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둘러보기
|
-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 | | | | 고속정 (PC)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
| 호위함 (FF)
| 브론스테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FFG(X))SPY}
| 구축함
| | | 순양함
| | | | 전함 (BB)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상륙함
| | | | | | |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군수지원함
| 미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 지휘함
| 블루 릿지급
| 원정이동기지선 (ESB)
| 루이스 B. 풀러급
| 항공모함
| | | 잠수함모함 (AS)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구축함모함 (AD)
| 딕시급 구축함모함R
| 44문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L: 리스한 함선 ※윗첨자 SPY: 이지스 레이더 탑재 함선 윗첨자 A: 육군 운영 함선 ※ 취소선: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Knox-class Frigate6. USS 스타인(FF-1065)
소나돔 파손 사건
미 해군의 대잠
호위함.
녹스급 호위함은 1965년부터 건조되어 미 해군의
가르시아급 호위함을 대체하며, 대잠전을 중점으로 설계된 함선이다. 성냥갑이라고도 불리는 Mk.16 8연장 런처를 채택하여 ASROC과 하푼을 운용 가능하며, 통상 2발의 하푼 미사일이 런처 내부에 장전되어있다고 한다.
이전 함선
| 가르시아급 호위함/ 브룩급 호위함
|
후계 함선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
만재배수량
| 4,260톤
|
길이
| 133.5m
|
폭
| 14.2m
|
흘수선
| 7.5m
|
동력
| 방식
| 증기 터빈
|
기관
| C-E/ 밥콕 & 윌콕스 D타입 증기 보일러 (35,000마력)
|
추진
| 프로펠러 샤프트 x1
|
속도
| 27노트 이상
|
항속거리
|
|
승무원
| 240명
|
레이더
| 대공
| 레이시온 AN/SPS-40
|
대수상
| 레이시온 AN/SPS-10 AN/SPS-67
|
사격통제
| 레이시온 AN/SPG-53
|
소나
| 고정식
| 레이시온 AN/SQS-26
|
예인식
| 레이시온 AN/SQR-18 TACTASS
|
기만 장비
| 채프
| Mk.36 SRBOC
|
ESM/ECM
| AN/SLQ-32
|
무장
| Mk.16 미사일 런처[1] ASROC과 하푼을 겸용으로 발사할 수 있다. x1
| RUR-5 ASROC RGM-84 하푼
|
공통/기타
| Mk.42 127mm/54 함포 x1 Mk.32 324mm 어뢰발사관 RIM-7 시스패로우 (BPDMS)[2] Basic Point Defense Missile System 철거 이후 Mk.15 팰렁스 CIWS x1
|
탑재 항공기
| SH-2 시스프라이트 x1 or QH-50 DASH 무인 헬기
|
녹스급은 설계상의 문제로 갑판침수로 인해 많은 비판을 들었으며, 기상이 나쁜 상태에서의 항해를 할 시에는 함수부분의 무장에 대미지가 가해진 경우도 많았다.
이 때문에 1979년에 FF-1069함 부터는 '허리케인 함수'가 적용되었으며 이는 함수부의 높이를 높이고, 불워크
[3] 선박의 상갑판 및 선루 갑판의 폭로된 부분의 선측에 파도가 갑판 위로 직접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선창 입구 등의 갑판구를 보호하며, 갑판 위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와 스트레이크(뱃전판)를 추가하여 함체에 부딫히는 파랑에 함수부가 묻히지 않도록 하여 무장들을 보호하였다.
