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백나무

덤프버전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 펼치기 · 접기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카시아나무
향나무
대나무#
동백나무
감나무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6위
7위
8위
9위
10위
은행나무
동백나무
아카시아나무
대나무#
잣나무
11위
12위
13위
전나무
향나무
버드나무
# 대나무는 풀이지만, 통계 분류상 나무로 포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음식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6055195290_c5c4a28a66.jpg
편백나무
Japanese cypress
이명: 노송나무
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
분류

식물계

관다발식물문(Tracheophyta)

구과식물강(Coniferopsida)

구과목(Coniferales)

측백나무과(Cupressaceae)

편백속(Chamaecyparis)

편백나무

1. 개요
2. 명칭
3. 생태
4. 사용
4.1. 피톤치드
5. 기타



1. 개요[편집]


구과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피톤치드[1]가 많이 나오는 나무라고 한다.

꽃말은 '변하지 않는 사랑 혹은 기도'이다.


2.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영어
Japanese cypress
한국어
편백나무
중국어
扁柏树(biănbăishù
일본어
(ひのき


3. 생태[편집]


파일:1082364320.jpg
잎사귀와 솔방울(꽃)
한국일본에서 자생하는데 높이 40 m, 지름 2 m가량까지 자란다. 잎이 가는 침엽수냉대기후대에서 서식할 것 같지만, 일본이 원산지인 온난대기후대 식물로 한반도 남부와 제주도에도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 이남지역에서 서식한다.[2] 내한성이나 내염성은 약하나 내공해성은 강하다.


4. 사용[편집]



4.1. 피톤치드[편집]


피톤치드 발산량은 전 나무수종에 걸쳐 최상위권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측정실험에 의하면 벌목/가공한 후에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이 밝혀졌다. 기사 이를 이용하여 목재로 사용하거나 오일이나 수액을 추출하기도 한다.

편백나무는 일본어로 '히노끼(ヒノキ, 檜, 桧)'[3]라고 부르는데 가구용, 건축용 목재로 널리 사용된다. 내수성, 내구성, 항균성이 우수하고 특유의 복숭아색을 띤다. 특히 일본에서 인기가 많은 목재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나라의 호류지도 편백나무로 만들었다. 목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향이 좋기 때문에 니스나 페인트칠을 하지 않고 원목 그대로 가구를 만들어 사용한다. 오히려 니스칠된 것은 편백나무가 아니라 다른 나무[4]를 속여 팔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편백나무로 만든 욕조(히노끼탕)도 있는데 향이 좋다. 일부 업체는 MDF나 다른 나무에 편백나무를 얇게 썰어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정말 '무늬만 편백나무'를 사용한 제품을 팔기도 한다.[5]

그래서 사우나나 공공시설엔 편백나무 목재를 사용하여 내부 벽을 만들기도 한다. 일부에서 동남아산 러시아산 혹은 히말라야산 히노끼라고 팔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편백이 아닌 저가의 유사수종으로 특유의 편백향이 없고 색이 칙칙해 육안으로도 쉽게 구별된다. 심한 경우 그런 유사수종은 눈이 따갑거나 자극적인 냄새가 나기도 하므로 구입시 주의를 요한다.

니스칠 없이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아이들이 싸인펜 등으로 낙서하면 지울 방법이 딱히 없다는 큰 단점이 있다. 고운 사포로 갈아볼 수 있긴 하지만, 잉크가 나무 깊숙이 흡수되었다면 그것도 힘들다.

편백나무 원목으로만 만들어진 가구는 당연히 그만큼 비싸고, 집성목은 원목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는 편백나무뿐만 아니라 대부분 목재가 마찬가지. 집성목이 원목보다는 싸다고 하지만, MDF 따위에 비하면 6배 이상 비싸다. 간단한 책상 하나만 사려해도 까딱하면 수십만 원이 깨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편백나무 가구를 구매하려 한다면 잘 알아보고 예산을 확인해야 한다.

소나무 묘목 값이 높아지고 산불에 잘타는 특성 때문에 식재가 기피되자 대체수종으로 편백나무가 각광받았다. 그러나 내한성이 떨어져 겨울에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한국 기후에선 성장이 더디다는 단점이 있어 주로 남부지방에 많이 식재한다. 지금도 남부지방 산에 가보면 경제성이 생길 만큼 자란 소나무를 베어내고 편백 묘목을 식재한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아름드리 소나무 숲이 사라지고 편백을 심는다는 사실을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제주도를 비롯해 남부지역은 재선충이 가장 극심한 지역이므로 재선충에 감염되어 경제적 가치를 잃기 전에 채취하는 것도 다른 측면에선 가치 있다 하겠다.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최근에는 중부내륙지방에서도 조금씩 식재한다.

