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촌

덤프버전 :

부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할머니
(조모)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어머니
(엄마,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


오빠
남동생


자매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모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외종현조부
외현조부 | 외현조모
외현대고모
외재종고조부
외재종고대고모
외종고조부

외고대고모
외내재종고조부
외내재종고대고모

외재종증조부
외재종증대고모
외종증조부

외증대고모
외내재종증조부
외내재종증대고모

외삼종조부
외삼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재종조부
외재종대고모
외종조부
외할머니
(외조모)
}}}
외대고모
(외존고모)

외내재종조부
외내재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내내삼종조부
외내내삼종대고모

외재당숙
(외재종숙)
외재당이모
(외재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당숙
(외종숙)
외당이모
(외종이모)
외숙
아버지 | 어머니
(엄마, )
이모
외내당숙
(외내종숙)
외내당이모
(외내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내내재당숙
(외내내재종숙)
외내내재당이모
(외내내재종이모)

외삼종형제자매
외이삼종형제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재종형제
외재종자매
외이재종형제
외이재종자매
외종사촌

이종사촌
외내재종형제
외내재종자매
외내이재종형제
외내이재종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이삼종형제자매
(외종형제)
(외종자매)
(이종형제)
(이종자매)

외재종질
외재종생질
외이재종질
외이재종생질
외종질
외종생질

이종질
이종생질
외내재종질
외내재종생질
외내이재종질
외내이재종생질

외재종손

외이재종손

외종손
외이종손
이종손
이이종손
외내재종손

외내이재종손


범례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친족 촌수 명칭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구촌*
* 대한민국 기준으로 구촌부터는 가까운 친족으로 치지 않는다. 출신 가문이 같을 뿐인 먼 친척으로 사실상 남남이다.



1. 개요
2. 특징
3. 방언
4. 항렬관계
5. 상세 호칭
6. 인식
7. 오촌 관계인 실존 인물
8. 오촌 관계인 캐릭터


1. 개요[편집]


오촌()은 촌수가 5촌인 친척을 말한다. 본인과 한 단계 위아래 항렬인 친척이다. 자신의 부모님과 사촌형제 관계인 사람들을 가리킨다고 생각하면 쉽다. 아버지사촌 형제, 어머니의 사촌 형제, 그리고 사촌 형제의 자녀가 자신과 오촌의 관계이다.

참고로 본인과 오촌은 6.25%의 유전자를 공유한다.[1]

2. 특징[편집]


흔히 오촌 하면 부모의 사촌 형제, 혹은 그 반대로 본인 사촌의 자식들을 말한다. 아버지의 사촌 형제는 당숙(=종숙), 사촌 자매는 당고모(=종고모), 어머니의 사촌 자매는 당이모(=종이모), 어머니의 사촌 형제는 외당숙(=외종숙)이다. 이것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친사촌 관계만 가리키는 말이며, 실제로는 아버지나 어머니의 고종사촌, 외사촌, 이종사촌이면 더 복잡하지만[2], 너무 복잡하니까 그냥 당숙/당고모/당이모/외종숙 정도로 통일해서 부르는 일이 많다.

현재는 본인과 오촌이나 칠촌[3] 아저씨뻘의 사람을 삼촌으로 약식 호칭하는 경우도 있는데(자신의 아버지의 사촌 동생을 정식 명칭인 당숙이 아닌 '삼촌'으로 부르는 등), 정식 호칭이 5촌까지만 넓어져도 아버지의 친사촌, 고종사촌, 외사촌, 이종사촌인지, 어머니의 친사촌, 고종사촌, 외사촌, 이종사촌인지를 모두 따져서 경우의 수가 매우 많아지기 때문이다. 육촌 형제 간에도 부모님의 어떤 사촌의 자녀인가에 따라 경우가 많아지는데다 부모님의 사촌들만 많게는 수십 명에 달하는 경우가 있어 누가 누군지 구별이 힘들기 때문에 약식으로 삼촌, 숙모, 고모, 고모부, 이모, 이모부 등으로 호칭을 통일하는 대신 나이 차이가 많이 안 나면 이름이나, 아니면 지명 등을 붙여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부모의 사촌 형제가 부모와의 나이 차이보다 자신과의 나이 차이가 더 작게 나는 등 나이차가 작다면 형/오빠/누나/언니 등의 호칭으로 부르기도 한다(!)[4]

