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09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
518-1
708
814
818 · 818-1
808
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
309
449
509
609
649
719
840
909
939
980
849-1
100 · 100-1
399
990
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attachment/P508662.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편집]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소라아파트)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사동(소라아파트)
종점행
첫차
[평일] 05:35 / [토요일, 휴일] 05:30
기점행
첫차
[평일] 05:40 / [토요일] 05:42 / [휴일] 05:43
막차
[평일] 22:07 / [토요일] 22:13 / [휴일] 21:54
막차
[평일, 토요일] 22:13 / [휴일] 22:09
평일배차
22분(통합 11분)
주말배차
27분(통합 14분)
운수사명
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
인가대수
통합 24대(경산 5, 경신 8, 삼천리 11)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학 - 성서고등학교 - 이곡역 - 죽전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서대구시장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경산터미널 - 경산시청별관 - 소라아파트

파일:Seal_of_Daegu_little.pn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파일:Seal_of_gyeongsan_little_white.png 경산시 간선버스 509번(영남대)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영남대동문)
종점행
첫차
[평일] 05:45 / [토요일] 05:40 / [휴일] 05:38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22:17 / [토요일] 22:01 / [휴일] 22:08
막차
[평일] 22:22 / [토요일] 22:00 / [휴일] 22:23
평일배차
22분(통합 11분)
주말배차
29분(통합 14분)
운수사명
경산버스, 경신교통, 삼천리버스
인가대수
통합 24대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 계명문화대학 - 성서고등학교 - 이곡역 - 죽전네거리 - 두류역(달성고교) - 서대구시장 - 수성시장네거리 - 수성구청 - 대공원역 - 사월역 - 경북개발공사 - 경산터미널 - 영남대학교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
현대해상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사월역평일, 롯데시네마토요일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
현대해상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소라아파트 방향
명덕네거리평일, 토, 현대해상매일
영남대 방향
명덕네거리평일, 휴일, 현대해상매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평일, 토
중간 종료 정류소
방천리 방향 (소라아파트 출발)
구병원
방천리 방향 (영남대 출발)
한국방송통신대학교평일, 휴일[1], 구병원토요일, 현대해상휴일, 서대구시장평일
소라아파트 방향
영대교토요일, 휴일, 이마트경산점평일[2], 현대해상토요일
영남대 방향
경산시장평일, 이마트경산점토요일, 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5)에서 남구 이천동 대봉교역(0)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면 영남대동문(9) 및 경산시 사동 소라아파트(9)까지 운행하는 삼천리버스, 경신교통 소속으로 경산버스공동 배차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65.3(소라아파트)/69.9(영남대)km.
전체 정류장 목록(소라아파트, 영남대학교), 노선도


3. 역사[편집]


  • 현재의 509번은 1998년 5월 5일 개편과 2009년 1월 17일 개편을 통해 옛 좌석버스 노선인 509번(구 305번)과 549번(구 355번)을 통합한 노선이다.

  • 1998년 개편 전에는 305번 좌석버스였으며 당시에는 계명대학교정문~성서네거리~용산네거리~죽전네거리~감삼네거리~두류네거리~반고개네거리~반월당~범어네거리~남부정류장 구간을 운행했다.

  • 1988년 좌석버스 첫 신설 당시에는 좌석버스 중 가장 첫 번호였다.[3]


  • 그러다가 개편을 앞두고 현재의 509번처럼 계명대학교정문을 가지 않고 영남우방타운에서 직진하여 성서고교를 거쳐 다사읍 방천리로 종점을 이전했다가 1998년 개편 때 이 경로를 509번에 넘기고 성서아파트단지를 경유하면서 다시 계명대학교정문으로 돌아왔다.

  • 하지만 2001년 계명대학교동문으로 단축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폐지됐다.[4]

  • 이후로도 2006년 개편 후 그해 10월 통합요금제를 적용하기 전까지 509번은 좌석버스였는데 1991년 남부정류장에서 영남대학교까지 연장되었다.


  • 1998년 5월 5일 노선 개편으로 509번으로 변경되었으며 보람타운에서 성서초교, 계대정문 구간 대신 549번이 다니던 성서고교, 신당동주민센터, 계명문화대, 서재리 구간을 인계받아 다사읍 방천리로 종점을 이전했다.


  • 1998년 개편 당시에는 지금과는 달리 영대행 버스가 정평동을 경유하고 계양주공아파트행 버스가 경산버스100번처럼 경산시장을 경유하여 직선 운행했다.

