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r20230302판에서 저장되지 않은 문서입니다.
자동으로 r20200302판 문서를 읽어왔습니다.
자동으로 r20200302판 문서를 읽어왔습니다.
나무위키:프로젝트/천문학
덤프버전 : r20200302

이 문서는 나무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프로젝트 목적[편집]
여기는 천체물리학이나 빅뱅 우주론 같은 천문학 관련 문서를 더욱 알차게 채우기 위한 프로젝트로서 위키러 여러분들의 많은 도움이 필요합니다.
2. 참가자 서명[편집]
- cubewano: 개설자
- ssvin
- stockholm
- Nada
- qkrckdwls1004
- rigel1222
- ND_SPiNDLe
- hanbin001028
- John_Lennon
- iron
- LDIRhythm
- doraemon500
- hittile
- RABITEI
- ieroghue7389
- Miller
- Laniakea
- Pythagoras
- cybercruiser
- Jaurose
- Dobsonian
- Lockway
- Bnuri
- Prokkion
- mars2002
- astron99
- 182.226.188.76
- Tak
- unbihexium
- Haenyeon
- eccoti
- Joellie
- heburu
- sci
- ghostbug
- qwerty7321
- integral
- CodeXETA
- sowrdofaiur
- Eunyulrinha
- SESky
- aldehyde
- uranus0000
- Nokchaingan
- Starfoxs
- ChristopherJackson
- catchmindjam
- haveduland
- dobong827
- Pulsar
- Cujames
- Pary001
- sohna
- 사용자:seung7361
- 사용자:qty0905
- 118.222.200.74
- GreenScreen410
- ufo001
- blacpink0211
- MoonlightPunchRomance
- cgj5232
- allcars1341
- nextspaceedition0110
- curious_sh
- gerrard0808
3. 프로젝트 합의안[편집]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행성, 항성, 은하 등 천체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문서의 표제어는 반드시 공신력/전문성이 입증된 명칭만을 사용해야 하며, 그 외의 명칭은 리다이렉트 처리해야합니다. - 관리자 승인 한국천문학회 용어검색사이트
4. 작성·보강이 필요한 문서[편집]
- 분류:토막글/천문학의 모든 관련 문서들
- 천문학/역사
- 우주/역사 - 일단 만들었지만 문서 작성 경험이 적어 조금 부족합니다.
- 우주생물학
- 허블 법칙
- 세차운동
- 중력섭동
- 천체물리학
- 성간물질
- 성운
- 아스트롤라베
- 우주 거대 구조
- 적색초거성
- 천문대
- UY scuti
- 전리수소영역
- 쌍성계
- 지구조
- 거시공동
- 테라포밍
- 우주 문명의 단계설
- 외계인
- 델린저 현상- 만들었지만 문서 작성 경험이 적어 부족하며 추가 사항 있을시 수정바랍니다.
- 좀비별
- 2014 OL339- 정보를 자세히 몰라서 추가 사항이 있다면 추가 바랍니다.
- 정점 시율- 만들긴 했지만 추가적인 정보나 역링크가 필요합니다.
- 오우무아무아
- 궤도 공명
- 우주선 - Spaceship과 Cosmic ray의 분리가 필요합니다. UHECR과 Fermi acceleration 내용도 들어가면 좋겠네요.
- 21cm 중성수소선
4.1. 탐사선 관련[편집]
사실상 항공우주 프로젝트에 맞는 분류이지만 천문학과 관련이 깊거나 천문학에 큰 영향을 끼친 탐사선들은 양측에서 같이 작성합니다.
- 카시니-하위헌스 - 착륙선과 궤도선의 관계이니 같이 묶어 작성했습니다.
- 갈릴레오(탐사선) - 목성계 탐사선. 최초로 소행성에서 위성을 발견하기도 했다.
- 케플러 우주망원경 - 외계행성 탐사장비
- 돈 탐사선 - 왜소행성 세레스를 탐사한 탐사선
- 뉴 호라이즌스 - 명왕성 탐사선. 현재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카이퍼 벨트의 목표 천체로 이동 중.
- 보이저 - 인류 문명 최초로 태양계를 벗어났다.
