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루/경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나우루

오세아니아경제
오스트랄라시아
[[호주/경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뉴질랜드/경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멜라네시아
[[바누아투/경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경제|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푸아뉴기니/경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피지/경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경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마셜 제도#경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경제|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키리바시#경제|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팔라우#경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경제|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통가#경제|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투발루/경제|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uru_Denigomodu-Nibok.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uru_on_the_globe_%28Polynesia_centered%29.svg.png

1. 개요
2. 산업(?) 구조
2.1. 관광



1. 개요[편집]


나우루는 2017년 통계로는 1인당 국민소득이 8,570달러여서 지금은 많이 나아진 상태이고 실업률도 많이 낮아졌다. 폐허로 변한 인광석 채굴시설과 기름이 없어 길가에 버려져있는 폐차들이 과거를 말해주고 있을 뿐이다.

한정된 자원 의존형 경제 몰락의 모델로 자원의 저주의 살아있는 표본.

2. 산업(?) 구조[편집]


현재 나우루의 유일한 수출 품목은 얼마 되지 않는 인광석. 수입품은 거의 모든 생활 필수품. 남아있는 인광석이 얼마 안 되다 보니 푼돈밖엔 못 벌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수입원을 궁리해 냈다. 바로 참치 조업권. 외국의 어선들이 나우루 해역의 풍부한 참치를 잡게 해주는 대신, 그 대가로 라이선스료를 받는 것. 근데 요즘은 개체수가 줄어 이것도 영 시원찮다. 2004년에 인광석으로 64만불 정도 벌었는데, 참치 조업 허가료로 300만불 정도 벌었으니 꽤 큰 수입원이다. 물론 나우루는 직접 어업을 하지는 않는다.[1] 그러나 뭐니뭐니 해도 가장 큰 수입원은 원조. 호주뉴질랜드, 대만[2]에서 주로 원조를 받는데, 호주에서만 1년에 2천만 불을 받는다.

2001년~2008년, 그리고 2012년부터 호주로부터의 원조를 받고 있으며 그 대가로 호주의 난민 수용소가 나우루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상당수의 나우루인들도 난민수용소에서 일하면서 돈벌이를 하고 있다. 단, 내부 시설 직원들의 자질이 그리 좋지 않은 데다가 좁은 섬에서 뭐 할 만한 것이 별로 없는 관계로 이런저런 애로사항이 있다고.

국제무대에서의 표팔이로도 돈을 버는 듯. 자세히 설명하자면 국제포경회의에서 포경지지국인 일본, 노르웨이 등에 찬동하여 찬성표를 던지거나, 러시아의 입김을 강하게 받는 조지아 내의 미승인국남오세티야, 압하스 공화국을 승인해 주거나 하는 등이다. 이 두 곳을 나라로 인정해 주는 곳은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바누아투[3], 투발루의 5~6개국뿐이다. 이런 대가로 해당국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것이다.[4] 사실 바누아투와 투발루도 국제무대에서 표팔이로 생계를 유지하는 모양이다.[5] 한편 2013년 UN에서 열린 팔레스타인의 옵저버 가입에 대해 미국, 이스라엘 등 9개국이 반대했는데, 그 중 하나다.[6] 미국에게도 지원을 받는 듯 하다. 그리고 이젠 타이완 동맹 보호법 덕분에 조금 더 나아질 듯 하다.

2.1. 관광[편집]


얼마 안 되는 관광으로도 돈을 조금이나마 벌고는 있는 듯. 자세한 건 나우루/관광 문서 참고. 갔다온 사람들의 평가에 의하면 음식 맛도 괜찮았고 직원들도 상당히 친절했다고. 불친절하게 굴다가 소문나면 그나마 오던 사람들 다신 안 올 테니까... 또, 리즈 시절에 샀다가 현재는 방치된 차량 같은 것들도 의외로 폐허 관광의 일환으로 인기가 있는 듯 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0:12:23에 나무위키 나우루/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고 싶어도 못 한다. 대규모 원양 어업을 지탱할 정도로 충분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횟감 등의 신선한 고급 참치 공급을 위해서는 전용 처리시설이 갖춰진 대형 선박과 항공편 등을 위한 빠른 수송역량이 필수적인데... 이걸 갖출 정도로 충분한 자본이 나우루엔 없다.[2] 대만의 몇 안 되는 수교국이며 호주와 함께 나우루에 대사관을 두고 있는 둘뿐인 국가다.[3] 바누아투는 압하스 공화국만 승인하고, 남오세티야는 승인하지 않았다.[4] 남오세티야, 압하스의 승인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5천만 달러를 받았다는 비공식적인 소문이 있다. 말은 소문이지만 기정사실[5] 바누아투와 투발루, 나우루 모두 친미진영의 코소보도 국가로 승인하고 있다.[6] 사실 당시 반대했던 국가 중 캐나다, 미국, 체코, 이스라엘을 제외하면 모두 표팔이로 어느 정도 사는 국가들이고, 그 중에서 파나마를 제외한 4개국은 모두 남태평양 국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