피톤치드는 편백나무에서든 소나무에서든 둘 다 나오지만, 피톤치드를 많이 함유한 잎을 사람이 이용하여 제품으로 만들기엔 편백나무가 낫다. 소나무는 가지가 높은 곳에서 자라는데에 비해 편백나무는 아래에서도 자라 잎을 채취하기가 편리하다. 검색하여 나오는 편백나무 이미지들도 대부분 소나무처럼 가지가 높은 곳에만 있는데, 이것은 편백나무를 곧게 자라게 하기 위해 가지치기를 해준 것이니 오해 말 것. 편백나무 사진(잎이 아래에도 있다) 소나무 사진(잎이 위에만 있다). 그리고 소나무는 병충해의 피해가 심하다. 그리고 피톤치드 함유량으로만 판단할 것이 아닌 게 둘의 향 차이가 꽤나 나서...


5. 기타[편집]


  • 탁구라켓을 만드는데 주재료로 많이 활용되며, 특히 펜홀더 라켓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본의 기소지방에서 자라는 "기소 히노끼" 라고 불리우는 편백나무가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최근 무분별한 벌목으로 벌목이 제한되고 있어 라켓의 품질이 10-20년 전과 비교해 떨어졌다.


  • 삼나무와 함께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높아 조림사업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실린 기사가 실린 바 있다. 해당 기사에서는 편백의 알레르기 유발이 심해 현재는 일본에서도 조림사업을 바꾸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후 관심이 많아져서 다시 기사가 나왔는데, 전문가들과 산림청의 반응을 요약하면 4월 한달간 꽃가루가 문제가 되는 것은 사실이다.

  • 하지만 편백나무는 나머지 기간 동안의 이익이 크고 편백나무가 꽃가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나 수림에서 차지 하는 비율이 전체의 5% 수준으로 낮아서 큰 걱정을 할 정도는 아니다 정도. 조경수나 가로수로 심는다면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산에 심는다면 큰 문제가 없다는 이야기가 되겠다.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이 있다면 4-5월 정도만 편백나무 수림을 피하고, 꽃가루를 차단하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이 나을 듯하다.

  • 한국 천주교에서는 노송나무 가지를 성지로 사용한다. 본래 성지는 종려나무 가지 등을 사용하는데 한국에서 구하기 쉽지 않은 관계로 대신 사용한다고 한다.[6] 사제가 축성한 가지를 일년간 가정에 보관하고 사순시기 재의 수요일에 태워 그 재로 축복을 받는 의식이다.

  • 일부 업체에서 피톤치드가 벌레(특히 초파리)를 퇴치해준다, 벌레 유입을 막는다! 라고 일종의 살충제(?)겸 방향제로 판매하는데 피톤치드는 사실상 그런 살충기능이 없다. 더군다나 살충제면서 사람한테 피해가 없다는 것은 사실상 허위광고급.

  • 온천 호텔에서는 종종 편백나무로 틀을 짠 욕조를 '히노끼탕'이라고 해서 홍보하곤 한다.

  • 식당에서 찜기로 사용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22:53에 나무위키 편백나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식물이 방출하는 살균효과가 있는 유기물로, 천연 살균제다. 다만 이 용어는 동아시아권과 러시아에서 쓰이는 용어로, 영미권이나 서유럽에서는 대개 통용되지 않는다.[2] 남쪽보다는 북쪽으로 갈수록 목재의 질이 좋아져서 나이테는 촘촘하고 목질은 치밀해지고 색은 특유의 복숭아 빛깔을 띤다. 피톤치드와 특유의 향도 강해짐.[3] 보통은 한자보단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회(檜) 자를 우리나라에선 보통 전나무란 뜻으로 사용했지만, 원래 중국 고전문헌에서는 향나무를 가리켰다.[4] 정확히는 편백나무의 사촌쯤 되는 삼나무 계열[5] 일본 원목을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와 대량생산시설로 저렴하게 가공한 뒤 한국으로 우회수입된 물건도 많다. 시중에서 팔리는 저가 편백나무 제품은 거의가 중국 제조 우회수입품이라고 보면 된다. 판매자가 이것을 일본산이라고 팔지 중국제라고 당당히 밝히고 파는 경우는 또한 거의 없다. 오히려 오리지널 한국제/일본제 제품은 이제 희귀품이 되어버렸다.[6] 한편 대한성공회에서는 종려나무 가지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