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름공간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정의
2.1. 노름
2.2. 노름공간
2.3. 연속 쌍대공간
3. 연산
3.1. 곱노름공간
3.2. 몫노름공간
4. 성질
4.1. 연산과 노름의 연속성
4.2. 국소적 볼록공간
4.3. 완비성
4.4. 약한 *-위상
4.5. 함의 관계
5. 예시
6. 둘러보기 틀


Normed Space

1. 개요[편집]


노름공간(노름벡터공간, 노름선형공간)은 각 원소에 크기 또는 길이를 부여할 수 있는 벡터공간이다. 각 원소에 크기를 부여하는 함수를 노름(Norm)[1]이라고 한다. 노름은 두 원소 사이의 거리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노름공간은 거리공간이다.

2. 정의[편집]



2.1. 노름[편집]


[math(\mathbb{K\in\{R,\ C\}})] 위의 벡터공간 [math(X)]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사상 [math(\|\cdot\|:X \rightarrow [0,\ \infty))]를 [math(X)] 위의 반노름(seminorm)이라고 한다.
  • (양의 동차성) 모든 [math(x\in X)]와 [math(a\in \mathbb{K})]에 대하여 [math(\|ax\| = |a|\cdot\|x\|)]
  • (삼각부등식) 모든 [math(x,\ y\in X)]에 대하여 [math(\|x+y\|\le\|x\|+\|y\|)]
다음 조건을 추가로 만족시키는 반노름을 노름이라고 한다.
  • (양의 정부호성) [math(\|x\|=0)]이면 [math(x=0)]이다.
벡터공간 [math(X)] 위의 두 노름 [math(\|\cdot\|_1,\ \|\cdot\|_2)]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두 양수 [math(C_1,\ C_2)]가 존재하면 두 노름 [math(\|\cdot\|_1)]과 [math(\|\cdot\|_2)]를 서로동치라고 한다.

모든 [math(x\in X)]에 대하여 [math(C_1 \|x\|_2\le\|x\|_1\le C_2\|x\|_2)]
[1] 미국식 영어 기준 발음은 /nɔɹm/ 으로, 노음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며 대한수학회의 표준용어로는 노름이지만 대부분은 그냥 '놈'이라고 읽는다. 본 문서에서는 대한수학회의 표준용어를 따라 노름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한국어 노름과는 무관하다.


2.2. 노름공간[편집]


노름이 부여된 [math(\mathbb{K})]-벡터공간을 [math(\mathbb{K})]-노름공간(노름벡터공간, 노름선형공간)이라고 한다. 노름공간 [math(X)]의 벡터 [math(x,\ y)]에 대하여 [math(\rho(x,\ y)=\|x-y\|)]로 정의된 함수 [math(\rho:X\to[0,\ \infty])]는 [math(X)] 위의 거리함수로, 노름공간 [math(X)]에 거리위상을 부여한다. 이러한 위상을 [math(X)]의 노름위상이라고 한다. 이 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노름공간은 노름위상이 부여된 위상벡터공간을 의미한다. 동치인 두 노름은 동치인 거리를 유도하여 노름공간에 동일한 노름위상을 부여한다. 노름위상에서 완비성을 갖춘 노름공간을 바나흐 공간(Banach Space)이라고 한다.

2.3. 연속 쌍대공간[편집]


두 노름공간 [math(X,\ Y)] 사이의 선형사상 [math(T:X\to Y)]에 대하여 임의의 [math(x\in X)]에서 [math(\|Tx\|\le C\|x\|)]를 만족시키는 [math(C\ge0)]가 존재할 경우, 선형사상 [math(T)]를 유계라고 한다. 이는 [math(T)]가 연속사상임과 동치이다. [math(X)]에서 [math(Y)]로의 모든 유계 선형사상의 공간을 [math(L(X,\ Y))]로 나타낸다. [math(L(X,\ Y))]는 다음과 같은 연산자 노름이 부여된 노름벡터공간이다.

[math(\begin{aligned}\|T\|&=\sup\{\|Tx\|:\|x\|=1\}\\
&=\sup\left\{\frac{\|Tx\|}{\|x\|}:x\ne0\right\}\\
&=\inf\{C:\|Tx\|\le C\|x\|\text{ for all }x\}
\end{aligned})]

[math(\mathbb{K})]-벡터공간 [math(X)]에 대하여 [math(X)]에서 [math(\mathbb{K})]로의 선형사상을 선형범함수라고 한다. [math(\mathbb{K})]-노름공간 [math(X)]에 대하여 연속선형범함수 공간 [math(X^*=L(X,\ \mathbb{K}))]를 [math(X)]의 연속 쌍대공간(Continuous Dual Space)이라고 한다. 자명하지 않은 연속선형범함수의 존재성은 한-바나흐 정리에 의해 보장된다.