  • 그러니깐 한 마디로 영남대학교행의 경우 현재 대구 도시철도 2호선같이 달구벌대로를 타고 직진만 하는 노선이었다. 그런데 무슨 영문인지 1999년 영남대행 버스가 경산시장을 경유하고 계양주공아파트행 버스가 정평동을 경유하는 X자형 노선이 되었다.[5]



  • 이 갈등으로 반항 인해 2004년 8월 1일에는 공동 배차가 한때 파기되기도 했다.[6]

  • 2004년 8월 1일 경산버스는 509번, 840번, 890번[7]의 공동 배차를 파기하고 공동 배차하던 509번 6대를 빼내 509번과 유사한 500번 노선을 만들어 운행하는 막장 드라마를 시연했다.

이 500번은 509번과 거의 같았지만 방천리 대신 계명대학교동문이 시종점이었으며 성서 지역 아파트 단지를 경유하지 않고 신당네거리까지 달구벌대로를 쭉 따라 갔다.

결정적인 차이는 1/2로 운행하던 영대, 계양동 구간을 영대로 일괄 통합 운행했다.

경산버스는 동시에 840번, 890번 노선도 800번이라는 독자 노선을 만들어 운행했는데 이 쪽은 840번과 노선이 완전히 동일했다.

500번은 800번의 경우처럼 배차간격이 들쑥날쑥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된 후 509번보다 타격을 더 크게 받았다.

그래서 2005년 500번이 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영대 구간을 버리고 옥산네거리에서 상대적으로 버스편이 적은 백천동 구간을 운행하기도 했다.[8]


  • 이 후 2006년 2월 19일 대구시내버스가 개편과 함께 890번은 폐선되고 무료 환승제가 시행되었지만 경산버스는 당시 무료 환승제를 시행하지 않아서 대구, 경산 공배노선의 경우 경산시 면허 차량을 탈 경우 환승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 같은 해 10월 28일 대구 시내버스 통합요금제를 시행하는 동시에 경산 노선 중 대구 시내버스와 공배하는 노선에 한해 무료 환승제를 시행하면서 509번, 708번, 814번, 840번 경산시 면허 소속 차량에도 무료환승이 도입되었다.

  • 이 때 급행버스에만 좌석버스 요금을 적용하기로 하여 509번은 자연히 일반버스로 전환됐다.

  • 2009년 1월 17일 대구-경산 간 전면 환승제가 도입되면서 대구~경산 전 노선간 무료환승이 가능해졌다.


  • 따라서 2006년에 폐선된 옛 549번의 내당네거리 ~ 명덕역 ~ 대백프라자 ~ 궁전아파트 ~ 범어역 ~ 수성구청 구간이 부활하게 되었고 두류동 일대에서 대백프라자 및 수성시장, 궁전아파트 쪽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 2000년 초기에 개편되기 이전에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남역 부근 공사장 사건사고로 내당네거리-계명네거리-계산오거리- 반월당으로 305번과 같이 한때 우회하기도 한적있었다.

  • 반면 305, 509를 제외한 달구벌대로를 거치는 다른 노선들은 반고개네거리에서 크리스탈호텔-서대구시장-구.대영학원을 경유하여 큰장네거리로 우회하여 갔었다.

  • 이처럼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워낙 많은 구간이 중복되고 2호선 개통 후 공기수송이라 2006년 개편 때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문이었지만, 경산시와 협의가 안 되면서 의외로 살아남았다.

  • 동년 10월 일반-좌석 통합요금제를 실시하면서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된 후에는 승객이 늘어났다.

  •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버스들이 폐선되어 담당하던 구간 수요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지하철이 닿지 않는 경산이나 성서권(이곡역 이북의 이곡2동, 신당동, 용산2동 구간) 일부 지역에서 시내로 환승 없이 갈 수 있다는 메리트 때문인 듯하다.




  • 2015년 2월 중순에 갑자기 계양동 회차지가 폐쇄되고[9] 사동2지구로 가기 전에 있는 사동초원하이츠 옆의 소라아파트로 회차지를 이전하여 사실상 사동까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 이 때 509번도 대구한의대학교로 연장하려고 했지만 역시 협의 문제라고 쓰고 경산버스와의 이해관계 때문에 연장되지 않았다.


  • 2017년 7월 20일부터는 그동안 무정차 통과했던 여성메디파크병원 정류장에 정차하게 됐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경신교통에서 1대가 빠지고 삼천리버스 소속 1대가 추가되었다.

