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경제지주
(♥ 0)
1. 개요[편집]
2012년에 설립된 농산물 생산, 유통, 가공, 판매에 필요한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지주회사.
농협의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분리해야 된다는 주장이 커지면서, 2011년 농협법 개정으로 농협중앙회, 농협금융지주, 농협경제지주로 분리되었다.
교육지원 업무는 농업협동조합중앙회(농협중앙회)가 기존대로 수행하며, 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수행하던 유통 및 경제업무의 총괄을 농협경제지주가 담당한다. 농협하면 떠오르는 금융업무는 모두 금융지주(농협캐피탈, 농협저축은행 등)가 수행하며, 그 중에서도 농협은행은 국내 대부분 지자체의 1금고 역할을 수행하는 등 수익을 창출한다. 크게보면 농협은행(신용)의 이자/비이자 수익을 통해 농업인과 국민을 위한 환원 및 경제사업을 농협경제지주가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
농협경제지주는 유일하게 7급 정규직 채용을 진행하고 있으며, 농업경제와 축산경제(이전의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로 또 다시 분류되어 운영되고 있다. (금융권 수준의 급여를 보편적인 유통대기업의 연봉과 견주기 위함이라는 목적도 있다고 한다.)
농협경제지주는 농협8대법인으로 농협중앙회, 농협은행과 같은 연봉을 받고 있다. 그렇기에 실제로 7급 출발이긴 하지만 농협은행 5급과 비슷한 수준이라 커뮤니티에서 서로 비교를 많이 하고 있다. (농협은행 6급 보다는 더 선호받고 있다.)
국내의 유통, 물류업계를 대표하는 하나로유통, 농협유통, 하나로마트 또한 농협경제지주가 담당한다. 국내 3대 마트인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과 가격경쟁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한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와 가격안정 정책을 위한 협의의 1순위로 거론되며 사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공기업의 성격을 띄기도 한다. 가격규제와 유통가격 조절의 중추적 위치에서 수급 및 유통에 안정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성격상 홍수나 가뭄 등의 자연재해와 돼지열병, 럼피스킨 등의 가축 전염병 등의 이슈에도 특히 민감하다.
유통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구)농협중앙회, 농협은행 등과 8대 법인으로서 노조가 같게 운영된다. 유통업무를 수행하지만 금융노조인 만큼, 연봉 등 근무처우가 농협중앙회, 농협은행과 같아 직장인 커뮤니티 등에서 신의 직장이라고 불린다.
노조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금융노조 소속이다.
2. 지배구조[편집]
2023년 11월 기준
3. 계열사[편집]
- 제조부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20 12:29:00에 나무위키 농협경제지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