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 U-23 국가대표팀의 체제에 대한 내용은 황선홍호 문서
황선홍호번 문단을
황선홍호# 부분을
, 제14대 감독 체제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제14대 감독 체제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U-23 National Football Team
코드KOR
축구 협회대한축구협회 (KFA)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홈 경기장서울월드컵경기장 (66,704석)
감독공석
주장단
C
변준수 (BYEON Jun-Soo)
VC
황재원 (HWANG Jae-Won)
[ 대표팀 기록 보기 ]

최다 출전김동진, 김두현 (43경기)
최다 득점이동국 (20골)
첫 국제경기 출전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5:0
(대한민국 마산시 / 1991년 3월 24일)
최다 점수차 승리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0:0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1991년 5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0:0
(미얀마 양곤 / 2012년 6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10:0
(베트남 호찌민 / 2017년 7월 19일)
최다 점수차 패배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0:3
(스웨덴 / 1995년 11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 1:4
(일본 도쿄 / 1999년 9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0:3
(호주 애들레이드 / 2000년 9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0:3
(중국 친황다오 / 2008년 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0:3
(영국 맨체스터 / 2012년 8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0:3
(중국 우한 / 2014년 11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4
(중국 쿤산 / 2018년 1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3:6
(일본 요코하마 / 2021년 7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vs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일본 0:3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 2022년 6월 12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세계 대회
올림픽[진출] 8회[1]
[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2012)
대륙대회
아시안컵[진출] 4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020)
아시안 게임[진출] 5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014, 2018, 2022)
WAFF컵[진출] 1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2024)

[1]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23세 이하로 구성된 선수들만 출전했으므로 9회가 아닌 8회 진출이다.

유니폼 원정
상의
하의
양말

유니폼 골키퍼 1 골키퍼 2 골키퍼 3
상의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1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12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21

하의1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12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21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svg
양말
1. 개요
2. 역대 감독 및 기록
2.1. 최근 대표팀 및 감독
2.2. 역대 사령탑 명단
2.3. 역대 주장 명단
3.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
4. 개인 기록
4.1. 최다 득점 선수
4.2. 최다 출전 선수
4.3. 올림픽 득점 선수
4.4.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
5. 국가별 전적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23세 이하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에서는 와일드카드 제도로 최대 3명까지 23세 이상 선수를 선발할 수 있다.

대한축구협회 입장에서는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월드컵 바로 다음 중요도를 가진 경기[1][2] 이므로 와일드카드는 반드시 A대표팀 멤버 중에서도 베스트 3[3]를 신중히 고르고 골라서 뽑는다. 특히 이 와일드카드라 함은 진정한 국대 중의 국대라는 칭호를 들을 수준이어야 뽑힌다.

이러한 이유로, 올림픽 본선과 아시안 게임 본선에 출전하는 23세 대표팀은 한국 축구에서 차지하는 지분이 A대표팀과 거의 대등한 수준으로 높은 대표팀[4]이며 A대표팀으로 가는 중요한 등용문 역할을 하고 있다. 병역 문제가 매우 크기 때문에 대한민국 U23대표팀은 타국과 달리 지금 당장이라도 A대표팀 선발이 가능한 수준의 유럽파 병역 미필 선수들이 총집결한다.

과거에는 올림픽아시안 게임의 연령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올림픽, 아시안 게임도 월드컵에 맞먹을 정도의 전력으로 임했다. 위의 병역특례 때문에 1992년 이전까지는 아시안컵보다는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23세로 연령 제한을 도입하여 더이상 최정예 선수로 대표팀을 만들기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23세 이하 대표팀은 전력의 핵심이 될 와일드카드 선수 선발에 더욱 신중하게 되었다. 이는 비단 우리 대표팀만의 문제가 아니라 특수한 경우에 타국도 성인 대표팀 핵심자원을 와일드카드로 뽑거나 월드클래스 선수를 차출하기도 한다.[5]

