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역

덤프버전 :

폐역
강촌- [ruby(의암, ruby=1939~74)] - 신남(김유정)

김유정역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Gimyujeong
한자
金裕貞
간체자
金裕贞
가나
金裕貞(キミュジョン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동면 김유정로 1435 (증리 945-2)
관리역 등급
배치간이역
(춘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춘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춘선
1939년 7월 20일
경춘선
2010년 12월 21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춘선
김유정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7. 연계 교통
7.1. 김유정역(2050, 2051)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신 김유정역.jpg

현 역사(2010년 준공)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212194515.jpg

구 역사(1939년 준공)

파일:김유정역 스탬프.jpg
김유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실레마을과 김유정문학촌을 형상화했다.

신남역은 왜 김유정역이 되었을까?

처음 이곳의 역명이 신남역이 된 것은 그 위치가 행정구역상 신남면이었기 때문이었다. 1939년 7월 25일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던 신남역은 문인들과 지역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2004년 12월 1일 한국 철도 최초로 인물명을 딴 김유정역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바로 역 앞에 위치한 실레마을이 소설 ‘봄봄’과 ‘동백꽃’으로 유명한 소설가 김유정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인 경춘선 개통으로 새 역사로 이전하면서 전통 한옥 형태로 신축되었는데, 그 역명판과 행선판이 수도권 전철역 가운데 유일하게 궁서체로 표기되어 있어 그 모습이 인상 깊다. 옛 역사는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무궁화호 객차와 디젤기관차와 함께 보존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춘선 P138번,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동면 김유정로 1435 (증리 945-2번지) 소재.

현대 소설가 김유정에서 이름을 따왔다.

2. 역 정보[편집]


파일:attachment/snapshot_j_20121119.jpg
구 역사 역명판
파일:attachment/snapshot_j_20121119_0001.jpg
파일:attachment/snapshot_j_20121119_0000_2.jpg
정진우 감독이 만든 1981년 영화 앵무새 몸으로 울었다에 등장한 1980년대 당시의 구역사와 승강장. 정차해있는 열차는 비둘기호이다.

원래 이 역의 역명은 당시 주소상 '신남면 증리'에 있다 하여 신남역(新南驛)이었다. 신남면은 이 역 개업 직후 동내면과 합쳐져 신동면이 되었다. 그 후 동내면은 1989년에 다시 분리됐으나, 신동면의 나머지 지역은 신남면으로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현재에 이른다. 그러다가 춘천시에서 춘천 출신의 소설가 김유정을 기리는 김유정문학촌을 조성하면서 신남역 이름을 김유정역으로 바꿔줄 것을 요청했고, 이것이 수용되어 2004년 12월 1일에 역명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이 역은 대한민국 철도 사상 최초로 인명으로 제정된 사례이기도 하다. 춘천시 요청으로 역명이 바뀌었음에도 역명 변경에 따른 비용은 한국철도공사가 부담했는데, 이는 춘천시가 경춘선 복선전철 춘천시내 고가화를 수용한 데 따른 것이다.

로마자 표기는 'Kim Yujeong'이나 'Kim Yu-jeong' 등이 아닌 'Gimyujeong'이다. 인명 '김유정'+ 시설명 '역'이 아닌 시설명 '김유정역'으로 간주하여 표기했기 때문이다.[1] 한국철도공사 역사의 역명 제정은 국토교통부 소관 하에 있어 대학역명 등 일부 이해관계가 얽힐 만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른다. 같은 예로 세종대왕릉역이 있다.

옛 신남역 시절 때는 1990년대에는 드라마 간이역 첫 번째 시즌에서 주 무대로 활약하기도 했다.

전철 개통과 함께 바로 옆에 새로 지은 신역사로 이전했다. 김유정역의 신역사는 유리궁전이 아니고 기와집 형태이며 역 안내표지의 폰트도 특이하게 한글은 궁서체로, 로마자는 세리프체로 적혀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김유정역 기관차.jpg
파일:김유정 열차측면.jpg
파일:구 김유정역.jpg
  • 구 김유정역을 잘 보존하여 구 역사 플랫폼에 디젤 기관차 7160호와 무궁화호 객차 2량(폭탄 객차)이 전시되어 있다. 무궁화호 객차 2량은 각각 춘천 관광안내소/휴게실과 김유정역 북카페로 쓰인다(북카페 내부). 북카페는 선반 부분에 경춘선의 구 역사 건물들을 촬영한 걸 액자로 처리하여 올려두고, 직원복을 입을 수 있도록 해두었다. 디젤 기관차는 행사가 있을 때 개방된다. 구 김유정역 안에는 철도 물품이 전시되어 있고 다양한 방명록이 붙여져 있다.


  • 역명에 걸맞게 역에서 200 m 떨어진 곳에 김유정문학촌이 있다.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이면 그 다음날) 휴관한다.

