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창선대교 붕괴사고

덤프버전 : r20210301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사고 원인
3. 피해
4. 조치



1. 개요[편집]


1992년 7월 30일 오후 5시경,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 위치한 창선대교가 붕괴된 사건으로 다음날에 신 행주대교 붕괴사고가 잇따라 일어났다. 도서낙도에서 벌어진 일인데다가 사건이 발생한 시간대도 통행이 활발한 시간이 아니었기에 사상자 수가 적어 임팩트가 깊은 사고는 아니었지만[1] 2년 2개월여 뒤에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난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전조판이 될 사건이라고 생각치도 못했다.


2. 사고 원인[편집]


1차 조사결과 사고는 붕괴된 교각의 기반이 바닷물의 염분에 의해 조금씩 부식되면서 콘크리트가 부식, 탈락된 데 따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건설교통부는 전문적인 구조분석기관에 의뢰해 붕괴된 교각의 해저부분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조각을 분석, 정확한 사고원인을 밝혀내는 한편 나머지 교각들에 대해서도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진단 결과 붕괴사고의 원인은 영세업체 및 미경험업체에 의한 시공과 유속(V=2.76m/sec)이 심한 수중에 우물통 기초의 위치를 부정확하게 시공하므로써 편심을 야기시켰으며, 우물통 기초의 심도가 낮았고 해수 중에 있는 염분성분에 의한 콘크리트의 중성화로 교량의 기초가 부식된 데에 따른 것으로 밝혀졌다.


3. 피해[편집]


2명이 사망하고, 통화선도 끊겼으며 창선도 주민들은 창선대교가 재개통될때까지 한 동안 불편을 감수해야되었다.[2] 그나마 사람이 자주 다니는 시간대는 아니라서 사상자가 그리 많지않았던것이 그나마 다행이라 할 수 있었던 부분이다.


4. 조치[편집]


붕괴사고 후 신창선교를 건설하기로 계획하였다. 신규 건설기간 중 주민들의 교통 통행과 편의를 위하여 자주식 대형 바지선을 상시 비치하여 차량을 포함한 인원, 화물수송에 대비하였다. 경상남도측 은 창선면 1만여 주민들이 유람선, 도선으로 육지와 통행하고 있으나 승선인원이 30명 내외로 불편을 겪자 군수송선인 LGM 8선을 추가 투입하였다.

국방부에 지원을 건의하여 2억 5천만원을 들여 차량 10대, 승객 50명을 운송할 수 있는 40톤 규모의 페리선을 건조하였고, 유류, 생필품, 가스 등은 도선을 이용해 하루 2차례 공급이 되었다.

[1] 거기에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연일 선전하여 많은 국민들의 관심이 올림픽에 쏠려 있던 것도 한몫했다.[2] 당시에 삼천포 대교가 개통되지 않았을때라서 창선대교만이 유일한 육로교통수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