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불사

덤프버전 :

중국어
大馬不死
일본어
大石死せず
たいせきしせず
1. 바둑 용어
2. 바둑 외 용례
2.1. Too Big to Fail



1. 바둑 용어[편집]


바둑에서 여러 개의 돌로 이루어진 곤마대마는 돌 덩어리가 큰 만큼 여러 방면으로 활로를 모색할 수 있으며, 대마가 잡히는 것은 패배나 다름없기에 기사가 혼신을 다해 살려내려 하므로 쉽게 잡히지 않는다는 말. 실제 바둑에서 대마가 사활에 걸리더라도 포위하고 있는 주변 돌의 약점이나, 안의 궁도를 넓혀서 사는 게 충분히 가능할 때가 많다.

이 대마를 잡으려면 대마불사라는 말을 깨야 할 정도로 급소를 짚어내어 안형을 깨면서 주변 공간을 없애서 궁도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등 매우 섬세한 바둑을 두어야 한다.(특히 수순이 매우 중요하다) 대마불사라는 말을 깨는 이쪽 분야에서 가장 유명했던 기사는 일본가토 마사오. 기풍 자체가 워낙 전투적이고, 별명이 대마 킬러, 살인청부업자, 저승사자 등으로 불릴 정도니 말 다했다.

초읽기와 마찬가지로 바둑을 직접 접하지 않으면 원류를 모르는 용어 중 하나. 신문에서의 사용 빈도가 줄어든 것도 한몫한다.


2. 바둑 외 용례[편집]


대마불사#라는 용어는 초읽기처럼 바둑 외적인 부분에서도 많이 쓰는 용어인데, 주로 경제 용어로 쓰인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쓰이며(영어권에서는 하술된 Too big to fail이 사실상 같은 의미다) 주로 대기업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공적 자금과 특혜를 퍼부어서라도 무조건 살려낸다는 의미로 쓰인다. 30대 재벌의 경우 직원과 협력(하청)업체를 포함해서 워낙에 많은 사람들의 밥줄이 달려 있고, 규모가 거대하기 때문에 한 번 쓰러지면 국가 경제가 휘청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정부가 살려낼 것이라는 뜻이다. 한국의 경우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이런 대마불사론이 많이 나왔었고, 미국에서는 미국발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 미국의 대형 금융회사들에 대해 대마불사 얘기가 많이 나왔다.

그런 이유로 대마불사는 경영을 잘 하지 못했는데 세금으로 퍼주어 죽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중. 쉽게 말하면 대기업이 많은 직원과 하청업체의 일자리를 인질삼아 문어발 확장이나 무리한 사업을 벌린 뒤 수습 못하고 망할때 이들을 인질로 삼아 '우리가 사라지면 직원들 다 거리에 나 앉음. 어쩔래?'라고 정부를 협박해 결국 공적자금과 특혜을 받아낼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이런 대마불사론을 끝까지 외쳐대며 IMF 외환위기때에도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는 패기를 보이다가 결국 대우그룹을 공중분해시킨 기업인이 바로 김우중이다. 1960년대부터 대기업들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국가가 초법적인 특혜를 퍼부어서 재벌을 살려왔으며, 대표적인 게 바로 1972년 '8.3 사채 동결 조치'이다. 재벌들은 수십여년 간 이런 방식에 익숙해져서 '어려워지면 정권에서 다 살려주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무조건 빚내서 덩치만 키우다, 그 폐해가 누적되어 한 번에 폭발한 게 바로 1997년 외환위기.

하지만 원조 농산물을 시장에 판 돈이 국가 예산의 절반을 차지하던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하고 산업면에서 성숙해진 한강의 기적을 이룩하는 데에는 어려운 상황에 빠진 기업을 정부가 구제하는 조치들이 없었더라면 불가능했다는 적극적 반론도 있다. 대마불사론의 효용은 결국 해당국가가 고성장국가냐, 저성장국가냐에 따라 나뉜다. 고성장시기에는 일단 살려놓으면 투입한 공적자금 이상의 금전적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크다.[1] 반면 저성장국가는 아무리 돈을 투입하고 살려도, 공적자금 회수는커녕, 언제 또 공적자금 투입을 요청할지 알 수 없는 좀비기업이 되기 쉽다.

그리고 외환위기 이후에는 재벌이라고 안 망하고 그런 거 없다. 물론 상술한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조선업 같은 고용 효과가 큰 산업의 경우에는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이 똥물을 뒤집어쓰는 식으로 어떻게든 피해를 줄이려고 하지만... 개별 기업을 살리고 실업자 양산을 막는 것과 재벌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 외환위기 이후 문어발 확장으로 망해버린 대표적인 재벌그룹으로 STX가 있는데, 개별 기업에 관해서는 어떻게든 살려내려고 애를 쓰고 있지만 기업집단 자체는 흔적도 없이 소멸했다. 기존의 총수가 경영권을 잃은 것은 당연지사. 그 외에도 웅진그룹, 동부그룹, 동양그룹, 오리온그룹, 금호그룹 등이 해체되거나 계열사 수가 축소되는 결말을 맞았다.