여기서부터는 본인을 기준으로 그 수가 3~5배 이상 늘어난다. 그나마 삼촌/사촌까지는 부모의 형제와 그들의 자녀들로 한정되어 있어 사촌들까지의 가족 수가 친가/외가 각각 보통 10명대, 많아야 20~30명대 정도이지만 오촌은 아버지의 친사촌/고종사촌/외사촌/이종사촌 등 모든 사촌과 어머니의 친사촌/고종사촌/외사촌/이종사촌 등 모든 사촌이 해당되므로 그 경우가 훨씬 더 많아진다.[5]

아저씨/아주머니라는 통칭은 원래 5촌 등 자신의 부모와 같은 항렬에 있는 친척을 부르는 말로도 쓰지만, 이 말은 친인척 관계가 아닌 일반적인 성인 남녀를 부를 때 쓰는 말로 더 널리 통하기에 최근에는 친인척인 5촌을 쉽게 아저씨나 아주머니라고 부르는 것을 꺼리는 편이다. 때문에 부모의 사촌 형제를 직접 부를 만한 마땅한 호칭이 없어 어색해 하는 일도 많다. 부모의 사촌이 여자라면 당고모나 당이모이고, 이를 그냥 고모나 이모라고 부르기도 하여 사정이 나은 편이다. 당신의 부모와 조부모가 맏이고 5촌이 작은할아버지의 작은아들 같은 케이스면 분명 당신과는 몇 살 차이 안 나거나 오히려 본인이 나이가 많은데 그 오촌 아저씨를 삼촌, 고모, 이모라고 불러야 할 수도 있다.[6]

최근 들어 부모의 친구와 같은 비혈연적 관계인 사람에게도 삼촌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늘고 있어 촌수나 유교적 가풍이 강한 집안이 아닌한 그냥 삼촌, 큰아버지, 작은아버지로 부르는 사례도 많다. 친척 관계에서 부모의 남자 사촌은 분명히 '삼(3)'촌이 아닌 5촌이니까 잘못된 호칭이므로 "당숙(어른)" 혹은 "당숙(백)부님" 아니면 "당숙 아저씨"라고 부르는 것이 맞는 표현이나, 친당숙이 아니라 아버지의 외가쪽 사촌이나 어머니의 외가쪽 사촌이라든지 하면 당숙이라 부르기도 꽤나 애매해지는 까닭이다. 완전히 호칭으로도 정착한 삼촌과는 달리 직접 '오촌'이라고 부르기도 어색하기도 하고, 거리감이 느껴지는 것도 이유로 작용하는 듯 하다. 가족관계의 호칭이 변화하는 과정 중에 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3. 방언[편집]


남부지방에서는 오촌 당숙 남성은 보통 아재라고 한다. 전라도에서는 여성은 아짐이라고 한다. 특히 경상도 쪽에서는 아재/아지매라는, 아저씨/아주머니의 방언격인 호칭을 친인척 관계에서의 오촌을 통칭하는 말로 아직도 많이 쓰니(경북 지역 중심으로는 미혼인 부모의 사촌 형제는 아지아라는 말도 쓰는 편) 이러한 거부감이 덜한 편.(경상도와 인접한 전북 남원에서도 아재와 아지매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경상도 지역에서 원래 아재/아지매는 아저씨/아주머니의 방언으로 통했으나, 이제는 친인척이 아닌 일반적인 성인 남녀를 통칭할 때 쓰는 말로 많이 쓴다.[7]


4. 항렬관계[편집]


사촌 형제/자매의 자식, 즉 5촌 조카는 종질/당질이다. 이것도 정확하게 나눠서 부르자면 아주 복잡하다. 5촌 조카는 자신보다 아래의 항렬이고, 나이도 대체로 자신보다 어리므로 그냥 말을 낮추고 이름을 부르면 크게 문제가 없다.(조카가 나이가 들면, 이름을 직접 부르기보다는 조카/종질/당질 식으로 호칭하고 해체/해라체보다는 하게체/하오체를 써서 대우하기를 권장도 한다.) 5촌 조카가 자신과 나이 차이가 적거나 심지어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때도 있는데, 이러면 상호간 호칭 문제가 역시 복잡하다. 유교적 관습에 대한 사회적 관념이 점차적으로 희미해져가는 2000년대 이후 들어서는 조카 뻘이라도 자신보다 나이가 많다면 형/누나-동생 하면서 지내는 경우가 가끔 있는듯 한데, 손아래항렬인 '조카'뻘 되는 사람에게, 같은 항렬에서 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쓰는 존칭인 '형'/'누나'라고 한다면 족보가 제대로 꼬여버리는 것이니[8] 나이가 아주 어리지 않는한 주위 어른들에게도 한소리 듣기 딱 좋으므로 나보다 나이가 많아도 '조카'뻘이라면 상호 존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촌형제자매는 친형제자매보다 범위가 넓고, 나이차도 훨씬 커지는 경우가 많아서 항렬이 낮은데 나이는 많은 때가 나오기도 한다.[9] 이 경우 어릴 때 특히 서로 연배가 비슷하면 서로 말을 낮추고 친하게 지내기도 하는데, 애초부터 나이차가 크거나 아예 나이가 서로 들고 나서 안면을 트면 아주 어색할 수도 있다. 종질, 당질을 부를 때 조카님과 같이 부르고 서로 존대하는 식으로도 권장한다는데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가의 경우 맏아들 가계와 막내의 가계가 내려오면서 촌수로 조카지만 나이가 많은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는 보통 위에도 언급되어있다시피 조카님[10]이라 존칭하기도 한다.