  • 2019년 12월 9일 개편으로 조영동 회차지가 폐쇄됨에 따라 영남대까지 단축되었다.
  • 영남대 정문 종점과 회차지인 갑제동(영남대 동문) 사이는 공차회송한다.

  • 2020년 2월 15일 개편으로 갑제동 회차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공차회송 구간이었던 영남대 정문 ~ 영남대 동문 구간도 승하차를 받는다.




4. 특징[편집]



  • 2015년 개편 때 400(-1)번달서2번의 폐지로 인해, 대명시장 및 계명네거리(명덕로)에서 반고개로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으로 남게 됐다..[10]

  • 명덕로에서 유일하게 경산시로 가는 노선이다.[11]

  • 사동 소라아파트에서 출발하는 사동발 첫차는 경산시 시내버스100번의 구간 첫차가 출발하는 아침 6시 10분보다 30분 이른 아침 5시 40분에 출발하는데, 이 시간대에 이 부근에서 경산역 방면으로의 차가 전혀 없는 것을 감안한 것인지는 몰라도 경산터미널 건너편에서 609번, 840번, 909번 등의 첫차나 둘째차와 환승 연계가 아주 절묘하게 되어 있다. 딱 내리자마자 버스 3~4대가 저 멀리서 꼭두새벽부터 빗자루 배차를 시전하며 들어온다. 대신 시내로 가려면 경산터미널에서 내린 후 터미널을 건너가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아니면 경산터미널 대신 정평역에서 2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 제2차 대구광역시 대중교통기본계획에 의하면 2012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연장 구간 개통 후 경산역, 경산시장을 경유하여 사동 구간으로 분리 구간을 통합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방천리공영차고지 ~ 사동(소라아파트) 노선이 되는 것인데, 현재 보면 분리 노선 통합이 필요하다. 정확히는 정평역을 경유하여 소라아파트 방면으로 통합시키는 게 좋은 방책이다. 정평역으로 돌리는 게 좋은 이유는 사동에 939번이 있지만 939번을 타고 사동에서 백천, 옥곡, 옥산지구를 거쳐 대공원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느니 509번을 타고 경산오거리를 경유, 정평역으로 가서 환승하는 게 거리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평동에는 시내버스편이 적고 사동행은 사동, 계양동 일대에서 경산오거리를 거쳐 정평동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계양동에서 경산시장으로 가는 버스는 100번399번이 있어서다. 더구나 정평동~사동 노선은 현재 509번 분리 구간 외에는 없으나, 중산삼거리~옥산네거리~경산역~경산시장~경산네거리~영대 구간은 중복 노선이 상당히 많다. 그래서 현재 영대 분리 노선은 중복 노선도 많고 이용객도 적어서 비효율적인데, 사동으로 통합하게 되면 회차지 문제[12]와 상술한 이유 때문에 사동 연장이 확실한데 사동까지 연장되면 경산 100번와 필연적으로 경쟁하게 되고 수요를 깎아먹을까봐 공배하는 경산버스 측에서 팀킬을 우려해 반대하는 모양이다. 실제로 509번 사동 노선과 경산 100번범어역(그랜드호텔) ~ 소라아파트 구간이 대부분 중복된다. 그나마 중복되지 않는 구간이 중산삼거리~경산오거리 구간으로 경산 100번은 중산삼거리에서 경산역~경산시장~경산오거리로 들어가고 509번 사동 노선은 중산삼거리에서 정평역으로 직진해서 경산네거리~중방네거리~경산오거리로 들어간다.

  • 하지만 계획과 달리 아직까지 분리 노선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그래서 조속히 사동(소라아파트) 방면으로 통합되어야 할 노선이다.하지만 경산버스에서 통합 못하게 막고 있다[13]

  • 성서권 대부분 중고등학교[14]스쿨버스 역활을 한다.

  • RH 때 7시 20분~7시 40분에는 와룡고등학교 학생 수요로 서재리에서 대부분 만차가 되며, 와룡건영캐스빌건너 정류장에서 초가축수송이 시작된다. 한화꿈에그린앞[15]~신당동주민센터앞 정류장[16][17]을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가 매우 잦다. 특히 신당동주민센터앞 정류장에서 탈 생각 하지 마라. 다만 방학 기간에는 학생 수요가 비교적 적어서 여유가 있다.