  • 신동면사무소가 가까운 곳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비고
2010년
475명
[2]
2011년
585명

2012년
683명

2013년
1,036명

2014년
1,241명

2015년
1,252명

2016년
1,229명

2017년
1,202명

2018년
1,001명

2019년
940명

2020년
587명

2021년
676명

2022년
783명

2023년
?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1] 같은 이유로 가나 표기도 성과 이름을 구분한 표기인 キムユジョン이 아닌 キミュジョン이다.[2] 개통일인 12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이 역은 통일호, 무궁화호가 다니던 시절부터 관광 수요보다 지역 주민 수요가 더 많은 곳이었다. 그래서인지 관광 수요에 의존한 대성리역, 청평역, 가평역, 강촌역 등 경춘선의 다른 역들은 성장세가 금방 꺾이던가 강촌역 등은 역으로 무궁화호 시절보다 승객이 적어지기도 한 반면, 김유정역은 개통 초기에는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다가 개통 후 빠른 속도로 승객이 늘어났다.
  • 이 역도 2014년에 1,200명을 넘은 후에는 성장이 멈추고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신동면의 인구가 3,000여 명에 불과할 정도로 규모가 작아서 더이상 승객을 끌어들일 요소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김유정문학촌 외에는 교통유발요인이 별로 없는 데다 지역주민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을 고려하면 이용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5. 승강장[편집]


파일:kimyujeongstn.jpg
수도권 전철 경춘선 승강장. 2, 3번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 4번선은 2023년에 설치될 예정이다.#
강촌

4
3


2
1

남춘천


6. 기타[편집]


  • 2012년 2월 말에, 한 악성 철도 동호인이 이 역에 전시되어 있던 디젤기관차와 무궁화호에 낙서를 하여 크게 논란을 불러일으킨 적이 있다.[3]
  • 2012년 8월 19일 골든벨 문제로 이 역이 나왔다.
  • 지역에 따라 춘천시 외곽 지역이나 양구군, 홍천군에서 승용차나 택시를 타고 경춘선 전철을 타러 간다면, 굳이 혼잡한 춘천 도심지에 있는 남춘천역이나 춘천역보다 춘천 외곽을 순환하는 46번 국도를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이 역을 이용하는게 훨씬 효율적이다.

7. 연계 교통[편집]



7.1. 김유정역(2050, 2051)[편집]


  • 김유정역 1번 출구 부근의 정류장. 면소재지에 있는지라 예부터 한 시간에 한 대꼴로 버스가 다닌다. 춘천 시내와 비발디파크를 연결하는 홍천군 버스도 여기에 온다. 아래 목록은 대략적인 정보만 주며, 상세 사항은 개별 노선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노선
경유지
운행횟수
비고

설미종점 - 의암리본마을 - 의암댐 - 칠전대우아파트 - 팔미리1반 - 김유정역 - 팔미3리 - 혈동2리종점(- 팔미3리 - 김유정역 - 칠전동사거리 - 시외버스터미널 - 공지사거리 - 중앙시장환승센터)
1일 8회


(중앙시장환승센터 - 공지사거리 - 남춘천역 - 중앙하이츠1차 -) 홈플러스 - 퇴계농공단지(내부 경유) - 정족1리입구 - 증3리 - 김유정문학촌 - 김유정역 - 삼포유원지 - 혈동1리종점
1일 9회
-

(중앙시장환승센터 - 공지사거리 - 남춘천역 - 중앙하이츠1차 -) 홈플러스 - 퇴계농공단지(내부 경유) - 정족1리입구 - 정족2리(지품마을) - 정족2리입구 - 김유정역 - 삼포유원지입구 - 삼포유원지 - 새고개 - 증4리종점
1일 9~10회
평일
1편성 추가
배치

(중앙시장환승센터 - 공지사거리 - 남춘천역 - 중앙하이츠1차 -) 홈플러스 - 퇴계농공단지(내부 경유) - 정족1리 - 김유정역 - 삼포유원지 - 혈동1리 - 탑골 - 광판리 - 어유포리 ( ← 팔봉산 ←) 산수1리마을회관
1일 6회


(중앙시장환승센터 - 공지사거리 - 남춘천역 - 중앙하이츠1차 -) 홈플러스 - 퇴계농공단지(내부 경유) - 정족1리 - 김유정역 - 삼포유원지 - 혈동1리 - 탑골 - 광판리 - 밤벌유원지 - 반곡 - 두미리종점
1일 5회

비발디파크-춘천
대명비발디파크 - 팔봉산 - 어유포리 - 광판리 - 김유정역 - 정족1리 - 중앙하이츠1차 - 남춘천역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1일 7회
홍천군 농어촌버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7:18:28에 나무위키 김유정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