.[4] 영원한 '촌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모두 31개의 올림픽 금메달을 캐냈다.[5]

1970년에는 국민훈장 모란장을, 1984년에 체육훈장 최고등급인 청룡장을 수상하였으며 IOC에서도 올림픽 훈장을 수여한 바가 있다.

2016년 2월 20일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스포츠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점이 인정되어 2019년 10월 25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이장되었다.

5.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동메달
1948 런던
미들급
동메달
1952 헬싱키
미들급
세계선수권
동메달
1947 필라델피아
미들급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54 마닐라
라이트 헤비급


6. 여담[편집]


  • 한국일보의 스포츠 담당 기자이던 오도광(1937~2012)은 김성집이 올림픽 선수단 단장이던 시절 그를 항상 단장이라고 불렀다.[6] 평소 신문사 내에서 직급에 님을 안붙이고 국장, 부장 이라고 부르는 기자 특유의 습관 탓이었는지 모르겠으나 한참 연상인 김성집을 김 단장도 아니고 돌 단장이라 호칭하는 것에 주변 사람들이 눈총을 주곤 했지만 정작 당사자인 김성집은 허허 웃으며 받아주었고 아무런 지적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김성집이 태릉선수촌장이 되자 오도광의 호칭은 돌 촌장으로 바뀌었다고...

[1] 現 서울청운초등학교[2] 일찍이 유진 섄도우 사진을 보고 감화되어 이른바 '보디빌딩'의 세계에 눈뜬 바, 외국 서적 등을 필사적으로 참고하고 해외 각지에서 웨이트 기구들을 사들였다고 한다. 대표적 실력양성론자였지만 1930년대가 지나며 일제 선전 인사가 된 흑역사가 있지만. 그로 인해 한국에 중량 운동의 개념이 보급되고 후세들이 혁혁한 공과를 거둔 걸 생각하면 체육사에선 확실히 한 획을 그었다 하겠다.[3] 영국 BBC 방송 라디오 전파를 빌려 하루 15분씩 한국에 경기결과를 전하던 서울중앙방송국(現 KBS의 전신)의 민재호 아나운서는 방송 내내 흐느끼다시피 보도했다. 서울과 전국에서 난리가 났다. 3년 전 광복을 재현한 듯한 감동이었다.[4] 태릉선수촌은 불암산 아래에 있고 선수촌 바로 뒤가 불암산인데, 쉽게 말해 선수촌 운동장에서 시작해 불암산 산자락을 그대로 뛰어서 정상을 찍고 내려오는 지옥의 체력훈련이다. 박지성이 시드니 올림픽 대표로 태릉에 입촌했을 때 전체 선수 중 4위로 크로스컨트리를 완주한 적이 있다. 보통 복싱 선수나 레슬링 선수들이 1등을 차지하며, 반대로 주로 꼴찌를 맡는 선수들은 양궁 선수들이라고 한다.[5] 그가 촌장으로 있던 시절은 우리나라의 역대 하계 올림픽 성적이 가장 두드러지던 시절이기도 하다. 특히 1980년대 초부터는 1988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육성 정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던 시기였다.[6] 머리가 돌이라는 뜻이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대로 항상 강직하고 원칙적인 성격 때문에 붙은 별명인 돌이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0:32:53에 나무위키 김성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