특히 아시안 게임은 월드컵 직후에 열리는 대회로 월드컵 성적이 좋은 경우 월드컵 멤버 중에서 와일드카드를 뽑는데 아시안 게임의 성적에 따라 한국 축구의 열기가 뜨거워지느냐 식느냐의 갈림길에 서기도 한다. 2002년과 2010년엔 금메달 실패로 2002년 한일 월드컵 4위와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원정 첫 2라운드(16강)[6]의 열기가 죽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고, 2014년에는 금메달을 통해 브라질 월드컵의 대실패로 떠나있던 팬들의 마음을 어느 정도 되돌려냈으며, 2018년과 2023년엔 금메달을 따내면서 독일을 꺾고 4년 뒤엔 12년 만에 월드컵 16강에 진출한 한국 축구의 열기에 불을 더 지핀 전력이 있다. 대한축구협회가 U-23팀을 결코 A대표팀이 아니라 해서 홀대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올림픽, 아시안 게임 축구가 대한민국에서 만큼은 유난히 AFC 아시안컵보다 더욱 우대받는 것이, 방송 중계 현황을 보면 알 수 있다. 올림픽 및 아시안 게임 축구는 지상파 3사에서 윤번제로 중계하지만, 아시안컵은 종편 1곳 단독 중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이런 주목도의 차이는 성과지상주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과를 거두기 직전 대회인 베이징 올림픽이나 광저우 아시안 게임 같은 경우 그 당시 한국이 축구를 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 원래부터 U-23 축구의 인기가 높았다면 베이징이나 광저우에서의 축구도 그랬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 그 말은 U-23팀이 성과를 거두고, 그를 통해 열심히 마케팅을 했기 때문에 대중들 사이에서 열기가 달아오르고, 그것이 다시 언론중계라는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얘기다. 결국 그 이유는 병역 때문에 U23 대회에 전력투구 및 자동적으로 정신무장이 되는 한국 축구의 특성에 있다고 해야 한다.[7]

올림픽 축구에서는 축구협회 엠블럼을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8] 예전 유니폼처럼 태극기를 가슴에 부착한다.[9] 유니폼 제조사에게까지 엄격하게 제재를 가한다.[10] 아시안 게임도 올림픽처럼 원칙상 축구협회 엠블럼을 부착할 수 없지만,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서 특별히 제재가 없어 아시안 게임은 축구협회 엠블럼이 부착된 원래 유니폼을 입고 나간다.

2. 역대 감독 및 기록[편집]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3%, transparent 3%, transparent 20%, #e6002d 20%),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0%, #c50c2d 2.5%, #e6002d 5%, #c50c2d 7.5%, #e6002d 10%, #c50c2d 12.5%, #e6002d 15%, #c50c2d 17.5%, #e6002d 20%, #c50c2d 22.5%, #e6002d 25%, #c50c2d 27.5%, #e6002d 30%, #c50c2d 32.5%, #e6002d 35%, #c50c2d 37.5%, #e6002d 40%, #c50c2d 42.5%, #e6002d 45%, #c50c2d 47.5%, #e6002d 50%, #c50c2d 52.5%, #e6002d 55%, #c50c2d 57.5%, #e6002d 60%, #c50c2d 62.5%, #e6002d 65%, #c50c2d 67.5%, #e6002d 70%, #c50c2d 72.5%, #e6002d 75%, #c50c2d 77.5%, #e6002d 80%, #c50c2d 82.5%, #e6002d 85%, #c50c2d 87.5%, #e6002d 90%, #c50c2d 92.5%, #e6002d 95%, #c50c2d 97.5%, #e6002d)"
{{{#ffffff '''1990년 이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초대}}}

김삼락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2대}}}

아나톨리 비쇼베츠
(비쇼베츠호)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3대}}}

허정무
(허정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4대}}}

박항서
(박항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5대}}}

김호곤
(김호곤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6대}}}

핌 베어벡
(베어벡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7대}}}

박성화
(박성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8대}}}

홍명보
(홍명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9대}}}

이광종
(이광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대행}}}

최문식
(이광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10대}}}

신태용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대행}}}

정정용
(정정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11대}}}

김봉길
(김봉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12대}}}

김학범
(김학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13대}}}

황선홍
(황선홍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FFFFFF 14대}}}

미정
(○○○호)
파일:국기.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1 [[틀:축구 국가대표팀별 역대 감독|{{{#423f3f,#c0bdbd 전 세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감독}}}]]}}}
}}}}}}}}}}}} ||




2.1. 최근 대표팀 및 감독[편집]


최근 대표팀황선홍호
최근 사령탑황선홍
계약 기간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진출 대회 및 최종 성적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8강 5위


2.2. 역대 사령탑 명단[편집]


감독수석코치경기 수승률대회 성적비고
김삼락데트마어 크라머29206368.96%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11위[11][12]
아나톨리 비쇼베츠김성남391713943.58%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4위
1996 애틀랜타 올림픽 9위[13]
[겸임]
허정무정해성29242382.75%2000 시드니 올림픽 9위[14][겸임]
박항서최강희1072170%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동메달
김호곤28175660.71%2004 아테네 올림픽 8강 6위
핌 베어벡압신 고트비650183.33%2006 도하 아시안 게임 4위
2008 베이징 올림픽 2차예선 통과
[겸임]
박성화강철1375153.84%2008 베이징 올림픽 10위[15]
홍명보김태영
서정원
신의손
25148356%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12 런던 올림픽 동메달
이광종최문식19124363.15%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금메달
최문식 (대행)김기동321066.66%-[16]
신태용전경준
김기동
26168261.53%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 준우승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8강 5위
[17]
정정용 (대행)공오균321066.66%-
김봉길신성환640266.66%2018 AFC U-23 챔피언십 중국 4위[18]
김학범김은중14120285.71%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우승
2020 도쿄 올림픽 8강 5위
황선홍명재용28222478.57%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8강 5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8강 5위
[겸임]


