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두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수에 대한 내용은 nokdu 문서
nokdu번 문단을
nokdu#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곡물

[ 펼치기 · 접기 ]



녹두
綠豆 | Mung bean


파일:3BD.jpg

학명
Vigna radiata
(L.) R.Wilczek
분류

식물계 Plantae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장미목(Rosales)

콩과(Leguminosae)

동부속(Vigna)

녹두(V. radiata)
1. 개요
2. 활용
2.1. 청포묵
3. 기타



1. 개요[편집]


과의 한해살이풀 중 하나. 원산지는 인도로, 중국을 거쳐 한국에 들어와 청동기 시대부터 이미 재배를 시작한 역사가 오래된 곡물이다.

모양새는 과 비슷하며, 전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루를 내어 당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가루를 내어 녹두빈대떡[1], 녹두죽, 앙금, 떡고물 등으로 만들어 먹는다. 다만, 녹두로는 두유를 만들 수 없다.[2] # 녹두가루는 피부 세정, 미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얼굴에 녹두팩을 하기도 하며, 녹두 가루로 만든 폼 클렌징도 있다.

2. 활용[편집]


  • 중국에서는 여름에 이걸 끓여 탕이나 음료수를 만들어 마시는데, 몸의 열을 가라앉혀 줘서 더위를 이기게 해준다고 한다.
대만에서는 이걸로 '뤼또샤(绿豆沙, 녹두사)'라는 슬러쉬도 만들어 파는데 은근히 맛있다. 또한 '또우화(豆花)' 라는 디저트가 있는데, 연두부과 녹두가 토핑으로 올라간다. 뜨겁게 먹어도 되고 차갑게 먹어도 된다.

  • 조선시대엔 녹두를 녹말로 만든 후 면으로 써서 녹두나화라는 국수를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 통녹두는 오래 물에 담궈도 불지 않는다. 그러므로 불리기 전에 살짝 으깨거나 푹 삶아야 좋다.[3]

  • 녹두밥과 죽에 넣어먹을 경우 완두와 함께 그나마 좀 무난한 콩밥/콩죽을 만들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콩이기도 하다.[4] 크기가 작은지라 식감을 크게 해치지 않으며 제대로 삶아 불린 다음 쓰면 먹을 때 제법 잘 으스러진다.[5]

  • 요리를 해먹을 수도 있다. 녹두전이라고 한다. 바리에이션으로 녹두빈대떡이 있는데 보통의 빈대떡에 비해 칼로리가 낮고 건강효능은 풍부해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많이 먹는다고 한다. #

2.1. 청포묵[편집]


한국의 묵 요리

[ 펼치기 · 접기 ]

건조묵 · 도토리묵 · 메밀묵 · 박대묵 · 올갱이묵 · 올챙이묵 · 우무 · 청포묵(동부묵 · 황포묵)
요리
녹두나화 · 묵국 · 묵국수(묵사발) · 묵밥 · 올챙이국수 · 우뭇가사리 냉콩국 · 탕평채




  • 묵으로 만들 수도 있는데, 이를 청포묵이라고 하며 그냥 먹거나 잘게 썰어 탕평채 등의 음식을 만든다. 그리고 청포묵에 치자물을 들인 것이 황포묵인데, 전주산 황포묵이 정식 전주비빔밥의 필수요소로 사용된다.

2.2. 숙주나물[편집]


  • 마치 콩나물처럼 싹을 틔워 먹을 수도 있는데 이를 숙주나물이라고 한다. 콩나물보다 길이가 짧고 맛이 꽤 다르다. 해외에서는 대체로 콩나물보다는 숙주나물 쪽이 훨씬 인기가 좋다. 아무래도 콩나물보다 숙주나물이 덜 억세고 식감이 부드럽기 때문인 듯.[6] 심지어 우리나라도 조선시대까지는 숙주나물을 훨씬 높게 쳐줬고 콩나물은 가난한 사람들이나 먹는 비인기식품 취급이었다.

  • 유한양행의 설립자인 유일한 박사는 미국 유학 시절에 숙주나물을 통조림하여 판매한 적이 있는데, 1922년 '라초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여 숙주나물을 판매했다. 당시 숙주나물을 모르던 비아시아계 미국인들 때문에 중국인 상대로만 팔고 있었는데, 교통사고가 나서 길거리에 숙주나물이 쏟아지자[7] 이를 보고 신기해 한 다른 인종의 미국인들이 그 이후로 숙주나물 통조림을 사갔다는 일화가 있다.

3. 기타[편집]


  • 서울대학교 근처 고시촌 쪽 유흥가를 '녹두거리' 또는 줄여서 녹두라고 하는데, 1980년대에 있었던 "녹두집"이라는 이름의 막걸리집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의 FM은 '녹두문대'인데 이는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건물인 서관의 정오 차임벨이 아래 민요에서 따온 것에서 비롯되었다.

  • 동학농민운동의 주역 중 한 명인 전봉준의 별명(녹두 장군)이기도 하다. 전봉준의 키가 매우 작았기 때문. 관련 민요도 있는데 다음과 같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


  • 한국에서는 그린의 별명이기도 하다. 그린+콩라인=녹두.

  • 미국에세 개발한 채식주의자를 위한 대체달걀식품 'Just Egg(저스트에그)'가 녹두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1:29:24에 나무위키 녹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엄밀하게 말하면 빈대떡 자체가 녹두로 만든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녹두가격이 오르면서 녹두를 제외한 빈대떡이 파생되었다.[2] 녹두가 다른 콩에 비해 전분 함량이 절반 이상으로 높기 때문이다.[3] 무슨 짓을 해도 불지 않는 녹두는 돌녹두라고 부른다.[4] 종종 급식, 음식점 불문하고 삼계탕 가지고 죽 만들 때도 녹두밥이 보이기도 한다.[5] 대두, 검은콩, 강낭콩으로 만든 콩밥과 녹두로 만든 콩밥을 비교해보면 왜 녹두가 그나마 식감 면에서 나은지 확실히 알 수 있다.[6] 콩나물은 삶아도 아삭아삭한 감이 살아있지만 숙주는 살짝 데치는 정도로도 숨이 확 죽는다. 반면 이런 점 때문에 숙주를 덜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7] 일부러 홍보를 위해 사고를 냈다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