3. 연산[편집]



3.1. 곱노름공간[편집]


두 노름공간 [math(X,\ Y)]의 직합 [math(X\oplus Y)]에 다음과 같은 곱노름을 부여하면 벡터공간 [math(X\oplus Y)]은 노름공간을 이룬다.

[math(\|(x,\ y)\|=\max(\|x\|,\ \|y\|))]

이는 [math(\|(x,\ y)\|=\|x\|+\|y\|)] 또는 [math(\|(x,\ y)\|=\sqrt{\|x\|^2 +\|y\|^2})]등과 동치이다.

3.2. 몫노름공간[편집]


[math(\mathbb{K})]-노름공간 [math(X)]의 닫힌 [math(\mathbb{K})]-부분공간 [math(W)]에 대하여 몫공간 [math(X/W)]에 다음과 같은 몫노름을 부여하면 벡터공간 [math(X/W)]는 노름공간을 이룬다.

[math(\displaystyle\|x+W\|=\inf_{w\in W}\|x+w\|)]

노름공간 [math(X)]와 부분공간 [math(W)]에 대하여 몫공간 [math(X/W)]가 노름공간을 이루기 위해서는 [math(W)]가 [math(X)]의 닫힌집합이어야 한다. [math(X)]의 부분공간 [math(W)]의 폐포 [math(\overline{W})]는 [math(X)]의 부분공간이므로 [math(W)]가 닫힌집합이 아닌 경우 그 폐포를 취하여 몫노름공간을 얻을 수 있다.

벡터공간 [math(X)] 위의 반노름 [math(\|\cdot\|)]에 대하여 [math(X)]의 닫힌 부분공간 [math(W=\{x\in X:\|x\|=0\})]의 몫공간 [math(X/M)]은 노름 [math(x+W\mapsto \|x\|)]이 부여된 노름공간이다. 이 방법은 [math(L^p)]공간을 구성할 때 활용된다.

4. 성질[편집]



4.1. 연산과 노름의 연속성[편집]


[math(\mathbb{K})]-노름공간 [math(X)]는 위상벡터공간으로 덧셈 [math(+:X\times X\to X )]과 스칼라곱 [math(\cdot:\mathbb{K}\times X \to X)]은 모두 연속사상이다. [math(X)]의 노름 [math(\|\cdot\|)]에 대하여 부등식 [math(\left|\|x\|-\|y\|\right|\le \|x-y\|)]가 성립하므로 노름 또한 [math(X)]의 연속사상이다.
성질 노름의 연속성
-
[math(\mathbb{K})]-노름공간 [math((X,\ \|\cdot\|))]을 유도하는 노름 [math(\|\cdot\|:X\to\mathbb{K})]는 위상공간 [math((X,\ \|\cdot\|))] 위의 연속사상이다.
증명 [math(\|x\|=\|x-y+y\|\le \|x-y\|+\|y\|)]에서 [math(\|x\|-\|y\|\le \|x-y\|)]이고 [math(\|y\|=\|x-x-y\|\le\|x-y\|+\|x\|)]에서 [math(-(\|x\|-\|y\|)\le\|x-y\|)]이므로 [math(|\|x\|-\|y\||\le \|x-y\|)]이다. 임의의 [math(\epsilon>0)]이 주어졌을 때, [math(\delta=\epsilon)]이라 하면 [math(\|x-y\|<\delta)]일 때,
}}}이므로 노름은 연속사상이다.