2.3. 역대 주장 명단[편집]


주장대회비고
서정원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최초의 U-23 도입 대회
윤정환1996 애틀란타 올림픽
김도균2000 시드니 올림픽
이영표2002 부산 아시안 게임아시안게임 첫 U-23 도입, 최초의 와일드카드 주장
박용호2004 아테네 올림픽
이천수2006 도하 아시안 게임와일드카드
김진규2008 베이징 올림픽
구자철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최연소 주장(만 21세)
구자철2012 런던 올림픽최초 연속 주장
장현수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장현수2016 리우 올림픽2번째 연속 주장, 와일드카드
손흥민2018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와일드카드
이상민2020 도쿄 올림픽
백승호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와일드카드


3.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편집]



3.1. 올림픽[편집]


대한민국은 마지막 A매치 올림픽 축구 대회였던 1988 서울올림픽 본선 진출부터 2020 도쿄 올림픽 본선 진출까지 세계 최초의 올림픽 축구 본선[19] 9회 연속 진출 기록을 달성한 국가이다.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스페인 바르셀로나 1992조별리그11위303022
미국 애틀랜타 1996조별리그11위311122
호주 시드니 2000조별리그9위320123
그리스 아테네 20048강6위412188
중국 베이징 2008조별리그10위311124
영국 런던 2012동메달3위623155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168강5위4211124
일본 도쿄 20208강5위4202137
프랑스 파리 2024본선 진출 실패[20]
미국 로스앤젤레스 2028
호주 브리즈번 2032
합계본선진출 8회 / 동메달 1회30111184635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3월 최종예선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카자흐스탄, 중국과의 조별리그에서 2승 1무로 1위로 진출하여 이라크 일본을 격파하고 1위로 본선에 진출한다. #16강 조별리그에서 초전 가나와는 당시 와일드카드였던 황선홍이 PK를 얻어내 윤정환이 침착하게 차넣어 첫승을 거든 뒤# 멕시코와의 대결에서 0:0무승부 # 이미 탈락이 확정된 이탈리아[21]와 마지막 대결에서 전반에 먹히면서 끌려나가게 되고 이기형이 동점골을 넣었으나 후반 37분 결승골을 먹히면서 #가나와의 다득점에서 밀려[22] 아쉽게 16강 조별리그에서 탈락(11등)하고 만다.

조별 본선이지만, 조별 예선[23]이며 으로 제목이 잘못 적혀 있다.


1948년 런던 올림픽 8강(8위) 이후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8강 진출(6위) 성과를 이뤄냈다. 당시 홈팀 그리스[24]와 멕시코, 말리와 한 조가 되었는데 당시 그리스전에서 김치곤이 퇴장당했음에도 불구하고 2:0 리드[25]까지 만들어냈으나 뒷심부족과 불운으로 2:2로 경기를 종료한다. 그러나 다음 경기에서 김정우의 중거리슛 한 방으로 멕시코를 1:0으로 잡아서 반전을 만들어냈다. 남은 경기는 그 유명한 말리와의 경기다. 겉보기에는 최약체일것 같지만 멕시코와 0:0으로 비기고 우리를 고전시켰던 홈팀 그리스를 2:0으로 잡아 같은 1승 1무를 거뒀음에도 골득실이 1점 앞서있었다. 그리고 말리는 은디아예의 해트트릭[26]으로 대한민국을 신나게 털며 3:0까지 만들어놓았다. 그러나 당시 16강 조별리그 1차전과 2차전에서 득점을 올리지 못해 극대노해있던 조재진이 각성하여 1분 간격으로 방아찧기 헤딩슛을 두 번 연속 성공시켰다.[27] 순식간에 2:3으로 따라붙고, 3분 뒤 최성국이 왼발로 크로스한 공을 아다마 탐부라가 그대로 자기 편 골대에 헤딩 자책골로 스코어는 동점이 되었다.[28] 그렇게 경기는 종료되어 한국은 16강 조별리그 1승 2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한다. 비록 8강전에서 파라과이에게 2:3으로 패해 탈락(6등)했지만[29] 그리스전을 수적 열세의 상태에서 리드하고, 멕시코전은 아예 이겼으며, 말리전은 3점 차이를 따라붙는 등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로 강해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력을 여실히 보여준 대회였다. 심지어는 대한민국을 이겼던 남미 파라과이도 16강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를 꺾고 올라왔고 대한민국을 꺾은 후 결승까지 올라간 강팀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파라과이전도 꽤나 선전한 경기였다고 볼 수 있다. 성적과 재미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대회다.


