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사랑카드/1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나라사랑카드



파일:신한카드 베이직 CI (2022).svg

{{{#!wiki style="text-align: justify; image-rendering: smooth; margin: -5px 0px 5px 0px; border-radius: 5px;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padding-left: 2.5px; padding-right: 0px; border: 2px solid #0046FF;"
카드    특징  (구)  파일:LG카드 로고.svg
틀 삭제 토론 진행중


파일:신한 나라사랑카드.png

1. 개요
2. 혜택
3. 나라사랑 시리즈



1. 개요[편집]


2007년부터 2015년까지 나라사랑카드 1기 사업자로 선정된 신한카드에서 발급했던 병역의무자 대상의 전자통장 겸용 체크카드이다. 초기에는 크고 아름다운 혜택을 가지고 있었으나 2010년 이후로는 날이 갈수록 개악되었다.

파일:external/image.ohmynews.com/goket_354152_1%5B605102%5D.jpg
구형 카드의 디자인이 사진에서 보다시피 매우 구리고 게다가 열에 아홉은 괴상하게 나온 사진[1]까지 나와 있었다. 오른쪽 사진빨에 속으면 안 된다. 병역판정검사장에 들어가자마자 아무 것도 모른 채 앉으라고 해서 앉으면 그 자리에서 으로 찰칵. 신검 받는다고 안 씻고 단장을 안 하고 나온 데다가 아침 일찍 나와서[2] 살짝 멍한 상태에서 사진이 찍히니 정상일리가 없다.[3] 그 때문에 나라사랑카드는 여친에게도 절대 안보여준다는 농담이 나왔을 정도였다. 이 사진에 대한 불만이 많았는데 이걸 알았는지 2010년 4월 1일부터 본인 사진은 삭제되었고 카드 디자인이 최상단의 것처럼 바뀌었다.

이 상품은 2015년징병검사가 종료된 12월 19일부터 신규 발급이 중단되었으며, 2016년 6월 30일자로 최종단종되면서 기존사용자도 훼손/분실/갱신 재발급이 모두 불가능하다.# 다만 유효기간이 남아있으면 신한나라사랑카드로 재발급이 안되는 것이지 군인공제회측에 문의해보면 2기 카드들로 재발급을 해주긴 한다.

따라서 해당 카드를 소지한 미필자는 반드시 타 은행의 나라사랑카드를 추가 발급받을 것을 권장한다. 일각에서 신한 나라사랑카드 제휴가 중단됨에 따라 부가혜택을 사용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은데[4] 2기 카드로 재발급된 경우에는 1기 카드의 만료기한까지 계속 혜택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카드 본인인증 시 체크카드 인증이 불가능하다면 이 카드로 우회해서 인증할 수 있다


2. 혜택[편집]


관련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신한카드 고객센터 1544-7000(=02-3420-7000)으로 직접 전화해 보자. 카드가 아닌 나라사랑 카드와 연결된 연결계좌 조회업무라면 수신자부담전화인 080-023-0182로 전화해도 조회서비스와 상담원연결이 되니 아예 이 번호로 전화하는 것도 좋다. 080 번호는 공짜니까. 원래 이 번호로는 상담원연결만 되지만 공중전화에서 걸면 조회서비스도 된다.

일부 사람들이 크게 착각하고 있었던 게, 이건 체크카드 혜택이므로 나라사랑카드로 결제해야 혜택 적용되는 것이지, 백날 나라사랑카드 연결계좌에 연결된 다른 체크카드로 결제해봐야 할인 따위 받을 수 없었다. 의외로 이거 모르고 나라사랑카드 앞면에 적힌 결제계좌에 따로 연결한 Love 체크카드나 S-More 체크카드로 편의점 할인이 안 되냐고 투덜대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해프닝은 통장카드를 동일시해버리고 체크카드 혜택과 계좌 혜택을 구분하지 못해서 생기는 일이다. 농협 '스마티 통장+결제계좌가 스마티 통장인 채움 글로벌 체크카드', 혹은 '우체국 영리한 통장+결제계좌가 영리한 통장인 영리한 체크카드'와 같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통장 상품과 체크카드 상품은 별개다. 아니, 이들 또한 체크카드와 통장은 수수료 면제를 위한 조합일 뿐 상품 자체는 완전히 별개다.