장남(종조부)과 막내아들(조부)의 차이가 스무살 전후로 차이가 나는데 장남(종조부)은 장남이라는 이유로 20대 초반 무렵에 결혼했다면[11] 간혹 할아버지보다 더 나이가 많은 오촌어른이 있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경조사나 매년 명절 때 1번 쯤 보는 고모, 이모, 삼촌, 사촌들에 비하면 이제는 좀 먼 친척이라는 느낌도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게 복잡한 관계는 아니다. 쉽게 말해서 사촌이 자식을 낳으면 5촌 조카이다. 그러나 말이 그렇지, 그 5촌 조카와 인간적인 교류를 깊게 하는 경우는 잘 없다. 심지어 본인 할아버지, 할머니의 형제 자매(큰할아버지, 작은할아버지 등)들마저 존재만 알고 한 번도 만나보지 못한 경우도 꽤 있을 정도. 현재 10~20대인 사람들 기준으로 본인의 어느 쪽이든[12] 오촌 아저씨를 만난 적이 있는 사람이 대략 70~80% 정도는 되는 듯한데 이마저도 결혼식 및 장례식 등 경조사, 혹은 아주 어릴 적에 잠깐 만난 경우가 대부분으로, 10~20대가 된 현재까지도 오촌 이상의 친척들과 교류하는 사람들은 대략 5~10% 내외로 흔하지는 않다. 이것은 사촌과 정말 친해서 아이를 낳은 뒤에도 자주 만나다 보니 오촌간에 얼굴을 자주 보게 되는 경우라면 가능할 수는 있지만, 결혼해서 아이를 낳을 때쯤에는 친동기간에도 각자 바빠서 소원해지는 일이 허다하니 쉽게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5. 상세 호칭[편집]


오촌과 육촌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3대 위 조상인 증조부 계통을 다루어야 하는데, 여기서부터는 호칭이 매우 복잡해진다. 본인뿐만 아니라 부모님에게도 각각 친가, 외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더 많아진다.

오촌 중에서 흔히 말하는 경우인 본인 부모님의 사촌 형제, 본인 사촌 형제들의 자녀를 설명하는 모든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다.

  • 참고: 조부모의 형제자매를 일컫는 말(본인 기준 촌수는 4촌)
    • 친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큰친할아버지, 작은친할아버지[13]
    • 친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친고모할머니(=친대(왕)고모)[14]
    • 친할머니의 남자 형제[15]: 친이조할아버지(=넛할아버지)[16]
    • 친할머니의 여자 형제[17]: 친이모할머니(=진외존이모, 진외이종조모, 진이종조모)[18][19]
    • 외할아버지의 남자 형제[20]: 큰외할아버지,작은외할아버지[21]
    • 외할아버지의 여자 형제[22]: 외고모할머니(=외대고모,외왕고모,외존고모)[23]
    • 외할머니의 남자 형제[24]: 외이조할아버지[25]
    • 외할머니의 여자 형제[26]: 외이모할머니(=외외존이모, 외외이종조모, 외이종조모)[27]