그 후 2012 런던 올림픽에서는 기어이 동메달을 따냈다. 동메달이지만 유럽 팀중에 유일하게 8강에 올라온 개최국 영국[30][31]을 꺾고 4강에 진출하였다. 이 올림픽은 유럽 팀이 아무도 4강에 올라가지 못한 몇 안되는 대회였으며, 동메달 결정전이 한일전이었을 정도로 스페인을 격파한 일본의 선전 또한 만만치 않았던 대회였다.[32] 결국 그 일본을 2:0으로 완파하고 동메달을 따서 선수들은 병역 혜택까지 받는 해피엔딩으로 마친 대회였다.

2016년 1월 27일 카타르와의 AFC U-23 챔피언십 4강전에서 승리함으로써[33] 2016 리우 올림픽 진출이 확정됐다. 이로써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대표팀은 1988 서울 올림픽부터 올림픽 축구 본선에 8회 연속으로 진출한 세계 최초의 팀이라는 대기록을 작성하게 되었다.

2016 리우 올림픽 본선에서는 16강 조별리그 1차전부터 약체 피지를 상대로 8:0의 대승을 거두며[34] 올림픽 대표팀 역사상 최다점수차 본선무대 승리 기록을 갱신했고[35] 2차전 경기인 독일전서는 3:3 무승부 승점 1점을 일궈내며[36] 선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점자판기 피지의 존재 때문에 마지막 멕시코전서 패배하면 8강에 진출하지 못할 위기였으나[37] 다행스럽게 권창훈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기며 2승 1무 조 1위라는 역대 최고의 16강 조별리그 성적으로 8강 진출에 성공한다.[38] 비록 8강 온두라스전에서 호르헤 루이스 핀투[39] 감독의 전략에 말려들어 0:1로 패했지만[40] 신태용호의 색깔은 이 대회에서도 빛을 발했다.[41]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16강 B조 톱시드에 배치되었는데, 역대급 꿀조를 받았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도 꿀조라 평가받았지만 실상은 다들 한 수 위였던 것에 비해 이 B조의 면면은 뉴질랜드,루마니아, 온두라스였다. 그러나 역시 설레발은 필패라고 1차전에서 뉴질랜드에게 1:0으로 패배하였다. 한 번에 3명을 교체한 게 악수가 되었던 것이다. 그래도 이 경기를 반면교사로 남았고 루마니아 전에서 상대 자책골을 포함하여 4:0 대승을 거두고 뉴질랜드가 온두라스에 패하며 4팀 모두 승점 동률이 되자 골득실에서 조 꼴찌에서 단번에 조 1위로 뛰어올랐다. 이후 온두라스전에서 6:0으로 압살해버리며 2승 1패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 일본이 멕시코에게 이기며 대한민국의 8강 상대는 멕시코가 되었다. 2012년 16강 조별리그, 2016년 16강 조별리그에 이어 또다시 만난 멕시코를 상대로 대한민국은 부족한 수비를 공격력으로 메꾸려고 했고 이는 엄청난 패착이 되었다. U-23 팀 간 경기에서 한국은 멕시코에게 한번도 패하지 않았지만 이 경기에서 한국은 무려 6골을 얻어맞고 3:6으로 패배하였다.[42] 올림픽 경기에서 6골을 실점한 것은 57년 만이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은 본선 진출이 물거품이 되면서 세계 최초 10회 연속 올림픽 진출 기록 갱신도 물거품이 되었다.

3.2. 아시안 게임[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대한민국 부산 2002동메달3위6510172
카타르 도하 20064위4위640292
중국 광저우 2010동메달3위7502185
대한민국 인천 2014금메달1위7700130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팔렘방 2018금메달1위7601197
중국 항저우 2022금메달1위7700273
일본 아이치/나고야 2026미정
카타르 도하 2030미정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34미정
합계본선진출 6회 / 금메달 3회40341510319


특히 이 때는 월드컵이 끝난 지 2달 정도 지난 뒤에 있던 대회였고, 심지어 대한민국에서 열린 경기였기에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았던 경기였다. 박지성이 J리그 경기가 겹쳐 대회 도중에 합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4강 이란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이영표의 결정적인 실축으로 결승 진출에는 실패한다. 이 여파로 이동국은 상무에 입대하게 되며 기껏 월드컵 4강 진출로 달아올랐던 축구 열기 자체가 언제 그랬냐는 듯 확 꺼져버렸다.

