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중공업
(♥ 0)
분류
1. 개요[편집]
옛 대우그룹의 중공업 부문 계열사로, HD현대인프라코어와 한화오션의 뿌리이며 현대로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의 공동전신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1937년 일본 요코야마공업소[2] , 모리콘체른 등의 주도로 경기도 인천부에서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가 시초이다. 설립 이래 디젤 차량 및 엔진을 위주로 제작했으나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인천육군조병창 관리 하에 잠수함을 건조했고, 특히 말기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의뢰로 삼식잠항수송정을 발주받은 적이 있다. 일제하 조선기계제작소에 관한 이야기는 배석만 인천대학교 교수의 2009년 논문과 이성진 교사의 인천뉴스 연재물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1945년 8.15 광복 후 귀속 재산으로 분류되어 상공부 관할이 되었다. 이후 관리권이 대한민국 국방부와 상공부를 오가다가 1963년,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제정에 따라 한국기계공업으로 재창립한 뒤 196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고, 1968년에 신진자동차가 경영에 참여해 민영화되었다. 1973년 부곡차량 인수합병 후 1975년 신진그룹에서 분리되어 은행관리로 넘어갔다.
1976년 대우실업에 인수된 후 대우중공업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77년 공작기계공장, 1978년 기술연구소를 각각 세웠다. 1984년 항공사업부문 신설 후 1988년 자회사 한국산업전자를 세웠고, 1989년 유럽현지법인을 세우고 1994년 대우조선공업을 합병하여 조직을 기계-조선-자동차[3] 3개 부문으로 재편하여 독립채산제도 도입했다. 1999년도에 자동차 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이관하고 같은 해 빅딜을 통해 현대, 삼성, 대우, 한진 4사의 항공사업부문을 한국항공우주산업으로, 현대, 대우, 한진 3사의 철도사업부문은 한국철도차량으로 합쳤다. 대우그룹 해체 후 채권단 관리를 받다가 2000년 10월 23일에는 종합기계부문이 '대우종합기계', 해양사업부문이 '대우조선공업'으로 각각 쪼개졌다. 나머지 (구)대우중공업 법인은 청산법인이 되어 정리절차를 거쳤고, 2001년 5월 23일 상장폐지를 맞고[4] 2005년 4월 1일 파산선고를 받아 2013년 법인이 완전 해체됐다.
대우중공업의 두 축이였던 종합기계와 조선해양은 20년 가까이 나뉘어 살다가 여러 사정 끝에 모두 현대중공업그룹에 인수되어 만나게 될 뻔 했던 적이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와 대우조선해양을 동시 인수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무리없이 인수되어 HD현대인프라코어가 되었으나, 대우조선해양의 인수는 유럽연합 (EU)의 반대로 무산되어[5] 전체 시장점유율로 보면 대우중공업이 현대중공업의 이름으로 다시 만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설령 대우조선해양이 인수되었다하더라도 온존한 형태의 재결합은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미 외환위기 때 항공부문과 철도부문이 떨어져나갔고, 그나마 남은 대우종합기계도 대우종합기계의 후신인 두산인프라코어가 두산의 경영난으로 여기저기로 분할 매각되었기 때문이다. 대우종합기계가 두산그룹에 인수되어 두산인프라코어가 된 뒤 분할매각된 굵직한 사업부만 해도 지게차사업부[6] , 공작기계사업부[7] , 방산사업부[8] , 엔진사업부[9] 가 있다.
3. 역대 총괄임원[편집]
- 회장
- 김제원 (1969~1971)
- 대표이사 회장
- 김우중 (1977~1995/1998~1999)
- 윤영석 (1995)
- 윤원석 (1995~1997)
- 대표이사 부회장
- 윤영석 (1993~1995)
- 대표이사 사장
- 최창현 (2000~2005)
4. 둘러보기[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20 04:45:41에 나무위키 대우중공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대우자동차보존연구소라는 비영리단체가 운영하는 대우테크니컬아카이브의 도메인으로 사용되고 있다.[2] 당시 네즈재벌 계열사.[3] 국민차, 트럭, 버스[4] 원래는 같은 해 10월 26일 상장폐지 예정이였으나 영업에 필요한 자산이 전혀 없는 사실상 페이퍼 컴퍼니라는 이유로 증권거래소에서 빠른 상장폐지 결정을 내렸다. 당시 상장되어 있던 주식수는 보통주 2억 6,938만 6,352주, 우선주 639만 8,126주였다.[5] 대우조선해양이 현대중공업그룹에 인수합병될 경우 LNG선 등 고부가선종에서 시장 점유율 약 70%를 차지하는 초거대 괴물 조선회사가 탄생하게 될 것을 우려한 EU가 기업승인 불승인을 내렸다.[6] 매각된 후 (주)두산이 다시 사들였다가 두산밥캣의 자회사로 재매각.[7] 사모펀드로 매각되었다가 DTR오토모티브(현.DN오토모티브)로 재매각. 사모펀드가 들고 있었을때는 그나마 '두산공작기계'라는 사명으로 두산의 흔적을 남겨놨었지만, DTR오토모티브로 매각된 이후로는 아예 'DN솔루션즈'로 회사 이름을 바꿔서 두산의 흔적을 지워버렸다.[8] 한화디펜스로 매각[9] HSD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