  • 차량의 경우 경산버스는 2003년에 경북 업체로는 처음으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여 509번을 시작으로 투입했으나, 2012년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및 천연가스 차량을 처음 도입하면서 이 노선에 뉴슈퍼 디젤 차량 5대와 BS106 디젤차량 1대를 투입했다. 하지만 대구광역시청에서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천연가스버스를 넣으라고 공문을 통해 압력을 넣어 다시 천연가스버스를 투입 중이다.[18] 2009년 1월 개편으로 경산버스대구광역시 남구를 처음으로 경유하게 되었다.


  • 방천리공영차고지로 한 정거장 연장했는데도 509번 노선 변경 안내표가 정류장에 부착되었다.[19] 왜냐 하면 방천리공영차고지 차량 출입로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기준으로 좌측에 정류장 폴대가 설치됐기 때문이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우진교통경신교통이 맞바꾼 이후 왜인지 배차가 많이 불안정하다. 회사를 가리지 않고 배차가 지켜지지 않고 운행 속도도 급한 편이다. 남산역, 대명동계대에서 밤 10시 30분 즈음에 경신교통 차량이 붙어다니는 모습이 꽤 보인다. 분리 노선도 있고 원래 경산버스 때문에 배차가 불안정한 노선이었던지라 더더욱. 523번에서는 장점인데 509번에서는(...)

  • 성서/서재방향 막차는 경신교통이, 경산/사월역 막차는 경산버스가 고정 분담 중이다.[20]

  • 2015년 노선 개편 후 2호선과 중복도가 높은 노선들과 402번이 폐지되면서, 그 노선들의 승객이 509번으로 넘어와 수요가 매우 증가했다.[21] 이로 인해 하차 단말기 2대가 설치됐다.(경산버스 제외)