신한카드 홈페이지에는 안 쓰여있는 편의점 무실적 할인 혜택 #파일:attachment/나라사랑 카드/uX5Gpdi.png
GS25 일부상품 10%, CU 식품류 5% 할인.

GS리테일 홈페이지에 나라사랑카드 체크카드번호(9411-61)를 등록하면 GS&POINT 적립카드로 사용 가능하며, # 위 사진에서 보듯 일반 GS&POINT 카드보다 적립률이 훨씬 높다. 하지만 GS&POINT 적립 기능과 GS25 할인은 별개라서 꼭 결제 전에 꼬박꼬박 적립을 따로 해 줘야 한다. 즉, 계산 전에 나라사랑카드를 제시하면서 "이 카드로 긁어서 적립해 주세요"라고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냅다 계산만 하면 적립이 되지 않으니[5] 반드시 계산 전에 적립 버튼 눌러서 긁어줘야한다. 상당수의 점원은 나라사랑카드에 GS&POINT 기능이 있는 것을 인지못하기 때문에 각종 바코드 앱으로 바코드 만들어서 보여주는 것을 권장한다.[6]

역마진을 견디지 못했는지 2013년 8월부로 편의점할인 부분이 아래 그림처럼 개악되었다.
파일:attachment/나라사랑 카드/Iga5k1B.png

나라사랑 카드의 티머니가 POP티머니로 변경되면서, GS&POINT 카드 기능에 더해 해피포인트 카드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5년부터 국군의 날 CU 나라사랑카드 할인 혜택이 50%에서 20%로 개악되었다. 2013년 GS25 무실적 10%할인 혜택이 개악된 이후, 이 카드를 쓰지 않는 사람들도 CU에서 고급 아이스크림을 싸게 사기 위해 1년에 한 번은 꺼내 쓰는 카드였지만 개악되면서 활용도가 크게 줄었다. 만약 카드를 해지할 경우 그나마 챙겨먹을 만한 GS25 3% 적립도 안되니 주의할 것.

2016년 9월부터 CU 무실적 할인 혜택이 종료되었고, 국군의 날 CU 나라사랑카드 할인 이벤트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위에서 말한 것들도 대부분 옛말이 되었다.#

하지만, GS25 3% (25일 5%) 적립은 2023년 11월 기준으로 여전히 유효하며, 위에서 서술했듯, 이 혜택은 카드 사용과는 관련 없는, 멤버십 번호로써의 혜택이므로, 본체는 장롱카드로 두고 결제시에 해당 바코드를 제시하고 타 결제수단으로 해도 정상적으로 적용된다. 다만 3%적립 보다 팝카드 할인이 10% 들어가는 것이 나으니 실제로 무엇이 나은지는...

3. 나라사랑 시리즈[편집]


