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항공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국
공격 측
방어 측

중일전쟁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루거우차오 사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제2차 상하이 사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장인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우쑹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난징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충칭 대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1939년 동계공세작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할힌골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백단대전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코 창 해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진주만 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남방작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제1차 괌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웨이크섬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싱가포르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말레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마셜-길버트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다윈 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자바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엘우드 포격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실론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둘리틀 특공대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산호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미드웨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알류샨 열도 전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코코다 트랙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달카날 전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연방
툴라기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테나루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사보섬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마타니카우 작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동부 솔로몬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에스페란스 곶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산타크루즈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과달카날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타사파롱가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비스마르크해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일-독 잠수함 합동작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연방
타라와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콜롬방가라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창더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부건빌 전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글로스터 곶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헤일스톤 작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임팔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륙타통작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사이판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필리핀 해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2차 괌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펠렐리우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앙가우르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오보에 작전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대만 항공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필리핀 탈환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레이테 만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일본 본토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풍선폭탄 공격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람리 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페낭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도쿄 대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오지마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오키나와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구레 군항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시탕 굽이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만주 전략 공세 작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남사할린 침공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슘슈 섬 전투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및 결과)는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배경
3. 경과
4. 결과



1. 개요[편집]


Formosa Air Battle[1]

1944년 10월 12일~18일에 걸쳐 진행된 미 해군일본 해군 간의 대규모 항공전.

2. 배경[편집]


필리핀 해 해전의 대승 이후 미군은 필리핀 상륙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이 필리핀을 노리는 것은 일본군도 뻔히 알고 있는 일이었고, 필리핀 주변으로 일본군 전력들이 속속들이 모여들고 있었다. 이렇게 증강되는 전력들은 대부분 고기밥(...)이 되었지만 해상으로 오는 수송선단이 아닌, 필리핀 인근 지역의 일본 점령지에 전개한 항공세력은 미군이 먼저 두들겨서 박살내지 않는 한 필리핀 탈환전에 커다란 장애가 될 것이 분명했다.

10월 5일, 태평양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대장은 3함대 사령관 윌리엄 홀시에게 포모사(타이완)의 군사 및 항만시설을 다시는 사용하지 못할 만큼의 타격을 주라고 지시했다. 홀시 제독은 마크 미처 제독의 TF38에게 북상하여 대만 일대의 일본 항공세력을 일소할 것을 지시했다.

대만 항공전의 전초는 10월 10일 오키나와 공습이었다. 마크 미쳐 제독은 대만 공습 이전에 오키나와를 먼저 두들겼고, 그 다음날인 11일에는 남하하여 필리핀 루손 섬의 주요 활주로를 공습했다. 이같은 사전 공습을 통해 미 함대의 의도를 눈치챈 일본군은 후쿠도메 시게루 중장의 제2항공함대를 동원하여 제3함대를 완전히 섬멸코자 하였다.


3. 경과[편집]


10월 12일, 3함대의 함재기들이 대만을 초토화하기 위해 대거 이륙했다. 이날 미군은 무려 1,378 소티로 대만 각지에 산재한 활주로와 군사 시설들을 맹폭했고 이에 맞서 일본 요격기들이 이륙했지만 추풍낙엽처럼 격추당했다. 일본군도 미군 함대를 포착하고 90여 기를 투입하여 공습에 나섰으나 절반 이상이 격추당하는 경이로운 기록 속에 실패로 끝났다. 한편, 같은 날부터 일본군은 제762해군 항공대에 의한 T 공격을 시도하였다.

T 공격이란, 계속되는 패배에 좌절하던 일본군이 미국 함대에 제대로 된 타격을 가하기 위해 궁리 끝에 개발한 전술로 겐다 미노루가 제안한 것이다. 야간이나 동트는 새벽, 혹은 태풍같은 악천후에 출격하여 최대한 해수면에 근접하여 비행, 미군의 초계망을 돌파하고 미군 함대에 공습을 가한다는 개념이었다. 당연 막대한 비전투손실이 발생할 것이 분명했지만 이런 무모한 시도 외엔 마땅한 방법이 없던 것이 일본군의 현실이었다. 그러나 10월 12일의 T 공격도 모조리 실패로 돌아갔다.[2]

일본군이 이 작전에 얼마나 절박했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가 있는데 지휘부는 작전을 나가는 조종사들의 야간 시력을 높이기 위해 소나 돌고래의 뇌하수체에서 추출한 멜라닌 같은 호르몬 물질을 파일럿들에게 주사했다. 실제 이 추출물을 주사 받으면 야간 목표 식별 능력이 다소간 상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위에도 나와 있듯 작전은 개같이 멸망했다. 소 한 마리에서 사람 한 명 맞출 양이 겨우 나왔다고 하니 희생당한 소, 돌고래들만 불쌍하다.

