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바다

덤프버전 :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 펼치기 · 접기 ]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북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구자기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Earthrise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생성 원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moon.0001.nasa_print.jpg
파일:external/2.bp.blogspot.com/Michael+Collins,+the+astronaut+who+took+this+photo,+is+the+only+human,+alive+or+dead+that+isn%27t+in+the+frame+of+this+picture,+1969.jpg
짙은 색의 토끼 무늬가 달의 바다다.
고요의 바다 지역에 착륙 중인 아폴로 11호.

Lunar Mare[1][2]

바다는 달의 지형 가운데 짙은 검은색으로 보이는 평원 지대를 이르는 용어로, 로 이루어져 있지도 않으며 실제 바다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참고]

여기에 바다라는 이름을 붙인 인물은 요하네스 케플러이다. 그는 망원경 관측으로 발견한 달의 어두운 부분을 물이 가득 찬 바다라고 생각하여 바다라고 명명했다. 후일 갈릴레오 갈릴레이 또한 이에 동의했다. 나아가 1645년 미카엘 랑그레이가 출판한 세계 최초의 달 표면 지도 '만월'에 이러한 이름이 기록되면서 바다나 대양과 같은 지명이 널리 확산되었다. 1651년에는 지오반니 리콜리와 프란체스코 그리말디 또한 독자적인 지명을 붙인 달 표면 지도를 발간했다. 케플러의 생각을 존중하되 크기에 따라 각 지형에 바다, 대양, 호수, 후미, 늪 등의 지명을 붙였으며, 특히 바다에는 기상 현상과 관련된 이름을 붙였다. 이는 달이 지구의 기상에 연관되어 있다는 발상 때문이었다.

이후 과학은 눈부시게 발전하여 인류가 직접 달 표면에 발을 디디기에 이르지만, 달에는 바다를 이룰 만한 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에도[3] '바다'라는 이름은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전통은 다른 천체에도 그대로 이어져, 지구 외에서 발견된 '바다'는 모두 'Sea'가 아닌 'Mare'가 붙는다. 대표적으로 타이탄의 '바다'인 '크라켄 해'도 영어로는 'Kraken Mare'이다[4]. 지구 외의 산(山)도 같은 이유로 영어로 적을 때 'Mount' 또는 'Mountain'이 아닌 라틴어 단어 'Mons'가 붙는다.

전반적으로 평평한 곳이기에 탐사선을 착륙하거나 달 기지를 짓는 데에는 최적의 환경이기도 하다. 이는 화성 등 다른 천체의 바다도 동일.

2. 생성 원인[편집]


지금으로부터 약 40억-30억 년 전, 태양계에서는 여러 행성을 형성하다 남은 작은 미행성들이 우주를 떠돌고 있었다. 이들이 달 표면에 충돌하자 크고 작은 크레이터가 형성되었으며, '바다'의 기초가 된 이들 크레이터는 '분지' 또는 '산'이라고 불린다.

여러 크레이터가 자리잡고 미행성들의 충돌이 거의 없어질 무렵, 달 내부에서는 방사성 원소가 붕괴하면서 나온 열이 축적되고 있었다. 이내 그 열이 내부 지각을 용해해 마그마를 생성했는데, 달은 질량이 작은 탓에 검은색의 현무암질 성분만이 용해되었고 그것이 크레이터로 분출해 지표면을 덮으면서 광대한 평원 지대가 생성되었다. 이것이 달의 바다이다.

실제로 달의 바다에 비해 달의 고지에 운석구덩이가 더 많은데, 그 까닭은 용암이 달의 바다에 있는 운석구덩이를 메꾸었기 때문이다. 운석구덩이는 운석의 충돌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지구와는 다르게 달에는 물과 공기가 없어 풍화침식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기에 그대로 남는다. 또한 운석이 달에 충돌할 때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충돌지점 일대가 엄청난 고열로 녹아버린다. 따라서 대부분의 파편은 부서져서 흩어지고 표면이 녹아 구덩이를 메꾸게 되어 크레이터의 표면은 평평하게 된다.

묘하게 달의 앞면에 거의 84%에 달하는 바다들이 존재하는 반면 달의 뒷면에는 고작 16%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달의 뒷면을 보면 표면에 크레이터가 많이 나 있고, 마치 수성과 같은 행성처럼 생경하게 생겨 있다. 달의 동주기 자전(= 지구에서는 달의 "앞면"만이 보임. 조석 고정 문서 참조)을 생각하면 더욱 흥미롭다. 어쩌면 목성의 위성 이오처럼 지구의 조석력에 의한 것일지도?[5] 이 큰 차이가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지만 확실한 것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뒷면에 더 많은 소행성이 충돌했다거나 2개이던 달이 합쳐지면서 이렇게 됐다거나 심지어는 초거대 플레어 때문이라는 학설 역시 존재할 정도이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6:17:05에 나무위키 달의 바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re'는 '마레'라고 읽으며 라틴어로 '바다'라는 뜻이다. 복수형은 'Maria'이다.[2] 반댓말, 즉 달의 흰 부분이자 상대적으로 고원 지대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르는 말은 'Highlands'이다.[참고] 지표면이 검정색으로 보이니 물이 있을거라고 추측한 것이다[3]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에 있는 을 전부 모아서 표면에다 펼쳐놓아봤자 간신히 몇 mm 정도로 자박하게 깔리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래저래 바다를 이룰만한 수준은 절대 아니다.[4] 달의 바다와는 달리, 이쪽은 액체로 가득찬 진짜배기 바다다. 다만 지구의 바다와는 달리, 이 아니라 메탄으로 되어있다.[5] 실제로 달의 앞면과 뒷면의 지각 두께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