- 딥 임팩트(탐사선) - 혜성 탐사선
- 딥 스페이스(탐사선) - 소행성 브라유, 보렐리 혜성 탐사선
- 허블 우주 망원경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스피처 우주 망원경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페르미 감마선 우주 망원경
- 마스 패스파인더 - 화성 탐사에 최초로 로버를 사용한 탐사선, 이미 항목이 있으나 자세한 서술이 필요함
- WMAP
- COBE
- MMS
- 가이아 우주 망원경
- 제트추진연구소 - NASA의 태양계 탐사선 연구소
- 톈궁
4.2. 천체 관련[편집]
현재 이 문서 토론에 천체 문서 네이밍 관련 스레드가 있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M31, M45 등의 항목이 따로 필요할 지는 모르겠네요
M33의 경우는 삼각형자리 항목에서 잠깐 언급만 되는 정도군요
이렇게 놓고 보니 메시에 목록 관련만 해야 될 게 제법 되네요
M33의 경우는 삼각형자리 항목에서 잠깐 언급만 되는 정도군요
이렇게 놓고 보니 메시에 목록 관련만 해야 될 게 제법 되네요
- 플레이아데스 성단은 M45가 아니던가요?
- 그건 제가 흔히 하는(...) 실수들 중 하나네요. 여담으로 M102는 어떤 천체인지 불명확한 모양입니다
- ㄴ 문서를 만들었으나 너무 허접하기 때문에 보강이 필요합니다.
- M57은 일단 틀만 잡아놨습니다.
- 밀코 M32, M110 등 여러항목에서 총기류와 이름이 같아 항목 작성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메시에 천체 목록 문서들의 틀을 일치시키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
- NGC 전체 전체 목록... 을 작성하면 좋겠으나 전체 목록이 8천개에 육박하는 관계로...
ㄴ 일단 메시에목록만 먼저 정리해보죠, 천문노트에 자료가 좀 정리되어 있으니 유명한 것들 먼저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ㄴ 현재 M2~M14작성완료. 특정한 이름이 있는게 아닌 메시에 목록은 미군 무기체계때문에 부득이 M~(천문학)이라 작성하였습니다. 내용이 부실한 점이 많으니 추가바랍니다.
- 메시에 천체 목록중 이름이 없는 천체들의 문서명이 Mxx, Mxx(천문학), 메시에 xx 등으로 중구난방하여 임의로 메시에 xx로 통일하였습니다.
- 2016.11.17 메시에 천체 목록 110개의 문서가 완료되었습니다. 혹여 부족한 내용은 추가바랍니다.
- 성단 문서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ㄴ 기본적인 것만 써놨으니 추가 바랍니다.
- 각 계절별 별자리를 정리해 놓은 문서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ㄴ 계절별 별자리 문서는 만들었습니다만 이미 각 별자리마다 항목이 있어 세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 싶어 넣지 않았습니다. 알파성과 베타성만 표기했는데 그 외에 알아둬야 할 별이 있거나 추가하실 내용 있으시면 항목 보강 부탁드립니다.
- 은하 필라멘트나 우주 거대 구조 작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둘은 비슷하지만 좀 다른데, 따로 작성할지 말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둘이 같은거라고 알고있는 사람들이 은근 많아서 통합한 뒤 거기서 다르다는 걸 설명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 저는 같이 작성하면 같은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따로 작성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봅니다. 우주 거대 구조 문서 안에 은하 필라멘트 등의 문서는 따로 문단을 넣어서 링크를 넣는 식으로요.
- 거대 구조(대규모 구조)를 의미하는 영문 위키백과 Observable universe 문서 내의 Large-scale structure 항목은 주구장창 필라멘트와 거시공동(void) 내용 뿐인데 굳이 쓸 필요가 있을까요? 이것들이 모인 구조를 cosmic web, bubble structure 라고 비유하는 표현이 많을 뿐 그 자체가 필라멘트나 거시공동과 구분될 정도로 의미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 같은데요...
- 그렇다면 맨 윗분의 말처럼 통합하고 거기서 다르다고 설명해도 괜찮겠네요.
- 거대 구조(대규모 구조)를 의미하는 영문 위키백과 Observable universe 문서 내의 Large-scale structure 항목은 주구장창 필라멘트와 거시공동(void) 내용 뿐인데 굳이 쓸 필요가 있을까요? 이것들이 모인 구조를 cosmic web, bubble structure 라고 비유하는 표현이 많을 뿐 그 자체가 필라멘트나 거시공동과 구분될 정도로 의미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거 같은데요...