이후 대회에서는 2006년 도하에서 4위, 2010년 광저우에서는 4강 UAE전 연장 후반에 통한의 실점으로 또 다시 결승행에 실패하며 3위 동메달에 그쳤다. 그나마 광저우 대회의 축구 동메달 결정전 후반전에서 나온 지동원의 원맨쇼가 백미였다.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이후 28년 만에 얻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이었다. 심지어 1986년 당시에는 A대표팀이었으므로, 현재의 U-23 대표팀으로서는 최초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인 셈. 대회 전경기 무실점 전승 우승을 달성했고, 결승 북한전에서 부상 중인 김신욱까지 끌고 나와 임창우의 연장 후반 결승골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8년에는 아시아 최고의 축구선수로 불리는 손흥민이 병역 특례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대회였기에 전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였던 경기였는데, 2연속 금메달을 이룩했을 뿐만 아니라[43] 이 때 또 다른 와일드카드 공격수 황의조가 새롭게 발굴되면서 그야말로 전설이 된 대회가 되었다. 이 대회의 금메달은 2018년 러시아 월드컵 19위(1승 2패) 독일전 승리 후 상승세를 탄 축구 대표팀의 인기가 2002년 이후 16년 만에 급상승하는 데 공헌하였다. 자카르타 대회 금메달로 국가대표팀의 중흥기를 만든 황인범과 나상호 등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16강에도 기여했다.

2022년에는 국가대표 붙박이인 이강인, 정우영, 홍현석, 설영우를 비롯해 최소 한 번은 국가대표 경력이 있었던 백승호, 조영욱, 송민규, 엄원상, 이재익, 박규현, 연령별 대표로 꾸준하게 활약해 왔던 이광연, 최준, 이한범, K리그에서 손꼽히는 유망주 정호연, 고영준, 황재원이 모두 승선했고, 2018년보다 밸런스가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회 직전까지도 황선홍 감독에 대한 전술적인 불안함이 꾸준히 제기되는 등 위기도 있었지만, 결과는 역대 가장 압도적인 공격력과 아시안 게임 3연패였다.


3.3. AFC U-23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2014년[44]4위[45]11632183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년준우승2위136411146
파일:중국 국기.svg 2018년4위[46]10631289
파일:태국 국기.svg 2020년우승1위186600103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년8강5위7421165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년8강5위10431062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년?????????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본선진출 6회 / 우승 1회693221655228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에서는 대한민국이 전승으로 이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최초 9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이라는 기록과 함께 달성한 쾌거다. 하지만, 4년 뒤에는 인도네시아에게 덜미를 잡혀 세계 최초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 기록은 물거품이 되었고 되려, 일본이 8회 연속 진출에 성공하면서 한국이 이룬 세계 최초 9회 연속 진출을 넘은 10회 연속 진출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이 거의 확실시되고 말았다.

3.4. WAFF U-23 챔피언십[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4년[47]우승1위321042
합계본선진출 1회 / 우승 1회321042
2024 WAFF U-23 챔피언십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초청국으로 본선 진출했는데 8강에서 태국을 1:0으로 꺾고, 4강에서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를 1:0으로 꺾고, 결승에서는 호주를 만나 2:2가 되면서 승부차기 끝에 4:3으로 승리하며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

4. 개인 기록[편집]



4.1. 최다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활동기간경기수득점
1이동국1999-20022920
2황의조2012-20212818
3조영욱2017-20233314
3최태욱2000-20043914
5박주영2006-20123012
5서정원1991-19922312
5최용수1994-19962312
8이우영1994-19963011
8조재진2003-20042811
8이천수1999-20062711
※ 와일드카드 선수 기록 포함출처


4.2. 최다 출전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순위이름활동기간경기수득점
1김동진2002-2008436
1김두현2002-2006433
3김정우2003-2010403
3최성국2001-2006403
5이기형1993-1996397
5최태욱2000-20043914
7최성용1994-1996370
8박동혁1999-2002325
9서동명1994-1996310
10박주영2006-20123012
10이우영1994-19963011
※ 와일드카드 선수 기록 포함출처


4.3. 올림픽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최성곤
13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배종호
30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국진
63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국진
66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정남식
87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16강전
6호7호8호9호10호

이이우
59분
파일:체코 국기.svg
C조 1차전

노수진
14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C조 3차전

정재권
73분
파일:모로코 국기.svg
C조 1차전

서정원
28분
파일:스웨덴 국기.svg
C조 3차전

윤정환
41분
파일:가나 국기.svg
C조 1차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이기형
62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C조 3차전

이천수
53분
파일:모로코 국기.svg
B조 2차전

이동국
28분
파일:칠레 국기.svg
B조 3차전

김동진
43분
파일:그리스 국기.svg
A조 1차전

루카스 빈트라(OG)
64분
파일:그리스 국기.svg
A조 1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김정우
16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조재진
57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조재진
59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아다마 탐부라(OG)
64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3차전

이천수
74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8강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이천수
79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8강전

박주영
68분
파일:카메룬 국기.svg
D조 1차전

김동진
23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D조 3차전

박주영
57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B조 2차전

김보경
64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B조 2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지동원
28분
파일:영국 국기.svg
8강전

박주영
37분
파일:일본 국기.svg
3·4위전

구자철
56분
파일:일본 국기.svg
3·4위전

류승우
3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권창훈
6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권창훈
6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류승우
6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손흥민
72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석현준
77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석현준
90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36호37호38호39호40호

류승우
90+3분
파일:피지 국기.svg
C조 1차전

황희찬
25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손흥민
57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석현준
87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77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C조 3차전
41호42호43호44호45호

마리우스 마린(OG)
26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엄원상
59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이강인
85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이강인
89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B조 2차전

황의조
1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원두재
1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황의조
4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황의조
5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김진야
63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이강인
81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B조 3차전
51호52호53호54호55호

이동경
20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이동경
51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황의조
90+1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8강전
--
* 만 23세 이하 선수로 연령 제한이 생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이전의 득점 기록도 포함.