  • 부모님의 사촌 형제
    • 자신을 기준으로 친가인가, 외가인가?(2가지)[28]
    • 부모님을 기준으로 친가인가, 외가인가?(2가지)[29]
    • 부모님과 삼촌 관계에 있는 사람(즉, 조부모의 형제자매)이 남자인가, 여자인가(2가지)[30]
    • 이를 바탕으로 한 부모님의 사촌 형제자매들의 호칭은 다음과 같다.
      • 아버지의 친사촌[31] 형제: 친당숙(=친종숙)(남자), 친당고모(여자)
      • 아버지의 고종사촌[32] 형제: 내당숙(=내종숙, 고당숙, 고종숙)(남자), 내당고모(=고당고모)(여자)
      • 아버지의 외사촌[33]: 진외당숙(=진외종숙)(남자), 진외당고모(=진외종고모)(여자)
      • 아버지의 이종사촌[34]: 진이당숙(=진외이당숙, 진외이종숙)(남자), 진이당고모(=진외이종고모, 진)(여자)
      • 어머니의 친사촌[35] 형제: 외당숙(남자), 외당이모(=외종이모)(여자)
      • 어머니의 고종사촌[36] 형제: 이당숙(=외내당숙)(남자), 이당이모(=외내당이모)(여자)
      • 어머니의 외사촌[37]: 외외당숙(=외외종숙)(남자), 외외당이모(=외외종이모)(여자)
      • 어머니의 이종사촌[38]: 외이당숙(=외이종숙)(남자), 외이당이모(=외이종이모)(여자)

  • 종형제의 자식
    • 자신을 기준으로 친가인가, 외가인가?(2가지)
    • 그 사촌을 낳은 사람(즉, 본인과 삼촌 관계)이 남자인가, 여자인가?(2가지)[39]
    • 사촌이 남자인가, 여자인가?(2가지) → 즉, 총 경우의 수는 23=8가지이다.
    •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사촌 형제들의 자녀들, 즉 오촌 조카를 일컫는 호칭은 다음과 같다.
      • 친사촌 형제의 자녀들: 종질(=당질)[40]
      • 친사촌 자매의 자녀들: 종생질(=당생질)
      • 고종사촌 형제 의 자녀들: 내종질(=내당질)
      • 고종사촌 자매의 자녀들: 내종생질(=내당생질)
      • 외사촌 형제의 자녀들: 외종질(=외당질)
      • 외사촌 자매의 자녀들: 외종생질(=외당생질)
      • 이종사촌 형제 의 자녀들: 이종질(=이당질)
      • 이종사촌 자매 의 자녀들: 이종생질(=이당생질)

6. 인식[편집]


오촌부터는 직접적인 친척이 아닌 인척은 법적인 친족에서 빠지기도 한다. 예를 들면, 5촌 인척인 당숙모는 법적으로 친족이 아닌 것이다. 또한 상속에 있어서도 따로 유언을 남겨둔 경우가 아닌 이상은 사촌 이내의 친척이 하나도 없을경우 5촌으로 넘어가는게 아니라 국고에 귀속된다. 실제로 이쯤이면 왕래가 잘 없거나, 애들은 떼놓고 부모들만 자신들의 삼촌(즉 나의 입장에서는 종조부모, 종외조부모)들에게 인사를 하러 갈 때 자기들끼리 만나고 마는 일도 많다. 왕래가 잦고, 삼촌이나 사촌에 버금갈 만큼 친밀도를 유지하는 때도 있지만 핵가족화한 지금은 점차 그런 집의 비율이 줄어가고 있다.[41]

사촌이 넘어가면 사실상 남인 대부분의 외국에서 오촌 이상은 그냥 '먼 친척' 정도의 개념인 때가 많다. 그래도 오촌은 부모의 사촌이나 사촌의 자녀이므로 결혼까지 권장은 안해도, 법적으로는 결혼의 제약이 없어서 근친혼의 범위도 아니다.[42] 다만 우리나라는 8촌 이내의 금혼령이니 오촌도 금혼 범위 안에 들어간다.

오촌 이상을 가리키는 말 자체가 따로 있는 경우가 드물다. 영어로는 오촌의 통칭은 '(First) Cousin once removed'이다. 사촌에서 한단계 올라가거나 내려간 관계로 보는 듯.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는 'Father's cousin', 'Mother's cousin', 'Cousin's son/daughter/child' 정도로 한다. 물론 당사자들을 이렇게 부르지는 않는다. 한국의 종질, 당질이야 본인보다 아래의 항렬이고 나이도 어리니 당연히 이름을 부르지만, 손위 관계인 당숙, 당숙모에게도 그냥 이름만, 혹은 uncle, aunt라 부른다. 오히려 손위 당숙, 당숙모를 구체적으로 부를 말이 없어서 애매한 한국보다 이름을 그냥 대놓고 불러도 되니 더 편리할 수도[43]... 일본어로는 일단은 단어가 따로 있어서 이토코치가이(いとこちがい)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냥 아저씨/아주머니로 부르는 일이 많다.