  •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원정경기를 보러 오는 원정 팬들이 경산역을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노선이다. 경산역에서 라팍으로 갈 때는 그냥 오는 509번을 타면 되지만, 라팍에서 경산역으로 갈 때는 반드시 '영남대 방면' 509번 버스를 타야 한다. 다른 노선(309, 609, 840, 909, 100, 399, 990)들은 양방향 모두 이용 가능.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509
연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승차량(명)
12,081
11,729
12,953
12,175
10,747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Daegu_Metro_Line_1.svg.pn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명덕역
  • 파일:Daegu_Metro_Line_2.svg.pn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이곡역, 용산역,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반고개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담티역, 연호역, 대공원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22] 임당역[A], 영남대역[A]
  • 파일:Daegu_Metro_Line_3.svg.pn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 명덕역,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23]
  • 일반 철도역 : 경산역[A](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06:18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50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ED에는 계명문화대로 표기한다.[2] 경산버스는 "사월 종료"로 행선을 걸고 다닌다.[3] 물론 1998년 개편 전 전체 좌석버스 첫 번호는 301번(현 649번)이었지만 1996년 신설되었으며 이와 별개로 입석 301번은 구 109번으로 1998년 개편 때 변경되었다.[4] 이와 동일한 일반버스 노선으로는 5번이 있었으며 355번의 이곡네거리(정류소 명칭은 평화타운이다.) ~ 계명네거리까지는 완전 동일하다가 동산의료원, 한일극장을 경유하여 현재의 담티역까지 운행하였다. 2006년 개편 때 2호선과 선형이 유사해 이 노선 역시 성서 구간 일부는 성서1번, 성서1-1번에게 넘기고 섬유회관 ~ 한일극장 ~ 청구네거리 ~ 법원 ~ 수성구청 ~ 담티역 구간은 대구 버스 724에 넘기고 폐지됐다.[5] 따라서 경산네거리와 경산오거리 사이 구간에서는 잘 보고 타야 한다. 경산터미널 에서 사동행을 잡으면 그건 대구 시내로 가고, 영대행을 잡으면 삼천리버스 차고지로 간다!!! 반대로 경산터미널 건너편에서 영대행을 잡으면 그게 대구 시내로 가고, 사동행을 잡으면 경산시청, 삼풍동, 계양동, 사동으로 간다. 경기도 고양시에서도 비슷한 경우가 있다.(700번, 707번 금계초교 구간 참조)[6] 이 여파로 대구광역시 관내에서도 대경교통카드 충전소 이외에 한때 마이비 충전소가 경산버스가 다니는 중구수성구 쪽으로 몇 곳 있었다. 이후 마이비 충전소가 없어졌다가, 2013년 4월경에 캐시비를 취급하는 가판대가 대구 전역에서 갑자기 증가했다.[7] 890번은 840번 좌석버스의 일반버스 버전이었는데, 적자 노선이라서 2006년 개편 때 840번과 통합했다. 당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일반버스에 한해 시계외요금이 붙었는데, 890번는 일반버스였기 때문에 시계외요금이 붙었다. 더구나 890번은 배차간격이 25~30분으로 절륜했다(...). 따라서 890번은 일반버스임에도 시계외요금이 붙어 840번 좌석버스보다 비싸고 거기다 배차간격도 길었기 때문에 경쟁력이 없었으며, 경산시장을 거치는 관계로 당시 중산삼거리(시경계)에서 경일대학교까지 완주하면 무려 시계외요금3,500원이었다. 결국 2006년 개편 때 890번은 840번에 통합됐으며, 2006년 10월 요금제 개편에 따라 840번도 일반버스로 전환됐다. 이 노선들의 시초는 71번 일반버스와 1996년에 신설된 371번 좌석버스로, 대구가톨릭대학교~북부정류장을 운행하다가 1998년 개편으로 북부정류장에서 서문시장으로 대폭 단축된 것이다.[8] 100번의 황금동 구간을 완전히 분리한 100-1번도 이 무렵에 생겼다.[9] 임차한 부지로, 현재 소라아파트 종점도 임차한 주차장 부지다. 2015년 6월 현재 옛 계양동 회차지 자리에는 원룸이 생겼다.[10] 달서2번의 대체 수단으로 503번, 달서4번 달서4-1번도 있긴 하지만, 다른 점은 503번은 반고개, 대명시장을 아예 안 가고 두류네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하여 안지랑네거리를 거쳐 현충로역으로 운행하며, 달서4(-1)번 또한 내당 홈플러스에서 반고개가 아닌 이월드 후문, 구남보건고를 거쳐 대명시장으로 운행한다.[11] 518번도 있긴 하지만, 명덕로 구간이 얼마 되지 않고 이쪽은 남경산이 아닌 하양으로 갔다가 단축되고 말았다. 대명시장으로 갔었던 609번은 양지로(삼각지네거리) 구간으로 통합됐다.[12] 이전에 쓰던 계양동 회차지가 워낙 비좁아서 분리 노선이 통합되면 더 들어오기가 불가능했는데, 저상버스도 못 들어간다. 하지만 소라아파트 회차지는 계양동 회차지보다 넓어서 할 만하다. 문제는 삼풍동에서 계양동으로 올라갈 때 계양주공아파트 앞의 험한 길이다.[13] 1991년부터 경산버스가 공동 배차를 요구할 만큼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구광역시 측도 협상 의지가 없어서 분리구간이 통합되기는 요원하다.[14] 계명문화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와룡중학교,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성지중학교, 성산중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15] 대체 노선으로는 523번, 성서3번이 있다. 대백한라무지개타운건너 정류장에서 509번으로 환승하면 된다.[16] 대체 노선으로 성서3번이 있다.[17] 해당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 중 와룡고등학교, 이곡중학교, 성서고등학교 학생들, 직장인들이 이 이유로 지각한다고 카더라.[18] 대구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에는 의무적으로 천연가스버스를 넣으라는 것. 818번이나 990번같은 경산시 고유 노선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디젤차를 넣어도 상관없다. 그래도 대구공배 노선에 디젤이 보인다면, 그건 100% 예비차량이다. 실제로 경산시에서는 경유연료 보조금이 나간다는 이야기가 있다.(디젤 보조금이 최근 문제로 떠오른 그거다)[19] 경산 지역도 마찬가지로 509번 노선 변경 안내표가 부착되어 있다.[20] 그러나 삼천리버스경산버스의 경우에는 모든 차량들이 경산 방향으로 가면서 운행을 종료하는 것은 아니다. 평일 24대 운행 기준, 순번 1~10번까지는 삼천리버스, 11~15번까지는 경산버스, 16~24번까지는 경신교통이 운행하는데 이 중에서 1번 순번은 서대구시장에서 종료하는 삼천리버스 막차이고, 13~15번 순번은 방천리에서 종료 경산버스 차량들이다.[21] 402번의 경우 방천리 ~ 비산네거리까지 523번으로 존치됐으나 동산네거리 구간은 나중에서야 분리구간으로 추가됐고 402번의 성서 ~ 명덕로 수요는 노선이 폐지되자마자 중간 경로가 많이 다르긴 하지만 어쨌든 명덕로로 가는 509로 이동했다.[22] 소라아파트 방면만 연계된다.[A] A B C 영남대학교 방면만 연계된다.[23] 여성메디파크 하차(서재방면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