4.2. 국소적 볼록공간[편집]


[math(\mathbb{K})]-노름공간 [math(X)]는 노름공간은 국소적 볼록 공간이다. 노름 [math(\|\cdot\|)]은 [math(X)]의 볼록함수다.
성질 노름공간의 국소적 볼록성
-
노름공간 [math((X,\ \|\cdot\|))]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노름 [math(\|\cdot\|)]은 노름공간 [math(X)]의 볼록함수다.
* 노름공간 [math(X)]의 단위구 [math(B_X)]는 닫힌집합, 원점대칭, 볼록집합이다.
반대로 볼록성은 삼각부등식을 함의한다. 따라서 양의 동차성과 양의 정부호성을 만족시키는 볼록 실함수는 노름이다. 노름공간은 거리공간으로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므로, 노름공간은 국소적 볼록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4.3. 완비성[편집]


노름공간 [math(X)]의 점렬 [math((x_n))]에 대하여 [math(\sum_{n=1}^{\infty}\|x_n\|)]이 수렴하면 급수 [math(\sum_{n=1}^{\infty}x_n)]를 절대수렴하는 급수라고 한다. 절대수렴성 급수의 수렴은 노름공간의 완비성과 동치이다.
정리 바나흐 공간의 절대수렴 판정
-
노름공간 [math(X)]가 바나흐 공간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X)]의 모든 절대수렴 급수가 수렴하는 것이다.
증명 바나흐 공간 [math(X)]의 절대수렴 급수 [math(\sum_{n=1}^{\infty}x_n)]에 대하여 점렬 [math((S_N))]을 [math(S_N=\sum_{n=1}^{N}x_n)]으로 정의하면 [math(N,\ M\to\infty\ (N>M))]일 때,
}}}이므로 점렬 [math((S_N))]은 코시열로 수렴한다. 즉, 급수 [math(\sum_{n=1}^{\infty}x_n)]는 수렴한다. 반대로, 노름공간 [math(X)]의 모든 절대수렴 급수가 수렴한다고 가정하면 [math(X)]의 코시열 [math((x_n))]에 대하여 각 [math(k\in \mathbb{N})]가 주어졌을 때 [math(m,\ n\ge n_k)]이면 [math(\|x_m -x_n\|<2^{-k})]를 만족시키는 [math(n_k\in\mathbb{N})]가 존재한다. [math(X)]의 점렬 [math((y_k))]를 [math(y_1=x_1)], [math(y_k=x_{n_k}-x_{n_{k-1}}\ (k>1))]로 정의하자. 그러면 [math(\lim_{n\to\infty}x_n=\lim_{k\to\infty}x_{n_k}=\sum_{k=1}^{\infty}y_k)]이고
}}}이므로 [math((x_n))]은 수렴한다. 즉, [math(X)]는 바나흐 공간이다.
두 노름공간 [math(X,\ Y)] 사이의 연속 선형사상 공간 [math(L(X,\ Y))]의 완비성은 [math(Y)]에 의해 결정된다. 즉, [math(Y)]가 완비공간이면 [math(L(X,\ Y))]도 완비공간이다. 이에 따라, 노름공간 [math(X)]의 연속 쌍대공간 [math(X^*)]는 바나흐 공간이다. 한-바나흐 정리에 의해 노름공간 [math(X)]의 영이 아닌 각 벡터 [math(x)]에 대하여 [math(T(x)=\|x\|,\ \|T\|=1)]을 만족시키는 [math(T\in X^*)]가 존재한다. 선형범함수 [math(\widehat{x}:X^*\to\mathbb{C})]를 [math(\widehat{x}(T)=T(x))]로 정의하면 [math(\widehat{x})]는 [math(X^{**})]에 속하며, [math(x)]를 [math(\widehat{x})]로 대응시키는 사상은 [math(X)]와 [math(X^{**})]의 부분집합 사이의 등거리 변환을 이룬다. [math(X^{**}=L(X^*,\ \mathbb{K}))]는 완비공간이므로 [math(X^{**})]의 부분집합 [math(\widehat{X}=\{\widehat{x}:x\in X\})]의 폐포 [math(\overline{\widehat{X}})]는 [math(X^{**})]에 포함되며, [math(\overline{\widehat{X}})]를 [math(X)]의 완비화라고 한다. [math(X)]가 유한차원인 경우 [math(\widehat{X}=X^{**})]이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참이 아니다. [math(\widehat{X}=X^{**})]를 만족시키는 노름공간 [math(X)]를 반사적이라고 한다.

