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길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2대
이윤영
3대
허정
4대
최창순
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2대
오한영
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46대
김성이
47대
전재희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제2대
이해찬

제3대
김원길


제4대
장영철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직무대행
심재권

제5대
김원길


제6대
유용태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을)
제13대
이철용

제14대
김원길


선거구 개편
김근태[A]
설훈[B]
김원길[C]
조순형[D]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강북구 갑)
선거구 개편
유인태[E]
김원길[F]
조순형[G]

제15-16대
김원길


제17대
오영식



대한민국 제39대 보건복지부 장관
김원길
金元吉 | Kim Won-gil

파일:김원길고문.jpg
출생
1943년 1월 2일[1]
경기도 경성부 종로구 익선정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익선동)
사망
2021년 6월 2일 (향년 78세)
서울특별시 강북구
본관
강릉 김씨[2]
재임기간
제39대 보건복지부 장관
2001년 3월 23일 ~ 2002년 1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김상겸, 어머니 장일형
형제자매
1남 2녀 중 외아들
배우자
김미경
자녀
슬하 1남 1녀
학력
서울교동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 학사)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4, 15, 16
경력
대한전선 부사장
대한종합건설 사장
한국광업제련 이사
청보식품 대표이사
중앙증권일보 대표이사
평화민주당 당무지도위원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도봉구 을 / 민주당)
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환경운동연합 국정정책위원
제14대 국회 후반기 재정경제위원회 간사
새정치국민회의 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5대 국회의원 (서울 강북구 갑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의장
제2대 국회환경포럼 회장
한국여자농구연맹 총재
새시대전략연구소 이사장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강북구 갑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사무총장
제39대 보건복지부 장관 (국민의 정부)
국민희망포럼 상임고문
한나라당 경제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위원
평안북도 도민회 고문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2.2. 사망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기업인, 정치인, 스포츠기관단체인. 호는 훤석(煊石).


2. 생애[편집]


1943년 경기도 경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독립운동가 김상겸과 인동 장씨 장일형(張日亨) 사이의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서울교동초등학교,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57회),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대한전선 부사장, 청보식품 대표이사[3] 등을 역임했다.


2.1. 정치 활동[편집]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철용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반대로 이철용과의 공천 경합에서 승리하여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이에 참여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99년 국민연금 정책 관련 혼선으로 경질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을 역임하였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노무현 후보와 가까운 범 친노 세력으로 분류되었다.

2002년 6월 지방선거 참패로 노무현 대통령 후보 지지율이 떨어지자 민주당 내의 반노무현 세력 중에 일부가 결집해서 노무현과 정몽준의 후보 단일화 실질적으론 정몽준으로의 대통령 후보 교체를 주장하면서 후보 단일화 협의회를 창립했는데, 동교동계 중진인 김영배가 회장을 맡았지만 자금줄을 쥐고 있던 부회장 김원길이 핵심이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오영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고[4] 이후 정계에서는 은퇴했다. 이후 1999년부터 맡고 있던 한국여자농구연맹 총재직에 전념하였다.

WKBL 총재로서는 자신의 마당발 인맥을 활용해서 발전기금을 모으고 스폰서나 경품 협찬을 땡겨오면서 고사 위기에 놓여있던 한국여자프로농구를 최소한 굴려가게는 만들어 놓는데 성공한다. 게다가 그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던 리그에서 운영의 원칙을 나름대로 세운다. 대회 타이틀 스폰서를 가맹 구단이 돌아가면서 맡게 했고 선수들의 연봉과 FA가 틀을 확립했다. 여자 농구 유망주 육성을 위해 기금을 모으기 시작했고 WKBL 회관을 건설했고 자체 방송국인 WKBL TV도 만들었다. 무엇보다 김원길 총재 체제의 가장 큰 업적은 구리 KDB생명 위너스 농구단을 만들어 리그 내 구단을 여섯 개로 늘리는데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로서 멸망 직전까지 갔던 여자 농구는 극적으로 회생하는데는 성공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이성구 선생의 잔여 임기 3년은 물론 세 차례 더 연임하면서 1999년부터 2012년 4월까지 재직한다.


2.2. 사망[편집]


2021년 6월 2일 급성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 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도봉 을

[[무소속|
무소속
]]

7,344 (7.30%)
낙선 (5위)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9,749 (38.37%)
당선 (1위)
초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북 갑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31,171 (40.13%)
재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629 (51.20%)
3선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8,666 (36.02%)
낙선 (2위)




4.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6 - 1987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87
탈당[5]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7
탈당[6]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7 - 1988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8 - 1992
탈당[7]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2 - 1995
복당

[[무소속|
무소속
]]

1995
탈당[8]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2000
창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2
합당[9]

[[무소속|
무소속
]]

2002
탈당[10]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2 - 2012
입당[11]
정계 은퇴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 2017
당명 변경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당명 변경

2020
합당[12]

2020 - 2021
당명 변경
작고


5.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42년 11월 26일.[2] 한림공-모암공-현감공파 43세손.[3] 이때 KBS 다큐멘터리에서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4] 애초에 강북 지역은 전통적으로 한나라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이었던데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이 불어서 웬만한 지역은 한나라당이 불리한 상황이었다.[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7]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8]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9]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1] 노무현-정몽준 간 대선후보 단일화가 노무현 후보로 확정된 것에 반발하여 탈당한 뒤 한나라당에 입당했다. #[12]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