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견사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idaegu.com/01010100601.20140115.000028449.02.jpg

1. 개요
2. 역사
2.1. 복원
3. 교통


한자 : 大見寺 / 로마자 : Daegyeonsa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휴양림길 232(용리 산1-2)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비슬산 정상에 있는 절로 한 때는 폐사된 상태에서 삼층석탑만 달랑 있었기에 '대견사지'라고 불렀다.


2. 역사[편집]


창건자는 미상이나,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전한다. 전설로는 당문종(文宗)이 절을 지을 곳을 찾고 있었는데 하루는 낯을 씻으려고 떠놓은 대야의 물에 아주 아름다운 경관이 나타났다. 이곳이 절을 지을 곳이라 생각한 문종은 사신을 파견하여 찾게 하였다. 결국 중국에서는 찾을 수 없게 되자 신라로 사람을 보내어 찾아낸 곳이 이 절터이다. 이 터가 대국(大國)에서 보였던 절터라 하여 절을 창건한 뒤 대견사라 했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역사는 거의 전래되지 않고 있지만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이 승과 선불장에 장원급제한 뒤 초대 주지로 부임해 22년 동안 지냈으며 이 곳에서 삼국유사를 구상했다고 한다. 1416년(태종 16년) 2월 29일, 1423년(세종 5년) 11월 29일 이 절에 있던 장륙관음석상(丈六觀音石像)이 땀을 흘려 조정에까지 보고되었고 종파는 교종(敎宗)에 속하였다고 한다.

절의 폐사에는 빈대가 너무 많아서 이를 견디지 못하고 모두 떠나 자연스럽게 폐사되었다는[1] 일반적인 설화가 전래되고 있지만 그 시기는 임진왜란 전후로 전해지고 있기에 임진왜란 때 일어난 화재로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광해군인조 때 재건되었으며 1900년 영친왕의 즉위를 축하하고 대한제국 축원을 위해 이재인(李在仁)이 중창했으며 관리를 안 하는 사이 1908년 허물어지기 시작하여 1909년 다시 폐허화되었다.

결정적으로 일제강점기1917년 강제 폐사됐는데 당시 대견사의 대웅전일본 쪽으로 향해 대마도를 끌어당기고 일본의 기를 꺾는다는 이유로 조선총독부가 민족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강제로 없앴다고 한다.

그렇게 100년 가까이 삼층석탑만 남은 채로 방치되는가 싶었지만...


2.1. 복원[편집]


2013년 8월 15일 전체 사찰 부지 3633㎡에 대웅전을 비롯해 대견보궁, 선당, 산신각, 종무소, 요사채 등의 건물을 폐사 당시의 원형대로 최대한 복원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했다. 특히 대웅전의 대들보는 지름 60㎝에 길이 10m인 강원도소나무 황장목으로 만들어졌는데 수령이 500년 됐고 한 개 가격이 2000만원에 이른다고 한다. 2014년 3월 1일 공사를 끝내고 복원 완료했다. 대견보궁에는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진신사리 1과가 모셔져 있다.


3. 교통[편집]


유가사 주차장에서 대견사까지는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대중교통으로는 600번 유가사 노선(주말 공휴일만 운행)과 달성5번이 있으며 해당 노선은 용연사유가사, 대견사를 모두 오가고 있으니 비슬산 쪽에 있는 절에 갈 때는 참고하면 좋다.[2] 단, 대견사 안쪽까지는 들어오지 않으니 '비슬산자연휴양림' 정류장에 내려서 꽤 걸어야 한다. 그 외에도 전기 셔틀버스가 운행 중이다. 하루 운행 횟수는 하루 18회, 운행 간격은 평시 20분으로 탑승 요금은 편도 기준 어른 5천원, 어린이[3] 3천원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02:41에 나무위키 대견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또는 일부러 불을 질렀다는[2] 경로는 대구시내에서 출발해 달성5번은 귀남지를 거치고 용연사를 거치며, 600번은 간경리와 기세리를 거쳐 용연사로 들어와 김흥리를 지나 설티고개를 넘어 달성1차산단을 지나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현풍읍내를 통과한 다음에 테크노폴리스를 통과하고 대견사로 와서 유가사로 간다.[3] 초등학생까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