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진 실드에서 넘어왔습니다.
나진 화이트 실드
(♥ 0)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나진 e-mFire 소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한국의 유명한 리그 오브 레전드 클랜이었던 EDG[1] 가 그 전신이다. 팀 이름이 실드인 것은 수비적인 성향을 띠어서라는데, 2014 시즌 들어서는 별 의미는 없다.
2014 롤드컵 조별 리그 얼라이언스전에서 퍼펙트 게임으로 털리고 다진 퍼펙트 실드라는 별명이 생기더니, 8강 OMG전 이후로는 다진 퍼펙트 실버[2] 라는 불명예까지 얻었다.
팀 약자는 NWS.[3]
롤챔스 통산 114전 56승 58패 승률 49.1%[4]
2. 주요 성적[편집]
3. 선수단[편집]
4. 역사[편집]
4.1. 2012 시즌[편집]

4.2. 2013 시즌[편집]

4.3. 2014 시즌[편집]

5. 전 소속 프로게이머[편집]
- 윤하운(Maknoon) - 2012년 섬머시즌에 나진 블랙 소드로 이적.
- 이우석(Hiro) - kt 롤스터 A로 이적.
- 채우철(viNylCat) - 은퇴 후 나진 e-mFire 플레잉코치로 전향.
- 김남훈(Hoon) - ahq Korea로 이적.
- 김대웅(Mokuza) - 건강문제로 은퇴. 완쾌 후 나진 e-mFire 코치로 전향.
- 배준식(Bang[10] ) - 제닉스 블라스트로 이적 - SKT T1 S로 이적
- 김기범(Raoching) - 임시멤버. 시즌 1 랭킹 1위 출신의 유명 랭커. 모쿠자의 갑작스런 입원으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4강부터 합류했었다.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4강과 3/4위전,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시드 결정전에 출전하였다. 정식 멤버로의 제의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자신은 아직 학생이기 때문에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거절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후 인벤에 들어가서 주말마다 개인방송을 하고 있다...!? 아무래도 부담감이 큰 프로게이머보단 즐겜유저로 활동하면서 돈 버는 쪽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 승리자 - 이재완(a wolf) - CTU로 이적후 SKT T1 S로 이적
- 정인철(Chopuu[11] ) - 나진에서 제의가 와서 합숙하려 했는데 하필
마재윤이 졸업했던 학교여서 허락을 받지 못했다.선견지명그 외 여러 사정으로 팀을 나왔다.출처 팀에 합류하자 마자 NLB 스프링에 나가 전승우승을 하였다. 윈터시즌에 출전했는데 트롤링 문제로 몰수패당했다. - 최윤섭(Locodoco) - Quantic Gaming으로 이적.
- 정노철(NoFe) - 2014년 2월 5일 은퇴.
- 신우영(Seraph) - 계약 만료로 팀 탈퇴. 이후 2014년 5월 CLG에 입단.
- 강범현(GorillA) - 2014년 11월 1일자로 탈퇴 의사를 밝힘.
6. 주요 성적[편집]
7. 기타[편집]
- 2012 서머 이후로 보여준 안 좋은 모습 때문에 다른 팀들이 그날 경기에서 패배하면 '어서오세요.'라고 반갑게 맞아주는 ??? 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 항상 훈과 엑스페션의 사진과 함께 김장훈의 친구여가 BGM으로 깔리는게 특징. 어서오세요
[1] 중국의 Edward Gaming과는 관련 없다.[2] 0:3 영봉패라는 가히 굴욕적인 스코어다.[3] 화이트의 경우 나진 소드나 나진 실드나 영어 중계를 하게 되면 NaJinS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그것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 블랙과 화이트를 부여한 것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팀을 부를 땐 나진 화이트 실드가 아닌 나진 실드라고 불러달라는 나진 관계자의 이야기도 있다.[4] 롤챔스 통산 다승 6위.[5] 舊 아이디 Yellout.[6] 舊 하이트 스파키즈 소속이였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7] 前 삼성전자 칸 소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8] 카오스에서는 지단으로, 와우에서는 츠키요미로 유명했다.[9] 전 Prime Miracle, 진선조으다[10] 舊 아이디 준식짱123.[11] 전 아이디 아네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