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남

덤프버전 : r


조선 정승

연산군 ~ 선조


[ 좌의정 ]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제65대

김수동

제66대

박원종

제67대

류순정

제68대

성희안

제69대

송질

제70대

정광필

제71대

김응기

제72대

신용개

제73대

안당

제74대

남곤

제75대

이유청

제76대

정광필

제77대

심정

제78대

이행#조선의 문신

제79대

장순손

제80대

한효원

제81대

김근사

제82대

김안로

제83대

윤은보

제84대

류부

제85대

홍언필



제85대

홍언필

제86대

윤인경

제87대

류관



제88대

성세창

제89대

이기

제90대

홍언필

제91대

윤인경

제92대

황헌

제93대

심연원

제94대

상진

제95대

윤개

제96대

안현

제97대

이준경

제98대

심통원

제99대

이명



제100대

권철

제101대

홍섬

제102대

박순

제103대

이탁

제104대

박순

제105대

홍섬

제106대

노수신

제107대

김귀영

제108대

정유길

제109대

노수신

제110대

정유길

제111대

류전

제112대

이산해

제113대

정철

제114대

류성룡

제115대

최흥원

제116대

윤두수

제117대

유홍

제118대

김응남

제119대

윤두수

제120대

이원익

제121대

이덕형

제122대

이항복

제123대

정탁

제124대

이원익

제125대

이항복

제126대

이헌국

제127대

김명원

제128대

윤승훈

제129대

류영경

제130대

기자헌

제131대

심희수

제132대

허욱
역대 정승
(태조-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종-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제78대

박원종

제79대

류순정

제80대

성희안

제81대

송질

제82대

정광필

제83대

김응기

제84대

신용개

제85대

안당

제86대

김전

제87대

이유청

제88대

권균

제89대

심정

제90대

이행#조선의 문신

제91대

장순손

제92대

한효원

제93대

김근사

제94대

김안로

제95대

윤은보

제96대

류부

제97대

홍언필

제98대

김극성

제99대

윤인경



제99대

윤인경

제100대

류관

제101대

성세창



제102대

이기

제103대

정순붕

제104대

황헌

제105대

심연원

제106대

상진

제107대

윤개

제108대

윤원형

제109대

안현

제110대

이준경

제111대

심통원

제112대

이명

제113대

권철



제114대

민기

제115대

홍섬

제116대

이탁

제117대

박순

제118대

노수신

제119대

강사상

제120대

정유길

제121대

김귀영

제122대

정지연

제123대

정유길

제124대

노수신

제125대

정유길

제126대

류전

제127대

이산해

제128대

정언신

제129대

정철

제130대

심수경

제131대

류성룡

제132대

이양원

제133대

윤두수

제134대

유홍

제135대

김응남

제136대

정탁

제137대

이원익

제138대

이덕형

제139대

이항복

제140대

이헌국

제141대

이항복

제142대

이헌국

제143대

김명원

제144대

윤승훈

제145대

류영경

제146대

기자헌

제147대

심희수

제148대

허욱

제149대

한응인
역대 정승
(태조-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태종-성종 · 연산군-선조 · 광해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김응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 충정공(忠靖公)
김응남
金應南

출생
1546년(명종 1)
사망
1598년(선조 31)
봉호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
시호
충정(忠靖)
본관
원주 김씨

중숙(重叔)

두암(斗巖)
부모
부친 - 김형(金珩)
모친 - 김덕유(金德裕)의 딸
부인
한산 이씨(韓山 李氏, ? ~ 1642) 이지번(李之蕃)의 딸[1]
자녀
장남 - 김명룡(金命龍, 1568 ~ ?)
차남(서자) - 김명시(金命時, 1592 ~ ?)
1. 소개
2. 생애
3. 대중매체



1. 소개[편집]


조선 중기의 문신.


2. 생애[편집]


156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68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홍문관의 정자(正字)를 역임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 진작을 위해 유능한 문신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하게 한 제도)를 했으며 동부승지에 이르렀다.

1583년 병조 판서 이이를 탄핵한 삼사의 송응개(宋應漑)·허봉·박근원(朴謹元) 등이 선조의 노여움으로 도리어 유배될 때 그들과 일당이라는 혐의를 받고 제주 목사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평소 이이를 존경했기 때문에 실제로 삼사의 논의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임지에 도착하자 성심껏 기민을 구휼하고 교육을 진흥시키며 민속을 바로잡았다. 그래서 뒤에 인조 때 김상헌(金尙憲)이 쓴 『남정록(南程錄)』이나 효종 때 이원진(李元鎭)이 쓴 『탐라지(耽羅誌)』에는 그 때의 치적을 칭송하는 글이 실려 있다.

2년 뒤 1585년 우승지로 기용되고 이어 대사헌·대사간·부제학·이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591년 성절사로서 명나라에 갔다. 마침 명나라에서는 일본의 국서를 받고 조선이 일본과 내통한다고 의심하는 자가 많았는데 이를 힘써 해명해 의구심을 풀어주었다.

귀국 후 한성 판윤이 되었고, 다음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왕이 피난길에 오르자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 겸 부체찰사(兵曹判書兼副體察使)가 되었다. 이듬해 1593년 이조 판서로서 왕을 따라 환도, 1594년 우의정, 1595년 좌의정이 되어 영의정 유성룡과 함께 임진왜란 후의 혼란한 정국을 안정시켰다.

항상 나라를 복구하는 급선무는 군사를 훈련하고 성을 쌓는 것이 아니라 인심을 바로잡는 일이라고 역설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안무사로서 영남 지방에 내려갔다가, 풍기(豊基)에서 병이 위독해져서 귀경 후 사직하고 이듬해 죽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3. 대중매체[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2 22:48:51에 나무위키 김응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산해의 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