4. 녹스급 호위함 목록[편집]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상태/공여국
|
1
| FF-1052
| 녹스 (Knox)
| 1965.10.5
| 1966.11.19
| 1969.4.12
| 1992.2.14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2
| FF-1053
| 로아크 (Roark)
| 1966.2.2
| 1967.4.27
| 1969.11.22
| 1992.12.14
| 스크랩
|
3
| FF-1054
| 그레이 (Gray)
| 1966.11.19
| 1967.11.3
| 1970.4.4
| 1991.6.29
| 스크랩
|
4
| FF-1055
| 헵번 (Hepburn)
| 1966.6.1
| 1967.3.25
| 1969.7.3
| 1991.12.20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5
| FF-1056
| 코놀 (Connole)
| 1967.3.23
| 1968.7.20
| 1969.8.30
| 1992.8.30
| 그리스
|
6
| FF-1057
| 레스번 (Rathburne)
| 1968.1.8
| 1969.5.2
| 1970.5.16
| 1992.2.14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7
| FF-1058
| 마이어코드 (Meyerkord)
| 1966.9.1
| 1967.7.15
| 1969.11.28
| 1991.12.14
| 스크랩
|
8
| FF-1059
| W.S. 심즈 (W. S. Sims)
| 1967.4.10
| 1969.1.4
| 1970.1.3
| 1991.9.6
| 터키, 부품용으로 공여
|
9
| FF-1060
| 랭 (Lang)
| 1967.3.25
| 1968.2.17
| 1970.3.28
| 1991.12.12
| 스크랩
|
10
| FF-1061
| 패터슨 (Patterson)
| 1967.10.12
| 1969.5.3
| 1970.3.14
| 1991.9.30
| 스크랩
|
11
| FF-1062
| 휘플 (Whipple)
| 1967.4.24
| 1968.4.12
| 1970.8.22
| 1992.2.14
| 멕시코
|
12
| FF-1063
| 리소너 (Reasoner)
| 1969.1.6
| 1970.8.1
| 1971.7.31
| 1993.8.28
| 터키
|
13
| FF-1064
| 록우드 (Lockwood)
| 1967.11.3
| 1968.9.5
| 1970.12.5
| 1993.9.27
| 스크랩
|
14
| FF-1065
| 스테인 (Stein)
| 1970.6.1
| 1970.12.19
| 1972.1.8
| 1992.3.19
| 멕시코
|
15
| FF-1066
| 마빈 쉴즈 (Marvin Shields)
| 1968.4.12
| 1969.10.23
| 1971.4.10
| 1992.7.2
| 멕시코
|
16
| FF-1067
| 프랜시스 해먼드 (Francis Hammond)
| 1967.7.15
| 1968.5.11
| 1970.7.25
| 1992.7.2
| 스크랩
|
17
| FF-1068
| 브릴랜드 (Vreeland)
| 1968.3.20
| 1969.6.14
| 1970.6.13
| 1992.6.30
| 그리스
|
18
| FF-1069
| 배글리 (Bagley)
| 1970.9.22
| 1971.4.24
| 1972.5.6
| 1991.9.26
| 스크랩
|
19
| FF-1070
| 다운스 (Downes)
| 1968.9.5
| 1969.12.12
| 1971.8.28
| 1992.2.14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20
| FF-1071
| 배저 (Badger)
| 1968.2.17
| 1968.12.7
| 1970.12.1
| 1991.12.20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21
| FF-1072
| 블레이클리 (Blakely)
| 1968.6.3
| 1969.8.23
| 1970.7.18
| 1991.11.15
| 스크랩
|
22
| FF-1073
| 로버트 E. 피어리 (Robert E. Peary)
| 1970.12.20
| 1971.6.23
| 1972.9.23
| 1992.8.7
| 대만
|
23
| FF-1074
| 해럴드 E. 홀트 (Harold E. Holt)
| 1968.5.11
| 1969.5.3
| 1971.3.26
| 1992.7.2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24
