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프로젝트/한자

덤프버전 : r20200302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나무위키:프로젝트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나무위키:프로젝트/한자/성과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 c7c7c7.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프로젝트는 전 관리자 base64의 허가를 받고 개설되었습니다. #

파일:나무위키한자프로젝트.png

1. 개요
2. 프로젝트 홍보
3. 프로젝트의 목적
4. 참가 방법
4.1. 문서 생성
4.2. 문서 작성 시 조건
4.2.1. 호환용 한자 문제
4.3. 예시
4.3.1. 훈음이 둘 이상일 경우의 예시
4.4. 문서 편집 방향
4.5. 팁
4.5.1. 용례
4.5.1.1. 고사성어
4.5.1.2. 인명
4.5.1.3. 지명
4.5.2. 자원(字源) 설명
4.5.3. 육서 분류
4.5.3.1. 회의자와 형성자
5. 참가자 서명
6. 문서 편집 필요
6.1. 작성이 필요한 문서
6.2. 보충이 필요한 문서


1. 개요[편집]


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는 2016년 10월 29일에 사용자 SVHL이 개설한 프로젝트입니다.


2. 프로젝트 홍보[편집]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홍보해주세요.


3. 프로젝트의 목적[편집]


이 프로젝트는 한자(漢字)들이나 한자와 관련된 내용의 문서를 만들거나 보충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또한, 한자 문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한자가 등장하는 문서에 역링크를 겁니다.


4. 참가 방법[편집]



4.1. 문서 생성[편집]


  1. 등재하고자 하는 한자를 한자/목록 문서에서 찾습니다.
  2. 없으면 문서를 만듭니다.
  3. 문서 작성을 끝마쳤으면 한자/목록, 한자/목록/총획순, 한자/목록/부수별 문서에 가서 목록에 자신이 등재한 한자를 차례에 맞게 추가합니다.
  4. 한자의 훈음을 리다이렉트 문서로 추가합니다. -> 이거 꼭 지켜 주세요.


4.2. 문서 작성 시 조건[편집]


  • 템플릿:한자
  • 문서를 생성할 때 아래에 있는 템플릿을 문서 상단에 삽입하여 해당 한자의 개략 정보를 서술합니다:


훈(訓)

음(音)

부수

획수

신자체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간체자

중국어 병음(표준어)

① : 한자
② : 한자의 훈음(ex.하늘 천)
③ : 한자의 뜻
④ : 한자의 소리
⑤ : 한자의 부수
⑥ : 총 획수
⑦ : 해당 한자의 신자체
⑧ : 일본어 음독
⑨ : 일본어 훈독
⑩ : 해당 한자의 간체자
⑪ : 표준 중국어 병음(발음)
문법 :
||<|4><table align=right><:><width=40%>'''{{{#!html<span style="font-size:35pt">①</span>}}}'''[br]②||<:>'''훈(訓)'''||<:>③||
||<:>'''음(音)'''||<:>④||
||<:>'''부수'''||<:>⑤||
||<:>'''획수'''||<:>⑥||
||<-3>||
||<:>'''[[신자체]]'''||||<:>{{{#!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⑦</span>}}}||
||<:>'''일본어 음독'''||||<:>⑧||
||<:>'''일본어 훈독'''||||<:>⑨||
||<-3>||
||<:>'''[[간체자]]'''||||<:>⑩||
||<:>'''중국어 병음(표준어)'''||||<:>⑪||

  • 신자체나 간체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한자라면 해당 칸을 비워주시기 바랍니다.
  • '일본어 음독'란에는 가타카나로, '일본어 훈독'란에는 히라가나로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은 굳이 넣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 단, 우측 정렬을 하셨으면 표가 본문을 침범하지 않기 위해

      문법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 템플릿 추가는 강제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형하거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분류:XX급 한자]]
    를 꼭 써주시기 바랍니다.

