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트랙시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담비(트랙시티) 문서
담비(트랙시티)번 문단을
담비(트랙시티)# 부분을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의 한국한정 캐릭터 담비에 대한 내용은 담비 아란사 문서
담비 아란사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담비 아란사# 부분을
# 부분을
, 호랑이 들어와요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담비(호랑이 들어와요)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따아따의 등장인물 나단비를 혼동하여 담비라고 하기도 합니다. 아따아따의 등장인물 나단비에 대한 내용은 나단비(아따아따) 문서
나단비(아따아따)번 문단을
나단비(아따아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담비 먹이활동에 관련된 사회이슈는 제도권 언론 보도를 첨부해 기재.(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담비
貂 | Marten


파일:노란목도리담비.jpg

학명
Martes
Pinel, 1792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식육목 Carnivora

족제비과 Mustelidae
아과
울버린아과 Guloninae

담비속 Martes

[ 펼치기 · 접기 ]
아메리카담비 M. americana
노란목도리담비 M. flavigula[1]
바위담비 M. foina
닐기리담비 M. gwatkinsii
유럽소나무담비 M. martes
산달 M. melampus
태평양담비 M. caurina
검은담비 M. zibellina[2]



파일:자주색 담비.jpg


1. 개요
2. 특징
3. 역사 속에서
4. 기타



1. 개요[편집]


  • 영어: Marten, Stoat[1]
  • 학명: Martes
  • 독일어: Marder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 족제비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지만 족제비에 비해 귀가 다소 작은데다 뾰족하고 덩치는 2~3배가량 더 크다.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서 보호받고 있다.

화석상으로는 최초는 1775년에 발견된 것이며[2] 제일 오래된 화석은 "마르테스 웬젠시스(Martes wenzensis)"와 "마르테스 캄페스트리스(†Martes campestris)"이라는 플라이오세에 살던 담비 종들이다.[3]

한반도에는 노란목도리담비,[4] 검은담비(M. zibellina)등이 자생하고 있다. 현재 한반도 중남부에는 노란목도리담비만 서식한다.

2. 특징[편집]


크기는 종에 따라 다양하나, 보통 몸무게 1~2kg 정도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예외적으로 아시아에 서식하는 노란목도리담비의 경우 몸길이는 50~60cm이며, 몸무게는 평균 3~4kg 정도로 소형견이나 고양이와 비슷하다.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식성은 잡식성으로, 설치류나 작은 새, 열매, 곤충 등이 주식이다. 대형종인 노란목도리담비의 경우 2~6마리 정도의 중소형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며, 덩치가 더 큰 고라니, 노루, 사슴, 산양, 멧돼지의 어린 개체 등 보다 큰 동물들을 사냥할 수도 있다. 족제비과 특유의 유연한 몸과 예리한 턱 덕분에 체급이 비슷한 길고양이도 사냥할 수 있다.[5] 주로 사냥하기 수월한 새끼나 아성체 고양이를 노리며, 담비는 무리를 짓고 협동해서 사냥을 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무리를 지으면 성체 고양이도 사냥한다. 이외에도 새의 둥지를 습격해서 알이나 새끼를 잡아먹기도 한다.[6] 노란목도리담비의 식생활 중 대형 포유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시체를 먹는 경우까지 포함해 8% 정도로, 사냥만 따지면 그렇게 자주 하는 편은 아니다.#

크기가 작고 귀여워 보이지만 자기보다 훨씬 큰 동물도 쉽게 잡아먹을 수 있고 자기보다 10배 큰 토끼도 날쎄게 지칠 때까지 쫏아가 사냥한다. 토끼나 쥐 새 등 소형동물은 닥치는대로 잡아먹는 야생의 저승사자 학살자. 인터넷 등지에선 천적이 거의 없는 길고양이를 사냥하는 동물이라고 화제가 되기도 했다. "범 잡아먹는 담비" [7] 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맹렬한 공격성과 날쌘 움직임으로 고라니나 새끼 멧돼지 등 자기들보다 압도적으로 큰 대형 동물도 2-3 마리가 집단을 이뤄 사냥한다.

천적으로는 여우, 늑대, 스라소니, 등 대형 포식자와 수리부엉이, 검독수리 등 대형 맹금류가 있다.

3. 역사 속에서[편집]


털이 부드러워 세계 각국에서 모피로 많이 이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담비 모피는 귀족들이 애용하는 상급 모피였고, 흰 털에 까만 무늬가 군데군데 있는 모피의 흰 담비는 그 가치가 어마어마한 수준이어서 유럽 황제나 국왕들의 대관식 의상, 공식 초상화, 국장 등에 꼭 포함되었고, 애완동물로도 키워졌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귀족 여성을 모델로 그린 흰 담비를 안은 귀부인에 등장하는 담비도 흰담비다.