한국 외에도 대마가 죽는 경우도 의외로 있다. 대표적으로 월드컴, 엔론 등이 있고 최악의 사태로는 대침체를 불러온 리먼 브라더스가 있다. 대마도 내실이 있어야 살리는 법이지 분식회계 등으로 인해 내실 없는 대마는 살리려 해봐야 다른데 쓸 수 있는 수만 낭비하고 살 가능성도 희박하기에 결국 버리고 게임을 'GG'친다.


2.1. Too Big to Fail[편집]


If you owe the bank $100, that’s your problem. If you owe the bank $100 million, that’s the bank’s problem.

당신이 은행에 100달러를 빚지면 그건 당신이 책임질 문제지만, 1억달러를 빚지면 그때부턴 은행의 문제다.


영어에서는 대마불사와 사실상 같은 뜻을 가진 "Too Big to Fail"이라는 말이 있는데, "실패하기에는/망하게 놔두기에는 너무 크다"는 뜻이다. TBTF라는 줄임말로도 통용된다.

주로 월 스트리트의 대형 금융기관들에 대해 사용한다. 이들이 무너지면 금융 시스템이 무너지고 전반적인 경제가 무너지기 때문에 비도덕적이라도 일단 살리고 봐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1984년 당시 미국 하원의원이었던 스튜어트 매키니(Stewart McKinney)가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컨티넨탈 일리노이 은행(Continental Illinois)의 구제와 관련하여 이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널리 알려졌다.

상술한대로 은행에 한명이 100달러를 빌렸다가 못갚으면 그땐 추심을 하건 압류를 하건 최악의 경우 회수하거나 손실처리하고 덮거나 하는 은행 내의 자본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여력이 있다. 하지만, 그 규모가 지나치게 거대하면? 1억달러를 못 갚게 되면 그때는 이미 은행 하나가 가진 지급준비금이나 자산가지고 이를 손실처리하는 것조차 불가능하며, 대응하는 채무자의 자산을 추심하거나 압류해도 그 1억달러와 같은 가치를 가졌을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 그러니 이 손실을 다 떠안으면 은행은 높은 확률로 파산하고, 이는 아무 죄없이 그 은행에 자기 자산을 맡긴 예금자의 피해로 고스란히 돌아온다. 그걸 그 은행에 맡긴 니 잘못이니 니가 책임져라? 그 어떤 정치체제에서건 이런 일이 일어나면 폭동감이다. 민주주의 정권이면 높은 확률로 그 정권이 날아간다. 그러니 은행은 속된말로 자기와 거래하는 예금자를 인질삼아 정치권에 압력을 행사해 자기들의 실수를 정부 돈으로 채우라는 모럴 해저드의 유혹에 끊임없이 빠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영미권 내 진보 인사, 자유지상주의자들, 그리고 자기 세금으로 보너스 파티를 벌이는 금융권 CEO들에게 분노한 납세자들에게 끊임없는 까임거리가 되었다. 평소에는 자유방임주의, 시장 자유 경쟁을 주장하던 작자들이 정작 자신들이 어려운 처지가 되자 자금 지원을 구걸하고, 그나마 지원받은 이 돈으로 보너스 파티를 벌이는 추태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를 말그대로 자유지상주의를 밀어붙이며 시장에 맡겨야 된다고 믿었던 미국은, 겨우 200여년의 역사동안 두자리수가 넘는 경제공황을 겪었으며 그때마다 있는자들이 밀실에서 몰래 합의해 시스템 위기를 덮어왔고 그마저도 1907년 은행 패닉에는 완전히 대응 불가 상태가 되어 결국 연방정부가 직접 금융 시스템을 감시하고 관리하도록 연방준비제도를 만들었고, 그럼에도 대공황,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등을 막지 못하고 지금의 극단적인 양극화사회를 겪고 있다.

Too big to jail(감옥 가기에 너무 크다)이라고 비꼬아지기도 하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가한 버니 샌더스"If they are too big to fail, then they are too big to exist."(그들 - 대형 은행들 - 이 실패하기에 너무 크다면, 그들은 존재하기에도 너무 큰 것이다.)고 발언한 바 있다. 실제로 이렇게 독과점의 형태로 특정 개인/기업이 쓸데없이 비대해지는 것은 자본주의 경제학에서도 경고하는 부분으로, 이미 애덤 스미스부터가 지적한 바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2:15:44에 나무위키 대마불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이 경우에도 경영진이나 오너의 책임을 묻지 않는다는 결점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