4.4.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임창우
4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A조 1차전

백성동
32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윤일록
61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문창진
78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김경중
62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6호7호8호9호10호

윤일록
80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백성동
3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황의조
11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문창진
20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문창진
4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권창훈
14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3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4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류승우
72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김승준
76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김현
22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C조 3차전

문창진
2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류승우
48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권창훈
89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문창진
90+5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권창훈
20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진성욱
47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조영욱
29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73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18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한승규
44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이근호
65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조재완
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한승규
85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황현수
5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4강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이동준
90+3분
파일:중국 국기.svg
C조 1차전

이동준
23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조규성
34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오세훈
5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오세훈
71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36호 37호38호39호40호

조규성
16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이동경
90+4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김대원
5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이동경
7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정태욱
113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결승전
41호 42호43호44호45호

이상민
3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김태환
48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89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90+2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64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C조 2차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고재현
35분
파일:태국 국기.svg
C조 3차전

이영준
90+4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B조 1차전

이영준
34분
파일:중국 국기.svg
B조 2차전

이영준
69분
파일:중국 국기.svg
B조 2차전

김민우
75분
파일:일본 국기.svg
B조 3차전
51호52호53호54호55호

코망 테구(OG)
45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8강전

정상빈
8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8강전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5. 국가별 전적[편집]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중국181332289+19