손위 항렬의 오촌의 자녀, 부모의 사촌의 자녀는 본인의 육촌 형제이다.


7. 오촌 관계인 실존 인물[편집]


  • 경문왕 & 김위홍 & 김단의, 김억렴 & 김효종: 김억렴-김효종 형제의 아버지 김인경이 경문왕 삼남매와 사촌간이다.
  • 김인경, 헌강왕 & 정강왕 & 진성여왕 : 김인경은 헌강왕 남매의 아버지인 경문왕과 사촌간이다.
  • 경순왕, 안종: 안종의 어머니 신성왕태후가 경순왕과 사촌간이다.
  • 혜종(고려), 정종(고려), 광종(고려) & 왕식렴 : 왕식렴은 태조(고려) 왕건의 사촌동생으로, 혜종과 정종, 광종의 당숙이 된다.
  • 이성열, 이대열 & 윤유선
  • 은지원, 박근혜 & 박근령 & 박지만 & 박재옥 & 박재홍 & 박영옥 & 박준홍: 은지원의 친할머니 박귀희가 박정희의 큰누나다.[44] 자세한 내용은 은지원 문서 참조.
  • 마누엘 2세, 후안 카를로스 1세: 마누엘 2세의 어머니 아멜리와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외할머니 루이즈가 자매간이다.
  • 마리 헨리에테 안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모후 마리아 테레지아가 마리 헨리에테 안네의 친사촌 언니이다. 다만 항렬과 나이의 괴리가 심해서, 당이모인 마리 헨리에테 안네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보다 무려 16살이나 어리다. 나이차이만 보면 마리 헨리에테 안네가 종질녀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다. 한편, 마리 헨리에테 안네는 비토리노 에마누엘레 2세의 왕비인 아델라이데와도 친사촌 관계이다.[45][46]
  • 현종(고려), 목종(고려): 현종이 당숙인 동시에 이종사촌 동생이다... 이유는 안종 왕욱이 조카딸 헌정왕후와 사통해서 낳은 사생아이기 때문이다. 욱이 태조의 아들이고 헌정왕후가 태조의 아들 대종 왕욱의 딸로서 태조의 손녀이며 목종의 경우 광종이 태조의 아들이고 아버지 경종이 광종의 아들, 즉 본인은 태조의 증손이다. 또한 목종의 모후 천추태후가 헌정왕후의 친언니이다. 고로 현종의 항렬을 아버지 쪽으로 잡으면 현종이 경종의 사촌동생이 되어 목종의 오촌 당숙, 어머니 쪽으로 잡으면 각자의 어머니가 자매 관계인 이종사촌지간이 된다. 실로 개족보가 따로 없다.
  • 구스타프 5세, 크리스티안 10세&호콘 7세: 구스타프 5세가 크리스티안 10세와 호콘 7세의 형제의 모친 로비사 왕비의 친사촌이다.
  • 미하이 1세, 펠리페 6세: 미하이 1세가 펠리페 6세의 모후 소피아 왕대비의 고종사촌이다.
  • 바텐베르크의 공자 루트비히, 헤센의 빅토리아: 동시에 부부이다. 빅토리아의 아버지 루트비히 4세가 루트비히와 친사촌간이다. 이들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 필립 공의 외조부모이기도 하다.
  • 박찬호, 김윤하 : 박찬호의 사촌 누나가 김윤하의 모친인 박현순 프로다.
  • 백종원, 백승엽
  • 보두앵 4세, 리처드 1세&존 왕: 예루살렘 왕 풀크에게 보두앵 4세는 손자, 리처드 1세와 존 왕은 증손자이다. 따라서 보두앵 4세가 리처드 1세와 존 왕의 당숙부이며, 나이는 리처드 1세는 보두앵 4세보다 4살 많고 존 왕은 보두앵 4세보다 5살 어리다.