아시아에서도 무척이나 인기 있던 모피였는데, 특히 말갈여진족의 특산물로 검은담비 가죽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들의 담비가죽(貂皮)을 고구려가 사다가 외국 상인들에게 중개 무역을 했으니 한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짐승. 발해중앙아시아 사이의 교역로를 '담비의 길'이라고 부르는 학자도 있다.# 일본에서 발해의 담비 가죽이 인기가 높아 한 왕족이 과시하기 위해 한여름에 발해산 담비 가죽 옷을 8벌이나 껴입은 사례가 있을 정도였다.

반려동물로 키우기도 하고 길들인 후 사냥에 써먹기도 했다. 토끼굴의 입구에 그물을 쳐 놓고 담비를 들여보내면 토끼가 도망가다 걸리는 것.

조선 중기 권신 윤원형매관매직에 열중하던 때, 한 무관이 벼슬자리에 대한 보답으로 큼지막한 화살통 하나를 바쳤다. 처음에는 달랑 화살통만 바친 것이 괘씸해 창고에 처박아 놓았는데 어느 날 그 무관이 윤원형을 찾아와 화살통을 열어 내용물을 보여 주었다. 알고 보니 화살통 안에 귀한 담비 가죽이 수백 장 들어 있었고 그제서야 무관의 정성(?)을 안 윤원형이 감동받아 그 무관의 벼슬을 더 올려주었다는 이야기. 이외에도 조선 시대 야사에는 뇌물로 담비 가죽을 썼다는 얘기가 적잖이 나온다.

칭기즈 칸은 아버지의 유품인 검은 담비 가죽외투를 옹 칸에게 선물했었다는 기록이 있다.


4. 기타[편집]


  • 2012~2013 시즌 스위스 슈퍼리그 도중 출몰하여 소란을 피우기도 했다.


  • 아따아따의 등장인물인 나단비는 이 동물에서 이름을 따왔다. 사실 단비와 담비라는 이름이 혼용되었기에 담비라고 해도 틀린 건 아니다. 이 단비라는 캐릭터가 워낙 유명하다 보니 보통 담비라 하면 동물 담비와 헷갈려서 이 캐릭터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 호랑이 들어와요의 등장인물인 담비. 암컷이며 인간 모습으로도 변신이 가능하다. 그런데 담비의 정체는 사실 족제비다. 영수가 되기 전 체구가 작고, 털 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무리에서 따돌림을 당했는데, 담비를 영수로 만든 금란이 신목을 되살리느라 힘을 소진했을때, 잠시 보통의 짐승으로 돌아간적이 있었는데 매에게 잡혀갔다가 탈출하여 집으로 돌아가는길에 만난 족제비 무리 장로에 의해 자신이 족제비인걸 알게되었다.

  • 꼬리털은 고급 수채화나 동양화붓을 만들 때 사용되었으나, 멸종위기종으로 포획이 금지된 이후에는 제품화가 불가능해졌다.

  • 소설 천룡팔부 초반에 각종 독사를 먹고 자라 사람을 중독시키는 공격을 할 수 있는 섬전초라는 담비가 나온다.


  • 담비에게 사냥당한 고라니 사진이 올라와 경악을 산 적이 있다.# 옛날 한국 속담 중에도 "범 잡아먹는 담비"가 있을 정도. 곤충도 잡아먹는데, 다른 곤충은 거의 안 먹고 주로 말벌만을 먹어서 양봉 농가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최근 들어 담비가 등검은말벌의 천적임이 확인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 담비 관련 기사가 나오면 댓글창에 한국의 가수 겸 배우 손담비가 언급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7:26:50에 나무위키 담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건 북방족제비 또는 흰담비를 부르는 말로 족제비속에 속한다. 따라서 흰담비는 담비가 아닌 족제비이다.[2] 근거: http://www.fossilworks.org/cgi-bin/bridge.pl?a=taxonInfo&taxon_no=41126[3] https://en.wikipedia.org/wiki/Marten#Fossils[4]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대륙목도리담비라고도 부름[5] JTBC 뉴스 크랩[6] 이것도 어미가 없는틈을 노려 공격한다.[7] 산중왕인 범도 더 무서운 적이 있으니 상대가 작다고 깔보거나 자만하지 말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