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충국 사건

최근 편집일시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당사자
3. 사건 진행과정
4. 군병원의 진료기록 조작
5. 유사 사건 당사자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05년 PD수첩 관련보도 자료

노충국이라는 병사가 복무중 생긴 복통 증상으로 군병원 검사에서 위궤양으로 진단되었고, 만기전역 후인 2005년 민간병원 검사에서 위암 말기으로 진단 후 사망한 사건이다.


2. 당사자[편집]


파일:노충국사건-노충국영정.png
노충국 병장의 영정
  • 노충국(1977년생, 2005년 10월 27일 사망, 향년 28세)

입대 전 용인대학교 태권도학과를 다니다 2003년 입대, 탄약지원사령부 예하 모 탄약창으로 배치되었다. 입대 주 연령대보다 늦은 나이인 26세였다. 키 180cm, 몸무게 80kg인 노 병장 자신은 물론이고 그 주변인 누구도 위암에 걸릴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3. 사건 진행과정[편집]


아래는 관련 기사(1, 2)에 나와있는 내용을 토대로 한 사건 진행과정이다.

* 2005년 2월 어느날: 전역을 앞둔 노충국 병장은 식사를 하면서 삼키기 힘든 일이 잦아졌으며, 복통과 소화불량도 있었다.
* 3월 29일: 국군광주병원서 진단을 받았으나 위궤양 진단을 받고 1개월치 약을 받음.
* 4월 28일: 노충국 병장이 쓰러지자 2차 진료를 했고, 조직검사를 함
* 5월 4일: 조직검사 결과 위궤양 진단.
* 6월 24일: 만기전역
* 7월 7일: 민간병원서 위암 말기를 진단받음.
* 10월 27일: 사망

사건의 진행과정을 보면 노충국이 위궤양으로 진단되어 약만 먹었다는 것인데, 어느 정도였냐면 노충국의 아버지는 KBS 인터뷰에서 "겔포스 같은 것만 타가지고 왔다"는 말을 했을 정도였다.


4. 군병원의 진료기록 조작[편집]


http://news.kbs.co.kr/news/view.do?ncd=794971

사망 후 진료기록이 조작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담당 군의관이었던 이 대위가 단독으로 한 것이었다.


5. 유사 사건 당사자[편집]


파일:노충국사건-유사사건당사자3명.png
노충국 유사사건 당사자 3명의 사망 전 사진. 왼쪽 순으로 박상연 병장, 오주현 병장, 김웅민 병장의 전역 후 사진이다. 전역 후 암으로 진단되었고, 그로부터 수개월 후 사망했다.

아래 인물들은 2005년에 생긴 '제2의 노충국 사건'으로 불린 유사사건의 당사자들이다. 군복무중 암이 있다는 것을 군병원에서 제대로 진단받지 못해 치료시기를 놓쳐 만기전역 후 암 말기로 진단, 그 후 사망한 당사자들이다. 대부분 만기전역후 만 1년도 안되어 사망한 인물이다.
  • 김웅민: 2003년 6월 입대, 복무중 소화불량으로 국군벽제병원 내시경 검사에서 위궤양 진단을 받고 한달동안 입원치료후 퇴원했다. 이후에도 소화가 안되는 증상이 계속되어 전역 직전엔 2005년 5월 한 민간병원에서 내시경검사를 받았는데도 이상이 없다고 보았다. 2005년 6월 만기전역, 만기전역 한 이후에도 소화불량이 계속되어서 서울의 대학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위암 말기를 진단받았다. 같은해 11월 21일 사망했다. 사망 당시 향년 23세.
  • 박상연: 육군 제5기갑여단에 배치, 2005년 2월 만기전역, 전역 한두달 만에 위암 3기 진단을 받았다. 위암 3기 진단 후 위와 비장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를 시작했다. 하지만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암 4기 진단까지 받았고, 암세포가 복막, 직장, 신장, 간, 췌장 꼬리뼈에까지 전이되었다. 그 후 보훈병원, 원자력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는 등의 투병생활을 했지만 2006년 8월 23일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향년 24세.
  • 윤여주: B형 간염 보균으로 3급 현역으로 판정[1]되었고, 2002년 2월 입대했다. 제9보병사단에 배치되어 복무중 구토와 어지러움증 등을 호소했지만 의무대 진료와 군병원에서도 피검사만 받은 정도가 전부였다. 2005년 4월 만기전역한지 20여일째 되는날에 간암말기로 진단되였으며, 같은해 12월 18일 사망했다. 사망 당시 향년 26세. 여담으로 당시 소대장으로 있던 예비역 중위가 이 문제와 관련된 참회의 글국방부 게시판에 올린 것이 기사로 나오기도 했다.
  • 오주현: 20세 때인 2003년 대학 1학년을 마친 후 휴학, 같은해 해군에 입대하였으며, 입영신체검사에서 신체와 혈액검사에서도 아무 이상이 없었다.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제주방어사령부에 배치되어 군복무기간중이던 2004년 7월 어느날 복통을 호소했다. 하지만 군의관은 장염으로 진단했으며, 2005년 3월 29일 만기전역했다. 그 후 복학을 준비하던 동안 피곤함을 느끼고 같은해 5월, 복통이 심해 마산삼성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더니 췌장암 말기로 진단되었다. 삼성서울병원 정밀검사에서도 똑같은 결과였다. 그 해 5월 국가유공자 심사에서 군복무중 암이 생겼다는 것을 인정하여 같은해 11월 국가유공자로 인정, 투병생활을 하다 2007년 11월 29일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향년 24세.
  • 이현찬: 2002년 2급 현역으로 판정, 2003년 9월 입대, 전투경찰로 차출되어 316전경대에 배치되었다. 2004년 9월 휴가를 나와 왔는데 가족들이 등에 조그마한 혹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이현찬은 같은해 10월, 경찰병원에서 혹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경찰병원은 외부병원에 이현찬의 혹에 대해 조직병리검사를 의뢰했는데, '면부조직중괴 수술 후 신경섬유종'이라는 악성종양인 것으로 진단되었다. 같은해 11월 3일 민간 종합병원으로 이송됐으며, 2005년 2월 사망했다. 향년 24세.
  • 빛빛일기(최 모, 유튜버): 노충국 사건이 생기고 수년이 지난 후에 발생한 유사사건의 당사자. 1급 현역 판정 후, 2012년 5월 입대 후 헌병으로 배치. 한창 군복무 중이던 2013년 12월에 몸에 이상을 느낌과 동시에 혈변을 보았고, 의무대를 거쳐 양주병원으로 옮겨서 몇 달에 걸쳐 군의관 두 명에게 진료를 받았지만 단순한 치질(내치핵)으로 판단했고 약만 받아 먹었다고 한다. 그렇게 별다른 진전 없이 전역 후에도 혈변이 계속되자 병원에 갔고 대장암 4기 판정을 받았다. 그 후 7년여간의 투병 끝에 2020년 11월 30일 사망했다. 향년 29세. 군대서 '혈변' 본 병사는 치질약만 처방받았는데, 전역 후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 투병생활 중 출신 부대에 관해 생활관에서 석면이 나오고 발암물질의 하나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기도 했다고 한다.