  • 빌럼 3세, 프리드리히 3세&루이제 마리 엘리자베트, 알렉산드르 3세: 빌럼 3세가 프리드리히 3세와 루이제 공주의 어머니 아우구스타 황후가 이종사촌이고, 알렉산드로 3세의 부왕 알렉산드르 2세는 빌럼 3세의 외사촌이었다.
  • 빌헬름 2세, 에드워드 8세&조지 6세: 빌헬름 2세가 에드워드 8세와 조지 6세의 부왕 조지 5세의 사촌형이다.
  • 김종국, 소야
  • 신성왕태후, 헌숙왕후: 헌숙왕후의 아버지 경순왕이 신성왕태후와 사촌간이다.
  • 영화부인 & 차비 김씨, 경문왕: 경문왕의 어머니 광화부인이 영화부인 & 차비 김씨 자매와 사촌간이다. 여담으로 경문왕은 영화부인과 차비 김씨를 모두 아내로 맞이했다.
  • 만명부인, 진평왕&김백반&김국반: 만명부인이 진평왕 형제의 당고모인 동시에 외사촌 여동생이다. 진평왕의 조부 진흥왕과 만명부인의 아버지 김숙흘종이 형제간인데 동시에 진평왕의 어머니 만호부인김숙흘종과 남매간이기 때문이다.
  • 김용수, 선덕여왕&천명공주: 김용수의 아버지 진지왕선덕여왕천명공주의 조부인 동륜태자와 형제간이다. 또한 김용수천명공주와 부부 관계이기도 하다.
  • 장(룩셈부르크), 시메온 2세 : 시메온 2세의 부왕 보리스 3세가 장 대공의 고종사촌이다.
  • 진덕여왕, 태종 무열왕: 진덕여왕의 아버지 국반 갈문왕태종 무열왕의 외조부인 진평왕은 형제간이다. 한편으로는 진덕여왕의 조부 동륜태자태종 무열왕의 조부 진지왕이 형제간이므로 6촌 남매도 된다.
  • 영화부인&차비 김씨, 경문왕: 영화부인차비 김씨의 아버지 헌안왕경문왕의 외조부 신무왕이 이복 형제간이다. 경문왕은 이들 자매와 혼인하여 왕위를 이었다.
  • 카를 1세, 한스아담 2세: 한스아담 2세의 할머니 엘리자베트 아말리 여대공이 카를 1세의 아버지 오토 대공의 여동생이다.
  • 파블로스, 프리데리케 루이제: 동시에 부부이기도 하다. 파블로스는 아내 프리데리케의 모친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의 외사촌이었다.
  • 프란츠 요제프 1세, 칼 15세&오스카르 2세: 칼 15세와 오스카르 2세의 모후 요세피나 왕비가 프란츠 요제프 1세와 이종사촌간이다.
  • 필립 마운트배튼, 소피아 왕대비&콘스탄티노스 2세: 필립 마운트배튼이 소피아 왕대비와 콘스탄티노스 2세의 부왕 파블로스의 친사촌이다.
  • 하랄 5세, 필리프(벨기에): 필리프의 부왕 알베르 2세가 하랄 5세의 이종사촌이다.
  • 환제(후한), 영제(후한) : 환제가 영제의 오촌 당숙이다. 이들은 장제의 6남 하간효왕(河間孝王) 유개(劉開)의 후손인데, 환제는 유개의 차남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의 아들이고 영제는 유개의 4남 해독정후(解瀆亭侯) 유숙(劉淑)의 손자이다.
  • 황정음, 황아영
  •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로마노바, 니콜라이 2세 :니콜라이 2세의 아버지인 알렉산드르 3세가 올가 콘스탄티노브나의 사촌오빠다.
  • 구상, 구자욱: 구상의 친형이 구자욱의 증조할아버지이다. 당숙과 당질이 아닌, 작은증조할아버지와 종증손 관계이다.
  • 경현공주, 신의: 경현공주의 아버지 중종과 신의의 할머니 혜숙옹주가 이복남매이다. 즉, 경현공주는 5촌 조카인 신의와 혼인을 한 것이다.[47]
  • 젠슨 황, 리사 수: 리사 수 어머니의 고종사촌동생이 젠슨 황이다.

