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바웅 왕조

덤프버전 :

꼰바웅 왕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꼰바웅 왕조
ကုန်းဘောင်ခေတ်

파일:National_flag_of_Third_Burmese_Empire_(Konbaung_Dynasty).svg.png
파일:State_seal_of_the_Konbaung_dynasty.svg.png
국기[1]
국장

파일:Konbaung_dynasty.png

1820년대 보도파야 국왕 재위기의 최대 강역
1752 ~ 1885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부흥 따웅우 왕조
인도 제국
한타와디 왕국
영국령 버마
위치
미얀마, 태국, 라오스, 인도, 중국
수도
슈웨보 (1752~1760)
사가잉 (1760~1765)
아바 (1765~1783, 1821~1842)
아마라푸라 (1783~1821, 1842~1859)
만달레이 (1859~1885)
정치 체제
전제군주제, 만달라 체제
인구
420만 명(1800년)[2]
국가 원수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1752년 건국
1752년~1757년 미얀마 통일
1760년~1854년 시암-버마 전쟁
1765년~1769년 청나라-버마 전쟁
1824년~1826년 1차 영국-버마 전쟁
1852년 2차 영국-버마 전쟁
1885년 3차 영국-버마 전쟁
1885년 멸망
}}}

1. 개요
2. 역사
3. 역대 국왕



1. 개요[편집]


미얀마의 마지막 왕조. 1752년부터 1885년까지 약 133년 간 미얀마 일대를 다스렸고, 한때 미얀마 역사상 2번째로 거대한 제국으로 군림했다.

꼰바웅 왕조는 1752년 슈웨보 지방의 영주인 알라웅파야가 세웠다. 알라웅파야는 분열된 미얀마 지역을 통일하고 프랑스영국 등 외세를 몰아내는 업적을 남겼다. 알라웅파야 국왕을 이어 즉위한 후임 국왕들은 소득세를 감면하고 관세를 신설하는 등 내부의 개혁을 펼치고 활발한 정복 사업을 펼쳤다. 1770년대에 꼰바웅 왕조는 시암을 굴복시키고 라오스 일대를 집어삼켰으며, 청나라의 4차례에 걸친 침략을 막아내기도 했다.

그러나 지나치게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치던 꼰바웅 왕조는 19세기부터 망해가기 시작한다. 보도파야 국왕은 서쪽의 인도 제국과 접하고 있는 아라칸, 마니푸르, 아삼 지역들을 정복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인근의 영국군충돌하면서 영국에게 본격적인 간섭의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1824년에 일어난 제1차 영국-버마 전쟁에서 꼰바웅 왕조는 대패했고, 그 이래로 일어난 2차, 3차 영국-버마 전쟁에서 연이어 패전하며 결국 꼰바웅 왕조는 완전히 멸망의 길로 들어선다. 꼰바웅 왕조는 결국 1885년에 영국 의회가 미얀마 왕실을 인도로 추방하고 빅토리아 여왕의 새해 선물로(...) 미얀마를 합병해버리면서 공식적으로 멸망한다.


2. 역사[편집]


파일:Myanmar-2013-761_new.jpg
파일:2158CA435247DE6C11.jpg
만달레이 왕궁
신뷰신 대왕의 모습
1700년대 초중반의 미얀마는 한창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한때 동남아시아 역사상 최대의 제국이었던 따웅우 왕조는 이미 전국에서 일어나는 반란으로 쇠락했고, 대신 서구 열강들의 지원을 받은 한따와디 왕국이 새롭게 들어서 한창 세를 불리고 있었다. 이때 새롭게 등장한 사람이 바로 슈웨보 지방의 영주였던 알라웅파야였다. 알라웅파야는 한따와디 왕국의 군대를 격파하고 이들을 지원해주던 프랑스와 영국의 세력을 미얀마 일대에서 추방하였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미얀마 전역을 통일하는 데에도 성공하면서 꼰바웅 왕조를 개창했다.

