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전 화문 동경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40호
나전 화문 동경
螺鈿 花文 銅鏡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면적
1개
지정연도
1971년 12월 21일
제작시기
시대미상(또는 통일신라)[1]

파일:국보140호나전화문동경.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40호


1. 개요[편집]


螺鈿 花文 銅鏡. 나전단화금수문경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나전 화문 동경은 후면을 나전기법으로 장식하여 만든 지름 18.6 cm, 두께 0.6 cm짜리 청동거울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 소유였던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 가운데 상당수가 그렇듯이, 나전 화문 동경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현재로선 모르고 단지 가야 지방에서 출토되었다고만 알려졌다.[2] 정식적인 학술 조사를 통한 발굴로 발견된 유물이 아니라서 정확한 출토지를 모르기 때문에, 이 거울이 어디 계열 유물일지 그리고 언제쯤 만들어졌을지도 정확하게는 알 수가 없다.

파일:정창원 초심지가위와 자개거울.jpg

다만, 일본 나라시동대사에 위치한 정창원에 나전 화문 동경과 유사한 청동거울이 있다고 하는데, 이에 비추어 나전 화문 동경을 제작시기를 통일신라시대 8-10세기 무렵이라고 추정한다.[3]

나전 화문 동경은 1971년 국보 제140호로 지정되었고,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에서 소장 중이다.


2. 내용[편집]


나전 화문 동경은 한반도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나전 유물로 추정하는데, 나전기법으로 장식된 유일한 거울 유물이기도 하다.[4]

거울의 앞면은 현존하는 금속 거울들이 그렇듯이 이미 다 마멸되어 더이상 빛을 반사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나전기법으로 박아 넣은 자개들로 화려하게 치장된 거울의 뒷면은 여전히 아름다운 모습을 잘 간직했다.

거울 뒷면 중앙에 자개로 장식된 꽃 문양을 중심으로 그 아래와 위로 또 다른 중간 크기의 꽃 문양을 한 개씩 장식했고, 이외에도 작은 꽃 문양을 여기저기 넣었다. 또한 자개로 된 꽃잎의 내부에는 붉은빛을 띄는 호박을 넣어 화려함을 더했다. 중앙의 꽃 문양 좌우로는 사자로 보이는 짐승과 새, 낮은 산봉우리를 역시 자개로 표현했다. 문양의 사이마다 비어있는 옻칠된 표면 위로는 푸른색 (또는 터키석) 조각들로 빈틈을 채워 촘촘하게 박았다.[5]

제작된 지 이미 오랜 세월이 흘러 이제는 다소 원형(原型)의 빛이 바래긴 했지만, 자개 특유의 흰 색깔과 보석들의 붉은색, 푸른색이 여전히 서로 확연하게 대비된다. 본래는 대단히 화려하게 장식된 청동거울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나전 화문 동경의 더 자세한 정보를 현재로선 알 수가 없어 안타깝지만, 이 거울을 통해 고대 한반도의 나전기법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고 여기에 더해 고대 한반도의 공예 기술뿐만이 아니라 미적인 감각도 뛰어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나전 화문 동경은 예술적인 가치와 학술적인 중요성을 인정받아 1971년 12월 21일 국보 제140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140호[편집]



가야 지역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나전기법으로 만든 거울로 지름 18.6㎝, 두께 0.6㎝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나전 공예품으로, 이와 같은 나전기법으로 만든 거울이 일본 정창원에 보관되어 있어 특히 주목된다.

거울 뒷면 가장자리에는 둥글게 구슬모양의 띠를 두르고 그 안에 작은 꽃모양들이 있고, 꽃잎 안에는 호박을 박아 놓았다. 뒷면 전체에 화려한 모란문을 장식하고 좌우에 각각 사자와 새를 배치하였는데, 문양 사이에는 두꺼운 칠을 한 푸른색 옥을 박았다.

정창원 소장 나전거울과 유사한 8~10세기 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전 공예품으로서 가치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5:17:53에 나무위키 나전 화문 동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나전 화문 동경의 제작시기를 시대미상으로만 밝혀놨다.[2] 출처: 두산백과 - 나전 화문 동경[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나전 화문 동경[4] 출처: 두산백과 - 나전 화문 동경[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나전 화문 동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