- 저는 같이 작성하면 같은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서 따로 작성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봅니다. 우주 거대 구조 문서 안에 은하 필라멘트 등의 문서는 따로 문단을 넣어서 링크를 넣는 식으로요.
- 우주 거대 구조에 장성(필라멘트)와 거시공동(보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통합하려 합니다.
- 게자리 55
- 주계열성 문서의 분류와 하버드 분류법 문서 내용이 겹치는데 이 부분을 하버드 분류법으로 넘기는게 어떨까요
- 이미 여러 문서로 나뉘었지만 뒤늦게라도 말하자면 그 의견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동의합니다.
- 찬성합니다.
- 허블 분류 은하 분류에 허블 분류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은하 문서의 하위 항목으로 은하/분류를 만들어서 거기로 통합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 혹시 시간 있으신분은 틀:별자리 를 각 별자리별 문서에 추가해주셨으면 합니다. (현재 가나다순 처음 8개만 적용되있는걸로 확인. 2017-02-01)
- 청색초거성이나 황색초거성과 같이 별 분류표에서 설명이 안되있는 부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 시간 나시면 추가해주시길 바랍니다.
- 메시에나 ngc 목록을 제외한 기타 천체목록(abell,arp 등등)의 문서 작성은 어려우겠죠?
4.3. 우주 이론 관련[편집]
- 색등급도 (H-R 도)
- 여키스 분류법
- 별의 종족
- 뉴트로늄 (중성자 물질)
- 나선 은하
- 타원 은하
- 불규칙 은하
- 내위성, 외위성
- 규칙 위성, 불규칙 위성
- 별의 등급 - 항목을 절대등급과 겉보기등급으로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했으면 합니다.
- 허블상수-- * 허블상수는 허블방정식과 같이 통합하여 서술하고 허블방정식 자체는 빅뱅 우주론의 하위항목으로서 작성하는것이 더 적합하다고 사료됩니다.
-
빅뱅 - 전부 빅뱅이론으로부터 나온건데 볼륨 자체에 문제가 많아보입니다. 드라마 빅뱅이론이 빅뱅이론을 차지하고 있는데다가 항목 자체도 빅뱅보다 거기서 나온 다른 내용이 훨씬 많습니다.현재 빅뱅 우주론 문서를 새로 작성하여, 여러곳에 흩어져있던 빅뱅 관련 문서와 항목들을 모두 모았습니다. ☞보완된 문서로 - 거리의 사다리
- 흑체복사
- 에딩턴 광도
- 폴리트롭 - 편집툴이 따라와주기만 하면 간단한 소개정돈 하고 싶네요. 영문위키와 아카이브 참조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 찬드라세카르 한계
- 로쉬의 한계
- 평행 우주
- 악의 축(우주) : axis of evil. 현대 천체물리학계의 대표적인 미스터리로 거론되고 있는 그것입니다. CMB 상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4.4. 천문학자[편집]
- 아리스타리코스
- 히파르코스
- 조르다노 브루노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윌리엄 허셜
- 에드먼드 핼리
- 에드윈 허블
- 얀 오르트
- 조지 가모프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아서 스탠리 에딩턴
- 조르쥬 르메트르
- 브라이언 슈미트
- 솔 펄머터
- 마틴 슈바르츠쉴트
- 칼 슈바르츠쉴트
- 티코 브라헤
5. 작업 중인 문서[편집]
항목만 만들고 작성 도중인 문서는 보기 편하게 여기 적어주세요.
- 적색편이 - 뼈대만 대충 잡았습니다. 보강 부탁드립니다.
- 에드윈 허블 - 토막글로 형태만 잡아놓은 상태입니다.
- 윌리엄 허셜 - 위와 같습니다.
- 가이아 우주 망원경 - 보강이 필요합니다.
- Great Observatories Program - 정식 한국어 타이틀을 모르겠습니다.
6. 프로젝트 성과[편집]
생성되었거나 보완된 문서는 날짜와 함께 아래에 적어주세요.