6. 기타[편집]


  • 2005년 국방부 자료에 의하면 2000년부터 2005년 8월 사이의 군 복무중 암 발생 환자는 1,639명,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78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7. 관련 문서[편집]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사망 및 실종 사건사고 목록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이전



2010년대


2020년대
2020년
오리온 익산공장 직원 투신자살 사건(3.)S / 진워렌버핏 사망 사건(7.)S /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사건(7.)VS / 고유민 사망 사건(7.)S / 인천 을왕리 음주운전 사건(9.)T / 창원 모녀 사망 사건(9.)? / 코미디언 박지선 사망 사건(11.)S / 용산 모녀 사망 사건(12.)S
2021년
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4.)V? / 성추행 피해 공군 부사관 사망 사건(5.)S / 의정부호원초등학교 교사 2인 사망사건(6./12.)S / 분당 고교생 실종 사건(6.)VS / 조재윤 하사 사망사건(9.)E
2022년
잼미님 사망 사건(1.)S / 김인혁 사망 사건(2.)S / 제주대 병원 영아 의료사고 사망 사건(3.)M / 완도 일가족 사망 사건(5.)S / 가양역 인근 20대 여성 실종 사건(6.)V / 가양역 20대 남성 실종 사건(8.)V? / 가양역 인근 30대 여성 실종사건V / 수원 세 모녀 사망 사건(8.)S / 강원 전방부대 이병 총상 사건(11.)S
2023년
김부영 창녕군수 사망 사건(1.)S / 태백 혹한기 훈련 이병 사망사건(1.)? / 대구 공군 정일병 자살 사건(2.)S / 제9공수특전여단 상병 사망사건(4.)S? / 디시인사이드 우울증 갤러리 여고생 추락사 사건(4.)S / 도곡중 흉기 난동 및 도곡렉슬 추락사 사건(4.)S / 문빈 사망 사건(4.)? / 김해 예비군 의식불명 뒤 사망사고(5.)D / 양주 육군부대 일병 총기 사망사고(5.)E / 임블리 극단선택 생중계 사건(6.)S / 서울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7.)S /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7.)E

범례 : 병사(D), 아사(H), 의료사고(M), 실종(V), 자살(S), 교통사고(T), 기타(E), 의문사 및 경위 불명(?)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9 04:11:02에 나무위키 노충국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23:31:32에 나무위키 노충국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순 간염 보균자인 경우에는 당사자가 병역판정검사를 받던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그 이전 시절에도, 현재도 3급으로 판정된다. 신체등급 3급이 보충역으로 판정되던 1988~1991년 판정기준(1969~1972년생이 주요 적용자)에서는 키, 체중, 질환으로 3급 판정을 받으면 대학 재학 이상이더라도 보충역으로 판정되었다. 1987년까지 중졸~고졸 학력 기준으로 3급은 연도마다 현역으로 판정될때도 있고 보충역으로 판정될때도 있었고, 대학 재학 이상 3급은 현역이었다. 거기에 1980년대에는 현역으로 판정되더라도 보충역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3급 판정자가 아예 현역대상으로 되고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이것은 출산율 저하와 연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