알라웅파야 국왕의 뒤를 이어 재위한 꼰바웅의 3대 국왕인 신뷰신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굉장한 업적을 쌓았다. 1736년 9월 12일 슈웨보의 영주이자 꼰바웅 왕조의 초대 왕 알라웅파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신뷰신은 청소년기부터 아버지의 원정에 동행하며 미얀마의 통일 사업을 완수하는 데 일조하였다. 24세 때 선왕인 알라웅파야가 숨지자 황태자였던 형 나웅다우기가 먼저 2대 왕 자리를 계승하였으나 2대 왕 나웅다우기는 단명하였고 그 뒤를 이어 꼰바웅 왕조의 3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신뷰신의 재위기에 청나라건륭제는 총 네 번이나 미얀마를 침략해 들어왔다. 그러나 신뷰신의 뛰어난 전술과 미얀마의 후덥한 기후 탓에 결국 네 번의 침공 모두 청나라 측의 처절한 패배와 신뷰신의 승리로 끝났다. 청나라는 네 번의 침략 와중에 4명의 장군을 잃었으며 7만 여명의 사망자를 내면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했다고 한다.

신뷰신 국왕은 청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는 동시에 아유타야 왕국을 멸망시키고 인근의 아홈 왕국 등을 공격하는 등 짧은 재위기 동안 무수한 전과를 올린 걸출한 인물이었다. 당시 티베트와 준가르, 몽골 등을 영토로 편입하면서 유례없는 제국의 면모를 갖춘 청의 동남아시아로의 확장을 방어해낸 인물로서 신뷰신의 역사적 중요성은 단지 미얀마의 역사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일 신뷰신의 패배로 미얀마가 청에 편입되었다면, 끊임없이 남으로 확장해가며 선주민들을 복속시켜온 중화의 마수가 동남아 일대에까지 뻗쳤을 가능성이 높으며 미얀마나 태국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 역시 현재의 티베트위구르와 비슷한 운명에 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신뷰신은 이후에도 활발한 정복 활동을 계속해서 1764년에는 치앙마이와 라오스의 비엔티안을 점령하였고 1765년, 재위 삼년만에 서와 북의 양방향으로 아유타야를 침공해서 2년간의 전쟁 끝에 1767년 아유타야를 함락해서 멸망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무수한 전쟁으로 왕국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나 성공적으로 진압, 이후 꼰바웅 왕조가 지속적으로 팽창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기틀을 확립했다.

바로 옆 인도를 다스리면서 강대한 세력을 자랑했던 무굴 제국마라타 동맹 등이 대영제국에 잡아먹히는 것을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꼰바웅 왕조의 국왕들은 근대화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꼰바웅 왕조의 역대 국왕들은 지속적으로 개혁 정책들을 내놓았다. 꼰바웅의 민돈 국왕은 국영기업과 공장들을 세우고 근대식 무기와 기계들을 생산하도록 권하였다. 또한 지나치게 무거웠던 소득세를 감면하고 대신 재산세를 신설하는 등 세수도 개편하였고, 외국 상품들에 대한 관세를 개설하면서 근대식 무역체계에 안정적으로 편입되기 위하여 노력했다. 또한 경제 개혁 역시 실시하여 본격적인 화폐경제 체제를 도입하고 은본위제를 실시하는 등 여러 근대화 정책에도 몰두했다. 다만 꼰바웅 왕조의 개혁들은 생각보다 효과를 보지 못했다. 새롭게 만들어진 국영 공장과 기업들은 지나치게 비효율적이고 정경유착으로 인해 비리가 만연했기에 오히려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갔고, 세금 체계를 개편한 것은 오히려 이중과세를 한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등 사회적 불만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꼰바웅 왕조의 몰락은 1800년대부터 본격화된다. 꼰바웅의 6대 국왕이었던 보도파야 국왕은 굉장히 호전적인 인물로 끝없는 정복 사업을 펼친 인물이었다. 보도파야 국왕은 서쪽으로 국경을 확장하며 1784년에는 아라칸 지역을, 1814년에는 마니푸르 지역을, 1817년에는 아삼 지역을 편입시켰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영국이 지배하고 있던 인도 제국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고, 꼰바웅 왕조와 맞서던 반란군들이 인도 제국으로 도망가 저항을 계속하자 꼰바웅 왕조가 국경을 넘어가 이들을 진압하려 든 것이다. 당시 서양식 국경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던 꼰바웅 왕조는 이를 대수롭게 생각지 않았으나 군대의 월경이 곧 전쟁을 선포하는 것과 동일했던 영국에게 이는 훌륭한 미얀마 침략의 빌미가 되어주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서 양국 간의 긴장이 누적되다가, 결국 1824년에는 영국과 꼰바웅 왕조 사이에서 제1차 영국-버마 전쟁이 발발했다. 미얀마 군대는 벵골로 선공을 가해 벵골 지방의 영국 주둔군을 고전시켰지만, 미얀마 남부에 우회 상륙한 영국군에게 빈집털이 당하자 1826년에 항복하고 아라칸과 테나세림 지역을 영국에게 할양했다. 이와중에 꼰바웅 왕실 내부에서는 쿠데타가 일어나 1837년에 바기도 국왕이 왕위에서 쫒겨나 유폐당했고, 그의 형제인 타라와디가 새로운 국왕에 올랐다. 타라와디 국왕은 영국과의 관계 개선에는 관심이 없었고, 때문에 미얀마-영국 관계는 갈수록 악화되었다.