4.4. 약한 *-위상[편집]


노름공간 [math(X)]와 [math(X)]의 연속 쌍대공간 [math(X^*)]에 대하여 [math(X^*)]로 생성된 [math(X)]의 약위상을 약한 위상이라고 한다. 반대로 [math(X^*)]에 [math(X^{**})]로 생성된 [math(X^*)]의 약한 위상을 고려할 수 있다. [math(X)]를 [math(X^{**})]의 부분공간으로 볼 때, [math(X^*)]에 [math(X)]로 생성된 약한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math(X^*)]의 약한 *-위상(약한 스타 위상)이라고 한다. [math(X^*)]의 약한 *-위상은 약한 위상보다 더 약하며, [math(X)]가 반사적일 경우 두 위상은 서로 같다. [math(X^*)]의 단위구는 노름위상에서 컴팩트가 아닐 수 있지만, 약한 *-위상에서는 컴팩트이다.
앨로우글루 정리(Alaoglu's Theorem)
-
노름공간 [math(X)]에 대하여 연속 쌍대공간의 닫힌 단위구 [math(\{T\in X^*:\|T\|\le1\})]은 약한 *-위상에서 컴팩트 집합이다.
단, 이는 연속 쌍대공간 [math(X^*)]가 컴팩트 공간 또는 국소 컴팩트 공간임을 보장하지 않는다.

4.5. 함의 관계[편집]


내적이 정의되면 노름은 그 내적에서 [math(\lVert x\rVert:= \sqrt{\langle x,\ x\rangle})]에 의해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노름이 있다고 해서 그에 자연스럽게 대응되는 내적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math(p\neq2)]일 때, [math(L^p)] 노름은 내적으로 정의될 수 없다.

노름공간은 거리공간이며, 노름을 이용해 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거리함수(the norm-induced metric) 뿐만 아니라 다른 거리함수도 만들 수 있다. [math(d(x,\ y):= \lVert x\rVert + \lVert y \rVert)] 라 정의하고, 단 [math(x=y)]일 때 [math(d(x,\ y)= 0)]라 하면, 이것도 거리함수의 공리를 만족하며, 흔히 우체국 거리(post office metric)라고 불린다. [math(d(\bold{x}, \bold{y}))]를 [math(\bold{x})]에서 [math(\bold{y})]로 편지를 보낼 때 원점의 우체국을 거쳐 편지가 이동하는 거리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리공간은 노름공간이 아닐 수 있다. 즉, 거리함수가 있다고 해서 그에 자연스럽게 대응하는 노름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math(\mathbb{K})]-내적공간[math(\Longrightarrow\mathbb{K})]-노름공간[math(\Longrightarrow)]거리공간


5. 예시[편집]


  • 유한차원 노름공간
유한차원 벡터공간의 모든 노름은 동치다.
[증명]
유한차원 [math(\mathbb{K})]-벡터공간 [math(V)]의 벡터 [math(a\in V)]와 기저 [math(\{e_1,\ldots,\ e_n\})]에 대하여 [math(a=\sum_{k=1}^n a_ke_k~(a_1,\ \ldots\ a_n\in\mathbb{K}))] 라고 하면 [math(\|a\|_1=\|\sum_{k=1}^n a_ke_k\|_1=\sum_{k=1}^n |a_k|)]는 [math(V)]의 노름이다. 벡터공간 [math(V)]의 노름 [math(\|\cdot\|)]에 대하여 [math(N=\max\{\|e_1\|,\ \ldots\ ,\ \|e_n\|\})]이라 하자. 임의의 [math(\epsilon>0)]에 대하여 [math(\|x-a\|_1<\epsilon/N)]일 때

[math(\displaystyle\begin{aligned}|\|x\|-\|a\||&\le\left\|\sum_{k=1}^n(x_k-a_k)e_k\right\|\\
&\le\sum_{k=1}^n|x_k-a_k|\|e_k\|\\
&\le \|x-a\|_1 \cdot N<\epsilon\end{aligned})]

이므로 노름 [math(\|\cdot\|)]은 위상공간 [math((V,\ \|\cdot\|_1))]의 연속사상이다.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K}^n)]에서 노름공간 [math((V,\ \|\cdot\|_1))]로의 사상 [math((a_1,\ \ldots\ ,\ a_n)\mapsto \sum_{k=1}^n a_ke_k)]을 [math(T)]라고 하자. 각 [math(A=(a_1,\ \ldots\ ,\ a_n)\in \mathbb{K}^n)]에 대하여 임의의 [math(\epsilon>0)]이 주어졌을 때 [math(\delta=\epsilon/n)]이라 하면 [math(\|X-A\|<\delta)]일 때 각 [math(k(1\le k \le n))]에 대하여 [math(|x_k-a_k|<\delta=\epsilon/n)]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begin{aligned}\|T(X)-T(A)\|_1&=\left\|\sum_{k=1}^n(x_k-a_k)e_k\right\|_1\\
&=\sum_{k=1}^n|x_k-a_k|\\
&<n\cdot \frac{\epsilon}{n}=\epsilon\end{aligned})]