  • 한자는 다른데 훈음이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 은 둘 다 '나타날 현'으로 읽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훈음을 메타 문서로 하고 각 한자를 문서로 만들면 됩니다. 이는 토론에서 합의된 사항이니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설명이 이해가 되지 않으신다면 나타날 현이나 끊을 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1. 호환용 한자 문제[편집]


    호환용 한자를 문서 제목으로 사용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호환용 한자란 음이 두 개 이상인 한자가 유니코드 상에서 중복 배당된 것을 말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 과 같이 같은 한자인데 한 쪽은 문서가 없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통합 한자만을 문서 제목으로 쓸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하지만 본문에는 일부러 구분지어 놓은 경우도 있으므로, 그 한자는 편집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대처법 :
    • 완성형/중복 한자에 중복 한자 목록이 나옵니다. '통합 한자' 행이 표제어로 삼아야 할 한자입니다. Ctrl + F를 눌러서 페이지 내 검색으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호환용 한자는 주로 두음법칙이 적용된 음으로 한자 변환을 할 때 나타나니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음[1]으로 변환한 한자를 제목으로 삼아 주시기 바랍니다. 두음법칙이 아닌 경우에는[2] 완성형/중복 한자#s-4의 '종류' 행에 '일반'이라고 적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호환용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U+F9xx, U+FAxx, U+2F8xx, U+2F9xx, U+2FAxx로 시작한다는 점으로도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3]
    • 문서 생성할 때 한자가 음이 두 개 이상인 걸 알게 되면 '혹시 나 지금 중복된 한자로 문서생성하고 있는 거 아닌가?'하는 의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호환용 한자는 리다이렉트도 불가능합니다.[4] 2018년 현재로선 기존의 통합 한자를 표제어로 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최선인 것 같습니다.


    4.3. 예시[편집]



    지날 경
    훈(訓)
    지나다
    음(音)

    부수
    糸 (실사)
    획수
    13획
    신자체

    일본어 음독
    キョウ·キン·ケイ
    일본어 훈독
    たつ·へる
    간체자

    중국어 병음(표준어)
    jīng
문법 :
||<|4><:><tablealign=right><width=40%>'''{{{#!html<span style="font-size:35pt">經</span>}}}'''[br]지날 경||<:>'''훈(訓)'''||<:>지나다||
||<:>'''음(音)'''||<:>경||
||<:>'''부수'''||<:>糸 (실사)||
||<:>'''획수'''||<:>13획||
||<-3>||
||<:>'''[[신자체]]'''||||<:>{{{#!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経</span>}}}||
||<:>'''일본어 음독'''||||<:>キョウ·キン·ケイ||
||<:>'''일본어 훈독'''||||<:>たつ·へる||
||<-3>||
||<:>'''[[간체자]]'''||||<:>经||
||<:>'''중국어 병음(표준어)'''||||<:>jīng||





4.3.1. 훈음이 둘 이상일 경우의 예시[편집]



풍류 악, 즐길 락, 좋아할 요
훈(訓)
풍류
즐기다
좋아하다
음(音)



부수
木 (나무 목)
획수
15획
신자체

일본어 음독
ガク
ラク
ギョウ, ゴウ
일본어 훈독
かなでる
たのしむ
간체자

중국어 병음(표준어)
yuè

yào
문법 :
||<|4><:><table align=right><width=40%>'''{{{#!html<span style="font-size:35pt">樂</span>}}}'''[br]풍류 악, 즐길 락, 좋아할 요||<:>'''훈(訓)'''||<:>풍류||<:>즐기다||<:>좋아하다||
||<:>'''음(音)'''||<:>악||<:>락||<:>요||
||<:>'''부수'''||<-3><:>木 (나무 목)||
||<:>'''획수'''||<-3><:>15획||
||<-5>||
||<-2><:>'''[[신자체]]'''||||<-4><:>{{{#!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楽</span>}}}||
||<-2><:>'''일본어 음독'''||<:>ガク||<:>ラク||<:>ギョウ, ゴウ||
||<-2><:>'''일본어 훈독'''||<:>かなでる||<-2><:>たのしむ||
||<-5>||
||<-2><:>'''[[간체자]]'''||||<-3><:>乐||
||<-2><:>'''중국어 병음(표준어)'''||<:>yuè||<:>lè||<:>yào||





4.4. 문서 편집 방향[편집]


1. 새로운 한자 문서를 등재할 때나 기존 한자 문서에 훈음 리다이렉트가 없는 것을 발견하였을 시 훈음 리다이렉트를 추가합니다.
2. 용례 부분은 가나다순으로 편집합니다.
3. 용례 항목의 하위 항목은 단순 한자어, 고사성어, 인명/지명, 창작물 사례 등의 순서로 합니다.