  • 신한은행 U드림 저축예금(통장 상품) - 초기 신검자(2007년~2008년)들은 일반 저축예금이었으나, 현재는 신검 시 U드림 저축예금으로 개설해 주고 있다. 물론 초기 신검자들도 인터넷뱅킹 상에서 전자통장 그대로 U드림 저축예금으로 바꿀 수 있다. 인터넷뱅킹에 로그인해서 자신의 나라사랑 카드 연결계좌의 상품이름이 'U드림 저축예금'이 아니라 일반 '저축예금'이라 나와 있다면 필히 바꾸자! 여느 은행이 그렇듯 일반 저축예금 통장은 무이자수수료 괴물이다.
U드림 저축예금의 수수료 혜택은 해당 계좌의 전월 평균잔고를 30만원 이상 유지하면 온라인 타행이체수수료 '월 25건' 면제 + 마감후 당행ATM 출금수수료 '월 4회' 면제. 하지만 나라사랑 카드 보유시 평균잔고와 상관없이 동일한 혜택을 준다. '연말까지 한시적 면제'라고 써 있으나 현재도 똑같고, 계속 연장할 듯 싶다. 이 혜택을 연장하지 않으면 나라사랑 카드 독점발급자로서의 예의가 아닐 듯하다.
추가로 군 복무 기간 중에 한해 나라사랑 카드 연결계좌로 급여 이체시 추가로 타행ATM 출금수수료가 면제된다. 기본 월 꼴랑1회, 신한은행의 적립식 상품(매월 1만원 이상 자동이체시)가입시 월 4회.#
파일:pguYw3V.png
  • 타 체크카드와 달리, 나라사랑 카드 결제계좌는 타 계좌로 옮길 수 없다. 그러나, 연결계좌에 타 체크카드를 연결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나라사랑 카드 연결계좌를 S20통장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 예금에서 무통장 상품인 U드림 저축예금으로 전환하는 것과는 달리, U드림 저축예금에서 종이통장 상품인 S20 통장으로 전환하려면 영업점을 방문해야 한다.
잘 생각해보고 전월 요구실적이 10만원인 나라사랑 카드를 주력카드로 쓰고 싶다면 (즉 신한카드 사용량이 월 20만원이 되지 않을 거라면) S20통장을 별도로 만들지 말고 나라사랑 카드 연결계좌를 계좌번호 그대로 S20통장으로 전환하자.
하지만 S20체크카드 등 타 신한카드를 주력카드로 쓸 거라면(즉, 월 20만원 이상 신한카드를 쓸 거라면) 바꾸는 것보다 그냥 새로 S20통장 등 신한은행 계좌를 새로 개설하는 게 더 속편할 수도 있다.
  • 신한은행 나라사랑적금 - 말 그대로 자유적립식 적금이다. 그나마 다른 군인적금과는 다르기 나라사랑 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면 전역 후에도 만들 수 있다는게 특징이다. 이후에 나온 新나라사랑적금은 금리가 꽤 높은 편이다. 월 10만원 입금 한도가 있다.
  • 신한은행 나라사랑펀드 (A, C, C-e클래스)- 최초납입액이 다른 펀드의 5만원에 비해 대폭 줄어든 1만원인 것과, 인덱스 펀드라서 수수료가 싸다는 걸 빼면 별 메리트는 없었다. 이 외 혜택은 DB손해보험의 보험을 들어준다. 다만 보험금한도는 납입금액의 10배 만원 넣고 "공짜보험 들었다!"라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8:04:39에 나무위키 나라사랑카드/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사진이 병적에 올라가는 사진이며, 평생 변경이 불가하다. 다만 재신체검사를 받을 경우 사진을 다시 찍기도 해서 재검을 받았을 때도 사진을 찍었으면 재검 후 나라사랑카드를 재발급받으면 카드에 다시 찍은 사진이 나온다.[2] 오전반은 아침 8시까지 검사장에 도착해야 한다.[3] 게다가 카메라가 바로 찍는 게 아니라 피사체 앞 거울에 비친 모습을 찍기 때문에 좌우가 반전되어 나온다! 물론 카메라를 피사체(본인) 앞에 놓고 찍어서 바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4] 심지어 병무청에서도 동일한 말을 하며 재발급받으라고 한다![5] 팝 티머니 결제 시에만 자동 적립이 된다.[6] GS리테일 홈페이지에서 등록하면 체크카드 번호유출 방지를 핑계로 등록한 9411-61 번호가 아닌 다른 0190 번호로 등록되는데, 9411이든 0190이든 모두 다 적립이 가능하다. 0190 번호는 역시나 똑같이 번호유출 방지를 핑계로 몇자리를 가려놓았는데, 정작 나만의냉장고, GS리테일 같은 모바일 앱에서는 바코드와 함께 16자리 모두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