| FF-1075
| 트리프 (Trippe)
| 1968.7.29
| 1969.11.1
| 1970.9.19
| 1992.7.30
| 그리스
|
25
| FF-1076
| 패닝 (Fanning)
| 198.12.7
| 1970.1.24
| 1971.7.23
| 1993.7.31
| 터키
|
26
| FF-1077
| 우엘레 (Ouellet)
| 1969.1.15
| 1970.1.17
| 1970.12.12
| 1993.8.6
| 태국
|
27
| FF-1078
| 조셉 휴어스 (Joseph Hewes)
| 1969.5.14
| 1970.3.7
| 1971.4.24
| 1994.6.30
| 대만
|
28
| FF-1079
| 보웬 (Bowen)
| 1969.7.11
| 1970.5.2
| 1971.5.22
| 1994.6.30
| 터키
|
29
| FF-1080
| 폴 (Paul)
| 1969.9.12
| 1970.6.20
| 1971.8.14
| 1992.8.14
| 터키, 부품용으로 공여
|
30
| FF-1081
| 아일윈 (Aylwin)
| 1969.11.13
| 1970.8.20
| 1971.9.18
| 1992.5.15
| 대만
|
31
| FF-1082
| 엘머 몽고메리 (Elmer Montgomery)
| 1970.1.23
| 1970.11.21
| 1971.10.30
| 1993.6.30
| 터키, 부품용으로 공여
|
32
| FF-1083
| 쿡 (Cook)
| 1970.3.20
| 1971.1.23
| 1971.12.18
| 1992.4.30
| 대만
|
33
| FF-1084
| 맥캔들레스 (McCandless)
| 1970.6.4
| 1971.3.20
| 1972.3.18
| 1994.5.6
| 터키
|
34
| FF-1085
| 도널드 D. 비리 ( Donald B. Beary)
| 1970.7.24
| 1971.5.22
| 1972.7.22
| 1994.5.20
| 터키
|
35
| FF-1086
| 브루턴 (Brewton)
| 1970.10.2
| 1971.7.24
| 1972.7.8
| 1992.7.2
| 대만
|
36
| FF-1087
| 커크 (Kirk)
| 1970.12.4
| 1971.9.25
| 1972.8.27
| 1993.8.6
| 대만
|
37
| FF-1088
| 바비 (Barbey)
| 1971.2.5
| 1971.12.4
| 1972.10.15
| 1992.3.20
| 대만
|
38
| FF-1089
| 제시 L. 브라운 (Jesse L. Brown)
| 1971.8.8
| 1972.3.18
| 1973.2.17
| 1994.7.27
| 이집트
|
39
| FF-1090
| 아인워스 (Ainsworth)
| 1971.6.11
| 1972.4.15
| 1973.3.31
| 1994.5.27
| 터키
|
40
| FF-1091
| 밀러 (Miller)
| 1971.8.6
| 1972.6.3
| 1973.6.30
| 1991.10.15
| 터키, 부품용으로 공여
|
41
| FF-1092
| 토마스 C. 하트 (Thomas C. Hart)
| 1971.10.8
| 1972.8.12
| 1973.7.28
| 1993.8.30
| 터키
|
42
| FF-1093
| 카포단노 (Capodanno)
| 1971.10.12
| 1972.10.21
| 1973.11.17
| 1993.7.30
| 터키
|
43
| FF-1094
| 파리스 (Pharris)
| 1972.2.11
| 1972.12.16
| 1974.1.26
| 1992.4.15
| 멕시코
|
44
| FF-1095
| 트루트 (Truett)
| 1972.4.27
| 1973.2.3
| 1974.6.1
| 1994.7.30
| 태국
|
45
| FF-1096
| 발데즈 (Valdez)
| 1972.6.30
| 1973.3.24
| 1974.7.27
| 1991.12.16
| 대만
|
46
| FF-1097
| 묀스터 (Moinester)
| 1972.8.25
| 1973.5.12
| 1974.11.2
| 1994.7.28
| 이집트
|
5. 기타 국가의 함정 목록[편집]
Baleares급으로 개명

|
중화민국의 녹스급/ROCN_Yi_Yang_(FFG-939)
|
중화민국의 녹스급은 모두 자체적인 개수를 통하여 사거리 30~40km 이상의 대공 미사일(
SM-1: 경사 발사장치)을 장착하고 있다. 또한 신형의 국산 대공 미사일인 '해검-2'로 교체 중이다.
[4]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ilitary_anime&no=9111
중화민국의 녹스급은 치양급으로 개명하였다.