6.1. 프로젝트 시작 후 생성된 문서[편집]
- 2015-07-19 산개성단 문서 생성
- 2015-07-19 은하 관련 문서 허블 분류로 리다이렉트
- 2015-07-19 밀집성 문서 생성
- 2015-07-24 색등급도 문서 생성
- 2015-08-10 하버드 분류법 문서 생성
- 2015-08-10 계절별 별자리 문서 생성
- 2015-08-10 2007 OR10 문서 생성
- 2015-08-19 균시차 문서 생성
- 2015-08-25 칭동 문서 생성
- 2015-09-10 에드윈 파월 허블 문서 생성
- 2015-09-11 윌리엄 허셜 문서 생성
- 2015-09-23 이토카와 문서 생성
- 2015-09-24 스타호핑법 문서 생성
- 2015-09-30 콰오아 문서 생성
- 2015-10-07 인테람니아 문서 생성
- 2015-10-25 마이클 브라운 문서 생성
- 2015-11-01 자전 주기 문서 생성
- 2015-11-01 회합 주기 문서 생성
- 2015-12-11 위성은하문서 생성
- 2016-01-20 빅뱅 우주론 문서 생성 - 빅뱅이론과 관련된 모든 문서와 항목을 이동하였으며, 각 문서는 리다이렉트 완료.
- 2016-01-24 공전 주기 문서 생성
- 2016-01-25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문서 생성
- 2016-01-31 에리다누스자리 82 문서 생성.
- 2016-02-20 M15~M27, 틀:메시에 천체 목록 생성.
- 2016-02-23 우주/역사 문서 생성
- 2016-03-02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문서 생성.
- 2016-04-13 볼프–레이에별 문서 생성.
- 2016-04-18 여키스 분류법 문서 생성.
- 2016-05-15 STS-125 문서 생성. 천문학 관련 내용의 보강 필요.
- 2016-06-25 샤를 메시에 문서 생성. 메시에 41까지 작성. 오리온 성운~플레이아데스 성단 작성중
- 2016-08-19 목동자리 왜소은하 문서 생성.
- 2016-09-13 M72까지 작성.
- 2016-11-17 메시에 천체 목록 110개 완성.
- 2017-02-01 틀:별자리 문서 생성.
- 2017-05-28 2014 OL339 문서 생성.
- 2017-07-01 정점 시율 문서 생성.
- 2017-09-26 허블 울트라 딥 필드 문서 생성.
- 2018-01-11 대전시민 천문대 문서 생성.
- 2018-01-11 서귀포천문과학문화관 문서 생성.
- 2018-05-16 오우무아무아 문서 생성
- 2018-12-21 2002 MS4 문서 생성
- 2019-03-08 살라시아 문서 생성
- 2019-06-02 알기에바(항성) 문서 생성
- 2019-08-04 딥 스페이스(탐사선) 문서 생성
- 2019-08-25 2019 LF6 문서 생성
- 2019-08-26 2010 JO179 문서 생성
- 2019-08-27 2018 VG18 문서 생성
- 2019-09-01 2013 FY27 문서 생성
- 2019-09-22 골트 문서 생성
- 2019-10-02 보리소프 문서 생성
- 2019-10-04 2002 AA29 문서 생성
- 2019-10-06 2008 KV42 문서 생성
- 2020-01-25 2020 AV2 문서 생성
- 2020-02-01 다프니스(위성) 문서 생성
- 2020-02-21 1991 VG 문서 생성
- 2020-02-21 2001 SN263 문서 생성
- 2020-02-24 루시(탐사선) 문서 생성
6.2. 프로젝트 시작 후 보완된 문서[편집]
- 2015-07-24 성단 문서로 산개성단과 구상성단 문서 이동
- 2015-07-30 세레스를 마지막으로 다섯 왜행성의 천체 정보 추가 완료
- 2015-09-06 마젤란 은하 문서를 마젤란에서 분리 생성 및 보완
- 2016-01-23 위성은하 문서 보완.
- 2016-04-15 평행우주 문서 보완.(추가 바랍니다)
- 2016-04-21 주계열성 문서 중 일부를 하버드 분류법으로 이동
- 2018-04-16 알베도 문서의 리다이렉트를 반사율로 설정
- 2018-12-29 IC 1101 문서 보완.
- 2019-01-24 EQ J221734.0+001701 문서 작성.
- 2019-12-04 성간 천체 문서 보완.
- 2020-02-08 2002 MS4 크기 갱신.
- 2020-02-09 인테람니아 크기 갱신.
- 2020-02-24 가이아 우주 망원경 문서 재생성 및 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