으로, [math(T)]는 연속사상이다. 집합 [math(D=\{(a_1,\ \ldots \ ,\ a_n)\in\mathbb{K}^n:\sum_{k=1}^n|a_k|\})]는 [math(\mathbb{K}^n)]의 유계 닫힌집합으로, 컴팩트 집합이다. 따라서 [math(T(D)=\{x\in X:\|x\|_1=1\})]는 [math((X,\ \|\cdot\|_1))]의 컴팩트 집합이다. 노름 [math(\|\cdot\|)]은 위상공간 [math((V,\ \|\cdot\|_1))]의 연속사상이므로 [math(\|T(D)\|)]의 최댓값 [math(M)]과 최솟값 [math(m)]이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math(x(\ne0)\in V)]에 대하여 [math(m\le \|x/\|x\|_1\|\le M)]으로, [math(m\|x\|_1\le\|x\|\le M\|x\|_1)]이다. 즉, 노름 [math(\|\cdot\|)]와 [math(\|\cdot\|_1)]은 동치다.

  • 유클리드 공간의 노름
유클리드 공간 [math(\mathbb{R}^n)]에 부여된 다음 노름은 모두 동치인 노름으로, 유클리드 위상을 유도한다.
  • 유클리드 노름([math(L^2)])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노름은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이라고 부르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유클리드 노름은 평행선 법칙을 만족시켜, 내적으로부터 유도된 노름이다.
  • 택시 노름([math(L^1)])
[math(L^p)] 노름에서 [math(p=1)]인 경우 택시 노름(맨해튼 노름, Taxicab norm, Manhattan norm)이라고 한다.
유클리드 평만 위의 두 점 사이의 최단거리는 유클리드 노름으로 계산하지만, 만약에 그 사이에 밑면의 한 변의 크기가 1인 정사각형 모양의 빌딩이 있고 田자 모양의 도로망이 있을 때에는 ㄱ자 형태로 가로 1, 세로 1만큼, 총 2의 거리를 가야 한다. 이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 택시 노름이다. 맨해튼의 도로 구조가 위와 같이 격자 모양에 가까워 다른 이름이 맨해튼 노름인 것. 당연히 여기서 유도되는 거리함수 이름은 택시 거리 함수(Taxicab metric) / 맨해튼 거리 함수(Manhattan metric)이다. 머신러닝이나 통계학을 전공한다면 L1 정규화(L1 regularization)라는 개념으로 자주 마주치게 될 것이다. 택시 기하학 문서 참고
  • 상한 노름([math(L^\infty)])
[math(L^p)] 노름에서 [math(p)]를 무한대로 보내면 얻는 노름이다.
주어진 성분 중 최댓값을 노름으로 삼는 방식이다. 상한 거리 함수, 혹은 최대 거리 함수(max metric)가 이 노름에서 정의된다. 하한은 반노름을 이룬다.
측도공간 [math((X,\ \mathcal{M},\ \mu))]의 가측함수 [math(f)]와 실수 [math(p\in [0,\ \infty))]에 대하여
는 함수공간 [math(\mathcal{L}^p(X,\ \mathcal{M},\ \mu)=\{f:X\to\mathbb{C}:f\text{ is measurable and }\|f\|_p<\infty\})]의 반노름이다. 따라서 함수공간 [math(\mathcal{L}^p)]의 부분집합
에 대한 상공간 [math(L^p=\mathcal{L^p}/W)]은 노름공간이다. 특히 르베그 적분은 함수열의 수렴성을 보존하므로 [math(L^p)]는 바나흐 공간이다. [math(p=2)]인 경우, [math(L^2)]노름은 내적으로부터 유도된 노름으로 [math(L^2)]는 힐베르트 공간이다. [math(0
  • 복소측도 공간
가측공간 [math((X,\ \mathcal{M}))] 위의 복소측도의 공간을 [math(M(X))]에 노름 [math(\|\mu\|=|\mu|(X))]을 부여하면 [math(M(X))]는 바나흐 공간이다.

6. 둘러보기 틀[편집]


Analysis · Calculus


[ 펼치기 · 접기 ]
실수와 복소수
실수(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수열·급수
수열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일람)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라마누잔합) · 망원급수(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적분
적분 · 정적분(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발산 정리 · 그린 정리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벡터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힐베르트 공간 · 거리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확률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기타
퍼지 논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9:41:35에 나무위키 노름공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