10월 13일, 미군은 947소티를 투입하여 다시 한 번 대만을 두들겼다. 특히 하와이에서 온 정보에서 연합함대 사령장관 도요다 소에무가 대만 신주에서 지휘 중이라는 첩보가 입수되면서 신주에 대한 집중적인 공습이 단행되었다. 만약 도요다까지 공습으로 죽었다면 야마모토 이소로쿠, 고가 미네이치에 이은 세 번째 사령장관 전사가 되었을 터이지만 도요다는 공습을 피했다.

이 날 일본군은 마침내 미군에게 유효한 타격을 주어 중순양함 캔버라가 대파되었고 항모 프랭클린이 작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미한 손상을 입었다.

10월 14일, 제멋대로 미군의 함대 방어력을 크게 깎아 먹었다고 판단한 일본군은 총공격에 나섰다. 일본군이 이러한 판단을 내린 계기는 미군이 전날보다 약화된 공습만을 가하고 항로를 남쪽으로 변경한 것, 그리고 귀환한 파일럿들이 과장된 전과 보고를 한 것을 고스란히 믿어서였다. 사실 이때 미군이 항로를 돌린 이유는 충분한 전과를 올렸다고 판단했고 대파된 캔버라를 귀환시켜야 했으며 이후 필리핀 탈환전을 지원하고자 함이었으니 엄청난 오판이었다.

14일부터 16일까지 일본군은 무려 1,000 소티가 넘는 항공기를 연속해 출격시키며 파상 공세를 퍼부었으나 결과는 마리아나의 칠면조 사냥이 재현될 뿐이었다. 14일 하루동안 일본군은 무려 244기의 항공기를 잃었고, 미군의 피해는 항모 핸콕, 경순양함 휴스턴, 레노가 경미한 손상을 입는데 그쳤다. 최종적으로 일본군은 약 500여 기의 항공기를 3일여 만에 상실하여 추가 작전 여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한편, 일본군의 밤낮없는 맹공을 모조리 분쇄해내던 미군도 휴식 없는 계속된 전투에 지쳤고 이때문에 항모 벙커힐이 휴식을 위해 일선에서 이탈한다. 참모들은 다른 항모들도 일단 이탈시키자고 제안했으나 곧 있을 필리핀 상륙의 지원, 그리고 항모가 일제히 전열에서 이탈할 경우 패배한 것으로 보여서 사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홀시는 이를 반려한다.


4. 결과[편집]


대만 항공전의 피해로 일본군은 1944~45년 필리핀 전역에서 항공지원을 전혀 하지 못했다. 필리핀 전역만이 아니라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도 일본군의 대만 항공세력은 미군을 위협할 세력이 되지 못했다. 아울러 조종사에게 초인적인 능력을 요구한 T 공격마저 대실패로 돌아가면서 일본군은 카미카제라는 미친 짓을 선택하기에 이른다.

한편 도쿄 로즈대본영발표 자료를 인용해서 항모 19척, 전함 4척, 순양함 7척, 함종불명 15척 격침 및 격파라는 방송을 한다. 참고로 전쟁기간 내내 격침당한 미군 항모가 11척이다. 그리고 격침당했다는 11척의 항공모함 중 거의 절반은 정규항공모함도 아닌 호위항공모함이었다.[3] 터무니없이 과장된 이 전과 홍보는 그때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대본영에 되먹임되어 상황을 오판하게 만들었다.[4] 그리고 이 방송내용을 전해들은 홀시"침몰당했다는 제3함대는 현재 해저에서 무사히 인양되어 적을 향해 급속 퇴각 중"이라는 드립을, 그것도 태평양함대에 날렸다.