타라와디 국왕의 아들인 파간 국왕은 1846년에 왕위에 올랐다. 파간 국왕은 수 천명에 달하는 부유 계급과 엘리트 요인들을 학살했고, 극단적인 정책들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영국과의 긴장을 갈수록 고조시켰다. 1852년에는 제2차 영국-버마 전쟁이 일어났다. 제2차 영국-버마 전쟁에서 미얀마는 또다시 영국에게 대패했고, 엄청난 양의 보상금을 영국에게 물어줌과 동시에 일부 지방들을 할양하였다. 파간 국왕의 뒤를 이어 재위한 민돈 국왕은 근대화 정책을 실시했다. 민돈 국왕은 1875년에 카렌 주를 영국에게 떼어주면서 간신히 영국에 병합되는 것만은 면했고, 끝까지 영국에게 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민돈 국왕이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고, 그의 뒤를 이어 티바 민 국왕이 새롭게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티바 국왕은 이미 무너져가는 꼰바웅 왕조를 되돌리기에는 힘이 없었고, 결국 1885년 1월 1일에 영국 의회빅토리아 여왕에게 바칠 신년 선물로 미얀마를 합병하기로 결정하면서 꼰바웅 왕조는 133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역대 국왕[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라웅파야
나웅다우기
신뷰신
싱구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웅카
보도파야
바기도
타라와디
제9대
제10대
제11대

파간
민돈
티바 민





대수
왕호
재위
초대
알라웅파야
1752년 ~ 1760년
제2대
나웅다우기
1760년 ~ 1764년
제3대
신뷰신
1763년 ~ 1776년
제4대
싱구
1776년 ~ 1782년
제5대
파웅카
1782년
제6대
보도파야
1782년 ~ 1819년
제7대
바기도
1819년 ~ 1837년
제8대
타라와디
1837년 ~ 1846년
제9대
파간
1846년 ~ 1853년
제10대
민돈
1853년 ~ 1878년
제11대
티바 민
1878년 ~ 1885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0:04:06에 나무위키 꼰바웅 왕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꼰바웅 왕조의 국기. 흰색 바탕에 녹색 공작이 들어가 있는 모습이다. 공작은 초대 국왕 알라웅파야가 즐겨쓰던 문장으로 불멸(不滅)을 상징했다. 꼰바웅 왕조가 세워진 이후 공작새는 미얀마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고, 때문에 영국 식민지 시기에도 공작새가 들어간 국기들이 사용되기도 했다. [2] 1800년 당시 전세계 인구의 0.4%를 차지했다. 참고로 동시대 조선의 인구는 1,650만 명으로 전세계 인구의 1.7% 정도를 차지하며 미얀마보다 인구가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