8. 오촌 관계인 캐릭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14:45에 나무위키 오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계산법은 (1/2)5×2×100(백분율), 1% 대까지 유전자 일치 비율이 낮아지는 촌수(7촌부터)는 그냥 남인 것에 비하면 꽤 가까운 셈이다.[2] 아버지의 내종사촌(고종사촌): 내종숙/내종고모, 아버지의 외사촌: 진외당(종)숙/진외당(종)고모, 아버지의 이종사촌: 진(외)이종숙/진(외)이종고모, 어머니의 외사촌: 외외종숙/외외종이모, 어머니의 고종사촌: 외내종숙/외내종이모, 어머니의 이종사촌: 외이종숙/외이종이모[3] 부모님의 육촌 형제자매. 즉 서로의 조부모 중 한 명이 사촌 관계이며 증조부모 중 한 명이 서로 친형제 관계.[4] 원칙적으로는 자신보다 한 항렬의 위 친척이므로 그렇게 부르면 안 되지만 그 당사자 역시 어린 나이에 삼촌/고모/이모 소리를 듣기 싫어할 수도 있어서 그렇게 불러도 무방한 경우가 많다. 오히려 그 당숙, 당고모, 당이모가 "형(오빠, 누나, 언니)라고 불러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5] 가뜩이나 현재 나무위키를 이용하는 연령대의 할아버지 세대는 6~7남매인 경우도 흔할 정도이니... 그리고 이들이 다시 자식을 낳으면 본인 기준으로는 6촌이 되는데, 오촌과 마찬가지로 인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6] 그러나 그 자신보다 어린 오촌을 호칭은 그대로 부르되 반말을 하는 경우도 꽤 있으며 심지어 그냥 이름으로 부르거나 "야"(...)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그 오촌 입장에서 본인보다 나이 많은 조카를 '조카님'이라고 부르기도 하거나 집안에 따라서는 아예 나이 많은 조카한테 형, 오빠, 누나, 언니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7] 위에 언급된 5촌을 삼촌이라고 부르는 것 역시 여기서 비롯됐는데, 원래 친척아저씨를 호칭하는 아저씨가 성인 남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변질되자 그 대신 친척아저씨를 지칭하는 명칭이 "삼촌"으로 변경된 것이다. 이 때문에 보통 교류가 그나마 있는 친척이 5촌까지라 오촌을 삼촌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 때문에 5촌을 넘어선 친척 아저씨 역시 어렸을때부터 친하고 교류가 있다면 마찬가지로 삼촌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8] 집안에 따라 조카형/조카누나라고 부르기도 한다.[9] 특히나 사촌들 중 맏이가 이른 나이에 결혼하여 자녀를 갖고 막내가 늦은 나이에 결혼한다면 육촌 간 나이차는 더 커진다. 예를 들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왕비 오스트리아의 아델라이데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오촌 당이모인데(동시에 고종사촌이기도 하다) 나이는 아델라이데 왕비가 오히려 두 살 어리다. 또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빌헬름 황태자도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의 오촌 조카뻘이지만 나이는 카를 에두아르트가 두 살 어리다.[10] 나랑 5살 이상 위로 차이난다면 조카님이라고 하는것이 맞고 5살 미만 차이난다면 **(이름)조카~!정도도 용인되는 편.[11] 그러나 요즘엔 사촌 간 나이차를 줄이기 위해, 혹은 장남이 결혼 기피 대상이 되어 오히려 차남, 차녀들이 일찍 결혼하고 장남이 늦게 결혼하는 경우도 꽤 있다.[12] 아버지의 친/고종/외/이종사촌, 어머니의 친/고종/외/이종사촌으로 경우의 수가 무려 8가지나 된다. 단,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형제자매가 어느 쪽으로 단성(單性)이거나 미혼일 경우, 혹은 자식이 없으면 경우의 수가 줄어들 수도 있다.[13] 그의 배우자는 큰친할머니, 작은친할머니.[14] 그의 배우자는 아버지의 고모부로 친고모할아버지(= 친대고모부,친왕고모부[15] 즉, 아버지의 외숙.[16] 그의 배우자는 아버지의 외숙모로 친이조할머니.[17] 즉, 아버지의 이모.[18] 이모를 뜻하는 '이(姨)' 에 이미 외가쪽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 '진외', '외외' 뒤에 '이'가 붙은 경우 중의적 표현으로 '진외', '외외'에서 '외'를 생략하기도 한다.[19] 그의 배우자는 아버지의 이모부로 친이모부할아버지.