<기타>
4. 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 분류:같은 한자를 세 개 합친 한자, 분류:같은 한자를 네 개 합친 한자가 있으니 이런 모양의 한자를 문서로 만드실 때 분류를 넣어주시면 좋겠습니다.


4.5. 팁[편집]


한자의 정보를 찾고자 할 때에는 네이버 한자사전[5], goo辞書[6], 漢典[7], 윅셔너리 영문판[8] 등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4.5.1. 용례[편집]


네이버 한자사전 단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용어들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용례를 입력할 때는 가급적 나무위키에 문서로 등록되어 있는 단어, 혹은 자주 쓰이는 단어 위주로 입력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4.5.1.1. 고사성어[편집]

네이버 한자사전 고사성어·숙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고사성어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4.5.1.2. 인명[편집]

  • 위키백과 검색창에 성씨로 자주 쓰이는 한자(예컨대 金, 李, 朴 등) + 띄어쓰기 + 해당 한자를 검색하면 해당 한자를 쓰는 인명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일본인 인명에 쓰이는 사례는 일본의 성씨/ㄱㄴㄷ순 문서에서 Ctrl + F로 페이지 내 검색을 통해 찾아보시면 도움이 됩니다.[9]


4.5.1.3. 지명[편집]

  • 위키백과 검색창에 해당 한자 + 띄어쓰기 + 행정구역 단위를 나타내는 한자(예를 들어 道(도), 市(시), 洞(동), 郡(군), 邑(읍), 里(리), 面(면), 県(현)[일본], 都(도)[일본], 町(정)[일본], 省(성)[중국], 县(현)[중국], 区(구)[10] 등)를 검색하면 해당 한자를 쓰는 지명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네이버 한자사전 단어 탭에 한자를 검색하면 그 한자가 쓰이는 한국의 지명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주로 페이지 끝자락에 나와 있습니다.


4.5.2. 자원(字源) 설명[편집]


현재 한자의 표준 자형은 원시적인 형태에서 매우 크게 벗어났기 때문에, 현재 자형을 기준으로 자원을 풀이하려고 하면 경우에 따라 매우 잘못된 해석을 낳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서체 중에서 한자의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서체는 갑골문이므로, 자원을 설명할 때는 가급적 갑골문을 기준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온라인 상으로 검색할 때는 구글에다가 '(찾고자 하는 한자) 甲骨文'이라고 입력한 다음 이미지를 검색하면 웬만해서는 나오지만, 되도록 여러 자형을 참고하고 싶을 때는 汉字字源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정리가 매우 잘 되어 있지만 모든 갑골문을 수록한 것은 아니어 보이니, 자원을 명확히 하고 싶은 기여자는 여러 사전을 검색하며 비교할 것을 권장합니다. 네이버 사전에 올라와 있는 풀이는 근거를 알 수 없는 것도 있으니 적절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 古今文字集成, 漢語多功能字庫 등의 사이트도 참고할 만합니다.


4.5.3. 육서 분류[편집]


해당 문서에도 충분히 설명되어 있지만, 육서는 한자를 분류할 때 그다지 좋은 기준이 되지 못합니다. 자원을 풀이하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상형자지사자, 회의자형성자, 독체자와 합체자가 얼마든지 오락가락할 수 있는 것이 육서입니다. 따라서 복수의 카테고리에 해당한다고 의심되거나 어느 쪽에 분류할지 감이 잘 안 잡힌다고 생각될 시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명시해 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5.3.1. 회의자와 형성자[편집]