이는 3일간의 야간전투로 전과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참전한 일본군들이 상황을 오판해 보고한 것이 쌓이고 쌓이고 쌓였지만 정작 진짜 전과 확인은 하지도 못한채 덜컥 발표해버리면서 생긴 문제다. 이런 오보+정신승리를 바로잡기에는 이미 천황에게 보고돼서 치하까지 받은 마당이라 무를 수도 없을 노릇이다. 하지만, 그런 실상을 알고 나서도 전황을 정확히 파악해야할 일본군은 대만에서 대승했다는 자기최면에 빠져 스스로 자멸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 일본군은 자기들이 대패했음에도 되려 공세적으로 나가야한다는 분위기에 휩쓸려 행복회로를 풀로 돌렸고, 이후 미 항모 기동부대가 18일 오후 2시 레이테만으로 진격하는 것을 현지해 일본군 정찰기가 발견 했지만 "적 함대 다수가 레이테만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제16)사단의 판단으로는 적이 진공을 위해 진입하고 있는지, 폭풍을 피하기 위해 들어오고 있는지, 또는 대만해의 전투에서 피해를 입은 함정이 도피해 들어오고 있는지 불투명함"라는 안이한 상황 보고를 하게 만들었다.

미군은 결국 20일 레이테 섬에 4개 사단을 상륙시킨다. 그런데 원래 일본군의 작전 계획은 '지상결전은 루손 섬에 한정한다'였고, 다른 섬은 해군과 항공대만으로 해결하기로 하였다.[5] 이에 야마시타 도모유키 방면군 사령관의 지휘 아래 이미 그렇게 병력 배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일에 대본영 육군부에서 해군과 항공부대로 적부대 격멸이 가능하니 육군도 정예부대 2개 연대를 레이테 섬으로 차출하여 협공하라고 명령을 내린 것이다. 이는 미해군이 대만 해전으로 거의 전멸했다고 오판하여 미군 격멸의 절호의 호기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후 이러쿵저러쿵 하다 보니 루손의 12만 일본군 중 3만 명과 거의 바닥을 보이던 탄약과 식량 중 상당 부분을 레이테로 수송하게 된다. 문제는 자기들이 다 격침했다고 주장한 미해군이 멀쩡히 살아서 수송함대를 공격해 수송중 대부분이 침몰하여 레이테섬에는 아무 도움이 되지 못했고, 루손의 일본군 전력 역시 약화되었다.

군령부 제2부(정보부)는 과거 경험으로 미 항모가 튼튼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두 발의 폭탄이나 어뢰로 침몰하지 않음으로 전과가 과장되었다는 것을 처음부터 눈치채고 있었다. 해군 군령부의 경우 10월 24~26일에 걸쳐 일어난 필리핀 해전으로 인해 미 항모 기동부대가 건재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고금에 없었던 대 전과를 발표하여 덴노에게 큰 상과 칭찬까지 받은 지라 지금 와서 뻥이었다고 할 수 없으니 그냥 침묵하였다.

그러다 해가 바뀌어 1945년 1월 19일 궁중연락회의에서야 대만 해전에서 실제로 격침이 확실한 것은 호위 항모 1척과 순양함 개조 항모 1척뿐이라고 고백하였다.

북부에 병력을 집중배치하려고 했다가, 해군의 거짓 전과 보고로 대본영에서 방침을 바꿔, 레이테 섬으로 이동시키던 이 병력들 대부분은 이동 중 수장당하거나, 이동 후 고립당해 태반은 기아로 아사하게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56:02에 나무위키 대만 항공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르모사는 포르투갈인들이 타이완 섬에 붙인 이래 유럽권에서 부르던 명칭으로, 2차대전 당시에는 타이완보다도 포르모사를 더 많이 썼다.[2] 당연하다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야간 공격을 한다는 전술만 있었지 야간 공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레이더와 초계 시스템은 처음부터 없었고(미국은 전투기에 이전 야간 전투기 앞머리에 달던 VHF 레이더가 아닌 본격적인 전투기 레이더를 날개에 달아 필리핀 항공전에서 야간 공습을 성공시켰다.), 야간 공습을 수행해봤던 베테랑들은 이미 소모전으로 많이 소모되었다. 그리고 T 공격의 무모함과 도박성은 카미카제의 모티브가 되었다.[3] 격침당한(혹은 사실상 자침이지만, 정황상 격침 판정이 난) 정규항공모함은 이렇다. CV-1 랭글리, CV-2 렉싱턴, CV-5 요크타운, CV-7 와스프, CV-8 호넷. 사실 이러한 전과 부풀리기는 일본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기는 하다. 레이테 만 해전에서 홀시가 낚시를 문 이유중 하나도 전과를 과대평가했기 때문이었으니...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저건 좀 지나치게 뻥튀기된 수치기는 하다.[4] 해군은 승전보를 물어 오는데 어째 화물선은 씨가 마르고 보낸 병력은 소식이 없고 미군은 꾸역꾸역 몰려오고 본토에는 폭탄이 떨어지고...[5] 참고로 필리핀은 4천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