[20] 즉, 어머니의 큰아버지 혹은 작은아버지[21] 그의 배우자는 어머니의 큰어머니 혹은 작은어머니로 큰외할머니,작은외할머니.[22] 즉, 어머니의 고모[23] 아버지의 고모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고모도 고모할머니라 부르기도 한다. 그의 배우자는 어머니의 고모부로 외고모할아버지(= 외대고모부,외왕고모부,외존고모부)[24] 즉, 어머니의 외삼촌.[25] 그의 배우자는 어머니의 외숙모로 외이조할머니.[26] 즉, 어머니의 이모.[27] 아버지의 이모와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이모도 이모할머니라 부르기도 한다. 그의 배우자는 어머니의 이모부로 외이모부할아버지.[28] 즉, 부계인지 모계인지[29] 부모님을 기준으로 외가이면 추가로 '외'가 붙는다. 여기까지 2x2=총 4가지가 나온다.(친가, 진외가(아버지의 외가), 외가(어머니의 친가), 외외가(어머니의 외가))[30] 남자일 경우 호칭이 추가되지 않지만(삼촌) 여자일 경우 '내(內)'(고모), '이(姨)'(이모)가 추가된다. 즉, 부모님의 친가쪽이더라도 부모님의 친사촌(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의 자식들), 고종사촌(고모할머니의 자식들)으로 갈리고, 부모님의 외가쪽은 외사촌(이조할아버지 의 자식들), 이종사촌(이모할머니의 자식들)로 갈린다. 여기까지 2x2x2=8가지가 나온다.[31] 즉, 큰친할아버지,작은친할아버지의 자식들[32] 즉, 친고모할머니의 자식들[33] 즉, 친이조할아버지 의자식들[34] 즉, 친이모할머니의 자식들[35] 즉, 큰외할아버지,작은외할아버지의 자식들[36] 즉, 외고모할머니의 자식들[37] 즉, 외이조할아버지의 자식들[38] 즉, 외이모할머니의 자식들[39] 여기서 본인과 친(외)사촌인지, 고종(이종)사촌인지 결정된다.[40] 여자는 뒤에 '-녀'를 붙인다. 다만 요즘엔 남녀 무관하게 '-질'로 끝나기도 한다.[41] 하지만 좀 더 미래에 가서는 오히려 오촌, 육촌 간에도 친지 관계를 유지할 수도 있다고 보기도 한다. 이유는 워낙에 아이를 안 낳다 보니(...) 형제자매가 적어져서 사촌이 형제와 비슷한 구실을 하고, 자연스레 오촌, 육촌이 삼촌, 사촌의 자리를 대체하는 것. 한국의 출산율을 생각해보면 가능성이 있다.[42] 잘 알려진 사례로 펠리페 6세의 외조부모이기도 한, 그리스 전 국왕 파블로스와 그 왕비 프레데리카가 서로 오촌관계다. 프레데리카 쪽이 오촌 조카인데, 항렬 차이가 있다 보니 나이는 16살 차이가 난다.[43] 그렇다고 대놓고 이름을 막 부르는 건 아니고 그쪽도 예의란게 있어서 집안의 어른격 인물은 uncle/aunt, 혹은 여기에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친해지면 혼용해서 이름만 부르기도 하고 그런다.[44] 은지원 아버지의 외사촌들이므로 은지원의 진외당고모, 진외당숙이다. 반대로 박근혜의 입장에서 은지원은 자신의 고종사촌의 아들이므로 내종질이 된다.[45] 이 셋은 친사촌임에도 나이 차이가 상당히 크다. 마리아 테레지아가 1801년생, 아델라이데가 1822년생, 마리 헨리에테 안네가 1836년생으로 마리아 테레지아와 마리 헨리에테 안네는 나이 차이가 무려 35살이나 난다. (참고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1820년생이다) 이는 마리 헨리에테 안네가 아버지 요제프 안톤이 60세일 때 얻은 늦둥이이기 때문이다.아델라이데는 그 정도로 늦둥이는 아니지만, 아버지인 라이너 대공이 형들과 나이 차이가 좀 있는 편이다.[46] 한편 이에 따라 아델라이데 왕비 역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당이모가 되고, 또한 아델라이데 왕비의 어머니 엘리자베트 대공비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고모이기에 동시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고종사촌이 된다.[47] 다만, 신의의 아버지 신수경이 혜숙옹주의 양자이기 때문에 족보로 따지면 근친이지만 사실상은 남남(9촌)이었다. 그리고 조선은 외가쪽 근친은 허용하는 수준이라 이루어질 수 있었다.[48] 원작에서 데힐 공작부인과 오토만 백작이 황후의 사촌이라고 언급되었다.[49] 데힐 공작가 남매의 어머니인 데힐 공작부인이 황후의 사촌이니 이들은 서로 오촌 관계가 된다.[50] 퍼시가 포세이돈의 아들이므로 아나베스의 어머니인 아테나와 사촌관계가 된다. 그러나 퍼시의 말에 의하면 신들은 DNA가 없기 때문에 같은 신을 부모로 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실상 남남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