회의자와 형성자에 관해서는 항상 조심스럽게 다뤄야 합니다. 어떤 글자가 형성자인지를 판별할 때는 현대의 한국 한자음을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한자가 만들어질 당시와 현대 사이에는 2000년이 넘는 간극이 존재하며, 그 동안 한자음은 영어의 대모음추이보다도 더한 극심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형성자 판별을 위해서는 시경 등을 통해 압운을 찾아 보고, 상고음에서 중고음으로 넘어갈 때의 음운 변화 규칙을 숙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중국 음운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Pulleyblank, Zhengzhang Shangfang, Baxter–Sagart 등의 언어학자들이 재구한 상고음을 토대로 판별하고 서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Zhengzhang Shangfang, Baxter–Sagart의 재구음은 비교적 최근에 연구된 것이기도 하고, 온라인 상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글자가 형성자라고 판단될 경우, 성부(聲符)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소위 우문설)은 되도록 삼가시기 바랍니다. 독자에게 도리어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의미를 부여한다고 해도, 성부가 성부임을 명시하고, '성부에 이러이러한 식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라는 식의 열린 서술을 권합니다.


5. 참가자 서명[편집]


  • 개설자
    • SVHL[영구차단]
  • 참가자
    • LR11
    • Wikipedia[영구차단]
    • e080hsm
    • jinmy0413
    • meatloaf
    • treecyclopedia
    • blackbox20150927
    • seohae1999[영구차단]
    • cdkshadow
    • mint
    • dorabiarep
    • Ev3rlasting_
    • yellowlove[영구차단]
    • ktiger0412
    • wopre
    • 이:나르누[영구차단]
    • 가을사람
    • mikajja
    • ToPenKun
    • slsnsn01
    • minkh1208
    • Alowercreature2[영구차단]
    • qudtnf2006
    • jhp0148
    • Luke
    • PyeongchonSoha9648
    • unitedkingdon1015
    • Alowercreature2
    • AraragiKoyomi
    • kinsunbe123
    • Quaral
    • Yunchikztunes437
    • ufo001
    • cgj5232
    • yh1
    • kira248
    • dgr487
    • sweethan810
    • KiPyu
    • kid219
    • nextspaceedition0110
    • EunDaeng

6. 문서 편집 필요[편집]



6.1. 작성이 필요한 문서[편집]


작성된 문서는 목록에서 지워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문어조사

[ 펼치기 · 닫기 ]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틀을 좀 만들어봤습니다. 여기 있는 것들 문서로 만들어서 문법적 기능을 설명해야 합니다. '그 외'는 기본적인 뜻은 어조사가 아니지만 어조사로 쓸 때도 있는 한자들입니다. 그 중 대부분은 개별 문서로 만드는 것이 무의미할 것 같아서 링크는 안 걸었습니다. 아예 문서 이름을 '어조사 마'로 하고 그 훈음을 가진 한자 3개는 리다이렉트 거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링크가 걸려 있는 것들은 문서로 만들어야 할 것 같은 한자들입니다. 그 이외에도 문서로 만들면 좋을 것 같은 한자들은 개별 문서로 만들어주세요. 문서 만들 때는
[include(틀:한문의 어조사)]

이렇게 넣어주세요.



6.2. 보충이 필요한 문서[편집]


내용이 부족하거나 토막글인 문서를 여기에 기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새 한자 문서를 만드셨으면 한자/목록에만 추가하지 마시고 부수별, 총획순 목록에도 추가해주세요!


7. 프로젝트 성과[편집]


문서가 길어져 분리되었다. 나무위키:프로젝트/한자/성과 문서 참고.


[1] 예를 들어 力 력(O), 역(×)[2] 예컨대 金(김, 금)[3] 이곳에서 유니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TF-16 란에 나옵니다.) 또는 한자/BMP 문서 참고.[4] 호환용 한자를 리다이렉트 처리하려고 하면 편집창이 리다이렉트 대상의 편집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나무위키 엔진의 기술 문제인 것으로 보입니다.[5] 훈, 음, 부수, 획수, 한자검정시험 급수 등. [6] 신자체, 훈독, 음독 등. [7] 간체자, 중국어 병음 등. [8] 중국어 언어별 발음(광동어, 객가어, 민둥어, 민난어, 우어 등), 베트남어(쯔놈) 발음, 유니코드, 주음부호, 창힐수입법 입력방법 등. [9] 단 이 경우에는 성씨만 검색되고 이름에 쓰이는 사례는 찾기 힘듭니다.[일본] A B C 주로 일본.[중국] A B 주로 중국.[10] 일본, 중국 공통. [영구차단] A B C D E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