일본188462021-1
호주1511222710+17
우즈벡1511223017+13
말레이시아11812237+16
UAE10712166+10
이란9612148+6
카타르915357-2
사우디8530103+7
베트남7520124+8
요르단7430124+8
이라크732287+1
인도네시아7710265+21
오만6600183+15
태국6600141+13
홍콩5500180+18
시리아532062+4
필리핀4400300+30
북한421141+3
대만3300231+22
키르키즈스탄330071+6
쿠웨이트3210121+11
동티모르321090+9
예멘320161+5
미얀마321060+6
마카오1100100+10
브루나이110050+5
스리랑카110050+5
싱가폴110040+4
바레인110030+3
팔레스타인110030+3
라오스110020+2
카자흐스탄110021+1
러시아421163+3
프랑스411253+2
덴마크402236-3
스위스330062+4
스웨덴311146-2
잉글랜드2020220
스페인200226-4
이탈리아200215-4
에스토니아110051+4
루마니아110040+4
체코110041+3
오스트리아110031+2
네덜란드110010+1
독일1010330
그리스1010220
노르웨이1010000
스코틀랜드100101-1
멕시코9342910-1
온두라스5311113+8
캐나다422084+4
콜롬비아4121550
브라질4004111-10
미국311134-1
트리니바드토바고211020+2
파라과이201123-1
코스타리카110041+3
칠레110010+1
과테말라110021+1
아르헨티나1010220
모로코612327-5
가나541092+7
나이지리아4400142+12
튀니지220071+6
알제리220050+5
이집트211020+2
세네갈110030+3
나미비아110020+2
레소토110020+2
코트디부아르110021+1
말리1010330
카메룬1010110
가봉1010000
남아공100112-1
뉴질랜드430194+5
피지110080+8
합계 (78)3021856651589229+36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20 00:59:34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FC 아시안컵이 공식적으로는 유로컵과 동급의 대회이지만 한국에서는 위상이 낮다고 설명하는 글들이 많은데 전혀 그렇지 않다. 실업팀으로 구성해서 진출한 적이 한 번 있으나, 그 외에는 최대한 베스트멤버로 꾸려서 아시안컵에 진출하는 등 전혀 위상이 낮은 모습은 아니다.[2] 특히 U-23 대표팀의 주요 선수들은 연령대에서 최고 선수들이므로 향후 국가대표팀에도 자주 선발되고, 올림픽(금메달~동메달)이나 아시안 게임(금메달)을 통해 병역혜택을 받게 되면 축구 수준이 높은 유럽 주요 리그 진출 및 유럽에서의 활동이 한결 용이해지므로 결국 U-23 대표팀의 올림픽, 아시안 게임 성적은 국가대표팀의 경쟁력과도 직결된 문제여서 중요하게 여길 수밖에 없다.[3] 과거에는 A대표팀의 에이스나 취약 포지션을 보강하기 위한 선수를 뽑았었다면, 요즘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병역 미필 선수가 뽑히는 추세이다. 즉, 월드컵으로 병역 혜택이 주어졌던 2002년 이후부터 아시안 게임에 와일드카드로 뽑히는 선수들은 직전 월드컵에서 주전으로 활약한 선수 중에서 병역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선수를 뽑고 있다.[4] 야구의 경우도 U-23 대표팀이 있는데 U-23대표팀이 중요 대회에 출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축구의 U-23 대표팀만큼 위상이 높지는 않다. 다른 나라 축구 대표팀들의 경우에도 대한민국만큼 U-23대표팀과 A대표팀의 간극이 적은 나라는 거의 없다.[5] 대표적인 사례로 2014년 자국 월드컵에서 망신을 당하고, 실추된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 2년 뒤 자국 올림픽 남자 축구에서 네이마르 주니오르를 와일드카드로 차출한 브라질이 있다.[6] 사상 첫 원정 16강 진출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16강 진출은 16개팀이 진출한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본선 진출로 이미 한 번 달성한 바 있으므로 엄밀히 말하면 틀린 표현이다.[7] 아시안컵도 우승을 하기만 하면 달아오를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8] 축구뿐만 아니라 다른 종목 역시 일괄 적용이다.[9] 실제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 경기를 다시 보면 대한민국 대표팀의 유니폼에 부착된 축구협회 엠블럼을 가리고 출전했다. 이전에는 IOC에서 축구 유니폼의 엠블럼 노출에 강한 제재를 가하지 않았지만, 베이징 올림픽부터는 엄격하게 관리했다. 이에 IOC에서도 미리 경고를 주고 대한체육회에서도 IOC 지침을 따르라고 지시했지만 대한축구협회에서 무시하고 갔다가 1차전 치르고 파란색 싸인펜을 부랴부랴 구해서 엠블럼에 칠하는 촌극을 벌여야 했다. 관련 기사[10] 예를 들면 아디다스의 경우 상징인 삼선이 올림픽 유니폼에는 들어가지 않는다.[11] 16강 조별리그 11위[12] 1991년 1월부터 1992년 2월까지 데트마어 크라머 총감독직 (기술고문)을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후 올림픽 본선까지는 김삼락이 감독 단독으로 지휘하였다.[13] 16강 조별리그 9위[겸임] A B C D 국가대표팀 감독과 겸임.[14] 16강 조별리그 9위[15] 16강 조별리그 10위[16] 이광종 전 감독이 급성 백혈병으로 인해 감독직 수행이 어려워지자 감독대행을 맡았다.[17] 이광종 전 감독의 후임으로, 국가대표팀 코치 겸 올림픽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18] 2018 AFC U-23 챔피언십에서의 성적 부진으로 인해 경질되었다.[19] 올림픽 축구 종목은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올림픽에 들어 갈 수 있는 자리가 단 16자리로 16개국 본선 진출 체제이다.