터키 해군 구축함 무아베네트
[5]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DD-772 USS 그윈
가 함께 훈련 중이던
미 해군 항공모함으로부터 관제 장교의 실수로 오발된
시스패로우가
함교에 명중해 다수의 승조원이 죽거나 다치고 전투 능력을 상실하는 사고를 겪었다. 미국은 사과와 함께 녹스급 호위함을 인도했다. 터키는 이 녹스급도 무아베네트로 명명하고, 만족하면서 잘 써먹었다고 한다.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퇴역일
| 무장/탑재 항공기
| 상태/기타
|
1
| F456
| 에피루스 (Ipirus)
| 1967.3.23
| 1968.7.20
| 1992.?.?
| 2003.?.?
| RIM-7 시스패로우 철거 이후 Mk.15 팰렁스 CIWS x1 RUR-5 ASROC RGM-84 하푼 Mk.32 324mm 어뢰발사관 Mk.42 127mm/54 함포 x1 SH-2 시스프라이트 x1
| 사격 표적으로 격침
|
2
| F458
| 마케도니아 (Makedonia)
| 1968.3.20
| 1969.6.14
| 1992.6.30
| 1999.1.?
| 퇴역
|
6. USS 스타인(FF-1065) 소나돔 파손 사건[편집]
1978년 USS 스타인은 태평양에서 작전 중 미확인 생명체와 조우했으며 이 생명체의 공격(?)을 받아 소나 시스템이 파손되었다. 이후 소나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고
샌디에이고로 회항하였고, 정비 과정에서 파손원인이 발견되었다. 작전 당시에 해당함의 수병들은 생물과 접촉했음을 인지하지도 못했지만 무언가가 충돌하는 큰 충격을 느꼈다는 증언은 있다.
드라이도크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AN/SQS-26 소나돔 고무코팅이 코팅 부피의 8% 가까이 찢어졌으며 파손된 부위에선
대왕오징어의 촉수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날카로운 갈고리들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갈고리는 그동안 목격된 어떠한 대왕오징어의 것보다도 거대했는데, 해양생물학자들의 계산에 따르면 그 정도 크기의 발톱을 촉수에 달고 다니려면
전체 몸길이가 45m 이상이어야 한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대왕오징어가 아닌 신종 두족류의 소행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6] 참고로 현재까지 알려진 동물 중 가장 거대한 동물인 대왕고래의 몸길이가 보통 24~33m다.
선박이 운항 중 바다생물과 조우하거나 충돌하여 파손당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며, 잠수함도 외부표면에 존재하는 장비 등이 해양생물로 인해 망가지는 일 밥먹듯 흔히 일어난다. 그래서 미 해군에선 큰 관심을 가지진 않았고, 해양생물의 해군장비 파손에 대한 수많은 사례 중 하나로 평범히 기록되었다.
하지만
미합중국 해군 드라이독에서 파손된 소나돔을 확인했다는 점, 그리고 거기서 나온 갈고리가 실제로 해양생물학자들에 의해 분석되었다는 점 등에서 스타인함을 공격한 미확인 두족류는 목격 주체가 확실하고 증거 또한 남아있어 실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크립티드 연구사에 큰 획을 그은 사건이다.
미국 해군연구소 논문 1978년 8월자 106~107페이지, 존슨, c.스콧. 바다생물과 장비 손상의 문제에 해당 사건 내용이 실려있다.
톰 클랜시의 대표작
붉은 폭풍에서 대서양 해상전 파트의 주인공인 미 해군 모리스 중령이 지휘하는 배가 녹스급 호위함 팔리스 함이다. 2권 중반에서 소련 잠수함의 뇌격을 당해 침몰은 면했으나 함수가 절단되는 대 피해를 입고 리타이어하며 모리스 중령은 신형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함장으로 옮겨 전쟁이 끝날 때까지 싸운다.
FF-1063 Reasoner함이
빌리지 피플의 "In The Navy"의 MV 배경으로 등장한다.
에어울프 시즌1 에피소드1 마지막에 에어울프에 격침당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00:46:25에 나무위키
녹스급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