꼴뚜기

덤프버전 :



꼴뚜기
Pencil squid

파일:꼴뚜기.jpg
학명
Loliginidae Lesueur, 1821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Mollusca)

두족강(Cephalopoda)
아강
연막아강(Coleoidea)
상목
십완상목(Decapodiformes)

폐안목(Myopsida)

꼴뚜기과(Loliginidae)

언어별 명칭
한국어
꼴뚜기
영어
Pencil squid[1]
중국어
槍魷[2]

1. 개요
2. 상세
3. 이용
4. 여러 매체에서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폐안목의 꼴뚜기과에 속하는 오징어를 일컫는 말로, 방언 호칭으로는 전남 지역의 고록, 경남 지역의 호래기 등이 있다.

종종 새끼 오징어를 부르는 말로도 쓰인다.


2. 상세[편집]


오스트랄리테우티스과를 제외하면 모든 폐안목이 꼴두기과에 속한다. 모든 종이 아연안대에 서식하며 저서생활을 한다. 한반도의 모든 연안에서 잡히지만 남해 지역에서 주로 잡힌다.

멸치볶음을 먹다보면 멸치들 사이에 함께 있는 걸 종종 볼 수 있다. 멸치를 한 박스 주문하면 그 속에서 꼴뚜기도 여러 마리 나오는데 별사탕마냥 일부러 넣어주는 건 아니고 같이 잡힌 걸 같이 말려서 같이 포장하고 이것이 식탁에까지 오른 것이다. 말린 꼴뚜기 그 자체도 볶아먹기 좋고 크기도 작아 잔멸치처럼 좋은 식재료가 된다.

속담에 꽤나 민폐스러운 캐릭터로 등장하는데 대표적인 케이스가 '어물전 망신은 개망신 꼴뚜기가 시킨다.'와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뛴다'를 꼽을 수 있다.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는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동료들에게까지 폐를 끼친다는 뜻이고 '망둥이가 뛰니 꼴뚜기도 뛴다'는 속담은 자기 소신 없이 남이 하니까 덩달아 따라하는 사람을 뜻한다.[3] 이처럼 꼴뚜기의 캐릭터가 민폐스럽게 고정된 것은 꼴뚜기가 크기가 작고 생김새도 화려하지 않은 이미지라서 그렇다.[4]

꼴뚜기장수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재산이나 밑천 따위를 모두 없애고 어렵게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3. 이용[편집]


생으로 젓갈을 담그거나 말려서 어포로 먹는다. 꼴뚜기로 담근 젓갈은 꼴뚜기젓이라 불린다.

말려서 밑반찬 재료로 쓰기도 하는데, 해물라면을 끓일 때 말린 꼴뚜기를 넣어주면 맛이 굉장히 좋아진다. 198~90년대 삼양이 출시한 해물라면 삼백냥 라면에 말린 꼴뚜기와 새우가 들어있었던 적도 있을 정도로 검증된 재료이다. 멸치볶음처럼 양념에 졸여 먹기도 한다.

꼴뚜기를 신선하게 먹을 수 있는 지역에서는 로 먹기도 한다. 마트에서 가끔 횟감용으로 '호래기'라는 이름에 판매도 하는데 상태를 보고 좀 아니다 싶으면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으면 된다. 남은 국물은 라면이나 육수로 쓰자. 맛이 몇 배는 올라갈 것이다. 다만, 먹물이 터져서 색감이 안 좋을 수 있으니 이를 감안해야 한다. 염도 조절도 좀 해야 하고.

4. 여러 매체에서[편집]



  • 아기공룡 둘리의 등장인물 중에 꼴뚜기별 외계인이 있다.[5][6]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
연어알 물새알 해녀 대합실
-
오징어 꼴뚜기 대구 홍합 따개비
주민등록 최종덕 이장 김성도
(2012년 개정 개사)

  • 못생긴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 중 오징어와 함께 흔하게 사용되는 말이다. 사실 크기가 다를 뿐 둘 다 비슷하게 생겼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0:06:28에 나무위키 꼴뚜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필오징어"[2] "창오징어"[3] 참고로 망둥이도 꽤나 볼품없고 모자란 생선으로 취급되어 이 속담과 매우 흡사한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인데, 꼴뚜기는 그보다도 아랫급으로 표현됐다. 이를 볼 때 속담 내에서 꼴뚜기의 표현 등급은 그야말로 바닥권인 셈이다.[4] 비슷한 속담으로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다 시킨다.'가 있다. 모과는 향이 좋으나 울퉁불퉁해 못났으며 그냥 먹으면 아무런 맛이 나지 않기 때문에 섭취하는 과일로는 그다지 가치가 없고, 방향제 대용으로나 방에 두고 쓰다가 갈변하면서 벌레가 꼬일 때 쯤 버리는 게 고작이다. 그나마 꿀이나 설탕에 재워 차로 마시기도 하는데 그냥 꿀차에 자연스럽게 달콤한 향을 더 내기 위한 목적이 강하다.[5] 원작에는 '골두기별'로 표기되어 있다.[6] 사실 이의 모티브가 된 피둥어꼴뚜기(살오징어)는 꼴뚜기과에 속하지 않는 별개의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