(16강 조별리그)[20] 올림픽 축구 예선을 겸하는 2024 AFC U-23 아시안컵 8강 인도네시아전에서 승부차기 12연차 끝에 패배하면서 40년만에 올림픽 축구 본선(16개국) 진출에 실패했다. U-23 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본선 진출 실패이자 대한민국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최초로 올림픽 본선진출 무산이다. 본선진출 참가했더라면 세계 최초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진출 기록이었지만 모든 게 물거품이 되었다.[21] 이때 선발 베스트 일레븐에는 알레산드로 네스타, 파비오 칸나바로, 다미아노 토마시가 있었다. 이들은 6년 뒤 월드컵에 출전하였고, 대한민국과 월드컵 16강전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그러나 네스타는 부상으로, 칸나바로는 경고 누적으로 월드컵 16강전에 나서진 못했고 토마시만 출전하였다. 경기 결과는 대한민국이 역전승을 거뒀다.[22] 가나 득점 4 실점 4, 대한민국 득점 2 실점 2.[23] 조별예선은 지역예선 조별리그로 올림픽 조별리그부터 조별본선으로 우리나라 올림픽 9회 연속 본선(조별리그) 진출 이라고 하는 이유이다.[24] 무려 두 달 전에 유로 2004에서 우승한 국가였다.[25] 전반 막판 김동진이 선취점을 넣어 리드를 잡은 뒤 후반전에 그리스의 빈트라가 공을 걷어낸다는 것이 자기 골대로 걷어내버려 자책골까지 헌납했다.[26] 선제골은 오프사이드+핸드볼 반칙의 골이었지만 두 번째 골은 골대맞고 나온 프리킥을 문전에서 받아내 침착하게 넣은 골 이었으며 세 번째 골은 대한민국 수비진이 잘못 걷어낸 공을 그대로 낚아채 넣은 골이었다.[27] 김동진의 왼발 크로스 후 조재진이 헤딩골을 꽂았는데 두 번 다 선수들의 위치나 공의 궤적이 너무도 똑같아서 일부 해설진은 두 번째 골을 첫 번째 골 리플레이로 잘못 알고 중계를 했을 정도였다.[28] 이 선수는 1985년생으로 당시 말리에서도 꽤나 신예 선수였다. 같은 시간대에 멕시코가 그리스를 1점 차로 리드하고있어서 만일 대한민국이 말리에게 졌다면 멕시코가 같은 승점과 같은 골득실 하에 다득점에서 대한민국을 누르고 8강에 진출해버리는 절체절명의 상황이 올 수도 있었다. 그런데 이 자책골로 멕시코전과 그리스전을 생각할 필요도 없이 8강에 진출할 길이 열렸으니 그야말로 국내 축구팬들은 난리가 났다. 탐부라 선수의 국내 주민등록증 짤탐부라가 참여하는 X맨, 그리고 탐부라 : 후반전 시작되고 골대 바뀐 줄 몰랐다는 식의 온갖 패러디와 드립이 쏟아져 나왔다. 한편 경기 이후 탐부라 본인은 자국 팬들로부터 욕을 먹고 심지어는 가족들한테마저 의절을 당할 뻔했다고 한다.[29] 역시 세 골을 먼저 내주고 따라가는 경기였다. 말리전에서 조재진이 캐리했다면 파라과이전에는 이천수가 있었다. 중거리슛으로 만회골을 넣은 다음 페널티킥까지 연달아 성공시키며 한 점 차이로 파라과이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30] 1960년까지 올림픽 축구에 진출하였으나, 축구협회간의 불화로 인해 1964년 대회부터는 불참하게 된다. 그러나 2012년 런던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영국 단일팀으로 52년 만에 출전하게 되었다.[31] 당초 영연방 4개국 모두 출전하려고 했으나 선수 선발 과정에서 갈등을 빚어 결국 잉글랜드와 웨일스로만 구성되었다.[32] 일본은 16강 조별리그에서 스페인을 이겨 스페인을 무득점 광탈(14등)의 나락으로 빠뜨렸으며, 8강전에서는 이집트를 3:0으로 이겨 4강 멕시코전 이전까지 단 한 개의 실점도 허용하지 않은 상태였다. 그래서 멕시코전 패배도 불운이며, 동메달 결정전에서 당연히 대한민국이 패할 거라고 예상하는 축구팬들도 많았다. 그러나 정작 멕시코는 단순히 운으로 일본을 이긴 것이 아님을 증명하며 네이마르의 브라질을 꺾고 금메달을 땄다. 참고로 대한민국과 멕시코는 16강 조별리그에서 대한민국의 다소 일방적인 우세 속에 0:0으로 비겼다. 축구라는 종목이 이렇게 예측하기 힘들다.[33] 비록 결승전에서 일본에게 도하 참사를 당하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태용호의 공격적인 색깔이 유감없이 드러났던 대회로 평가받는다.[34] 전반에는 겨우 선제골을 넣어 1:0으로 앞서는데 그쳤지만, 후반 17분부터 약 40초 간격으로 세 골을 몰아넣으며 공격의 물꼬를 텄다. 그 후 네 골을 더 넣으며 8:0 대승을 완성했다.[35] 종전의 기록은 2012년 한일전의 2점차 기록이다.[36] 황희찬이 선제골을 넣고 세르주 그나브리가 동점골을 넣는 등 난타전을 벌였으며 나브리가 후반 추가시간에 프리킥 동점골을 넣기 전까지 대한민국 측에서 3:2로 앞서고 있었다![37] 2012년 당시 금메달을 땄던 팀이 멕시코 팀이었다. 참고로 멕시코팀은 첫 경기를 대한민국과 했는데, 0:0으로 비겼다.[38] 멕시코 올림픽 축구대표팀은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대표팀에 이 경기까지 역대 전적 5전 2무 3패로 절대적으로 열세이며, 3골을 득점하는 동안 무려 7골을 내주었다. 그 3골 마저도 대한민국이 첫 올림픽에 참가했을 당시에 세계 최약체로 분류될 시기에 넣은 것이다. 멕시코는 1948년 이후로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있다. 즉, 올림픽 한정으로 멕시코는 공한증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39] 2년 전의 월드컵에서 코스타리카 대표팀을 8강에 올려놓은 감독이었다. 같이 죽음의 조에 속해있던 우루과이, 이탈리아를 연속으로 이기고 잉글랜드까지 탈락(26등)시킨 것은 덤이다.[40] 8강 5위.[41] 온두라스를 이겼다면 2회 연속 메달이 유력했었다.[42] 8강 5위.[43] 아시안 게임은 금메달을 획득해야만 병역 특례가 주어진다.[44] 당시 U-22 대회. 영문 위키백과에는 2013년으로 나와있다.[45]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46]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47] 초청국으로 본선 진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