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원

덤프버전 :






1. 개요
2. 제일은행권과 구 한국은행권
3. 유통과정
4. 여담


1. 개요[편집]


파일:구한국은행권.jpg

대한제국 원은 대한제국에서 유통되던 통화이다. 기존 화폐는 조선 냥(兩)이다. 한 냥, 두 냥 할 때 그 냥이다. 1901년 용산전환국에서 독수리가 새겨진 반원 은화, 5전 백동화, 1전 동화 3종이 발행되었다. 1904년 제1차 한일협약으로 대한제국의 화폐발행권이 박탈당한 뒤에는 1905년 부터 일본제일은행의 주도로 일본의 오사카 조폐국에서 제조되었다. 20원과 10원과 5원 금화, 반원과 20전과 10전 은화, 5전 백동화, 1전과 반전 동화의 9종으로 구성되었다. 금화의 경우 1906년에 20원과 10원 금화가, 1908년에 5원 금화가 발행되었는데 일제가 거의 다 회수하여 별로 남아있지 않다.
파일:대한제국 20원.png
한자로는 圜이라고 썼다. 그런데 40여 년 뒤에 발행된 대한민국 환도 圜이라는 한자를 붙여썼다. 그 이유는 圜이 '둥글 원', '돌 환'이라는 두 가지 훈음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폐로 쓰일 때는 그 시절에도 원이라고 쓰고 환이라고 읽어서, 원이라는 독음은 잊혔다.

파일:1000222412.jpg
동전의 도안 중에 대한제국의 국가수리를 도입한 도안도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근데 러시아는 쌍두독수리를 사용하지 않나?

2. 제일은행권과 구 한국은행권[편집]


고종 13년 (1876년), 일본과의 병자수호조약에 따라 인천, 부산, 원산항 개항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해관 업무를 취급해오던 일본 제일은행은 1901년 해관세를 저당하는 댓가로 은행권 발행권을 획득하고자 하였으나, 대한제국 정부의 반대로 획득이 무산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무역 촉진과 해관세 출납을 원활히 하는데 필요하다는 이유로 일본 대장성에 발행 허가를 신청하였고, 이에 일본 정부는 제일은행에 은행권 발행을 허가한다. 1902년 5월 20일 일본제일은행에서 1원권 부터 발행하였고, 우리나라에서 일본의 제일은행권이 유통되기 시작한다. 이에 대한제국 정부 요인이나 재야 지식인들은 일본인들이 자국 화폐를 유통시킴으로써 경제 침탈과 침략을 꾀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제일은행권 유통 배척 운동을 전개하였다.

도안에 들어있는 남자는 당시 일본제일은행의 소유주였던 시부사와 에이이치다.[1]

파일:제일은행권.gif
일본이 발행한 제일은행권

1902년 일본 제일은행은 새로운 도안이 담긴 제일은행권을 발행했는데, 일원권은 화홍문, 오원권은 광화문, 십원권은 창덕궁 주합루를 도안으로 삼았다. 이후 1909년 대한제국과 일본 정부 간에 제일은행권의 권리 의무 계승에 관한 각서가 교환되고, 우리나라 최초의 중앙은행인 (구)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다. 이후 (구) 한국은행에서는 기존의 제일은행권에서 명칭, 행장, 지급 근거 문구를 변경한 (구) 한국은행권을 발행하여 유통시켰다.


앞면
뒷면
파일:구 한국은행 일원.jpg
일원
(1910.12.21)
화홍문
채문
파일:구 한국은행 오원.jpg
오원
(1911.08.01)
광화문
파일:구 한국은행 십원.jpg
십원
(1911.08.01)
창덕궁 주합루

이 구 한국은행권은 대한제국경술국치로 합병된 이후에도 발행되다가, 조선은행이 설립됨에 따라 유통 정지되고, 조선 엔으로 넘어간다.

3. 유통과정[편집]


대한제국 원이라지만 대한제국의 화폐발행권은 1904년 한일협정서에 의하여 박탈당했고, 한일협정서로 대한제국의 재정고문이 된 메가타 다네타로에 의해 1904년 11월 28일 전환국을 폐지하고 대한제국의 각종 화폐를 오사카 조폐국에서 생산케 하여 대한제국의 주조권 또한 박탈당했다.


3.1. 화폐정리사업[편집]


일본제국은 대한제국을 재정적으로 동화하고 완전히 귀속시키기 위해 당시 대한제국 내에 있던 백동화와 엽전 등의 화폐를 회수하고 일본 화폐를 유통하여 일본제국 엔의 한반도 내 입지를 확장하려 했다.[2]

화폐 제도 정리 작업이 준비가 끝나자 메가타는 고종의 재가를 얻어 조선 엔을 법화로 지정하게 했다. 그리고 화폐개혁의 실무를 일본 제일은행에 맡기게 했고 1905년 1월 31일 탁지부 사무국장 이중석, 메가다와 제일은행 서울지점 지배인인 시미즈 다이키치와 다음과 같은 계약을 맺었다.

첫째, 대한제국의 화폐 개혁에 관한 사무는 일본 제일은행이 담당한다.

둘째, 대한제국 정부가 관세를 담보로 하여 10년 분할 상환, 연율 6%로 화폐 정리 비용 3백만 엔을 일본 제일은행으로부터 차입하여 동행에 교부토록 한다.

셋째, 일본 제일은행이 공·사 거래에 무제한 통용토록 한다.

그리하여 제일은행은 일본 조폐국과 화폐제조계약을 맺었고 그리하여 대한제국의 재정권은 완전히 일본제국에 귀속되었다.
제일은행 조선지점이 대한제국의 사실상 중앙은행이 된 것이었다.

그 이후 1905년부터 병합 때까지 모든 백동화와 엽전은 회수됐고 현행 대한제국 화폐의 생산량 또한 급격히 감소했다.


3.2. 최후[편집]


1910년 대한제국이 한일병합조약에 따라 일본제국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화폐로에 법적인 지위 또한 사라졌으며 일제강점기 대한제국 원은 회수되어 현대에도 흔치 않게 되는 큰 이유가 됐다.[3]


4. 여담[편집]


  • 20원 액면가의 금화가 화폐 경매에 나왔는데, 평가액이 1억 5000만원에 달한다. 기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8:41:04에 나무위키 대한제국 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2024년에 새로 바뀌는 일본 엔 1만엔권 화폐 도안에 시부사와가 들어가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한국 돈에 얼굴이 들어간 사람이 120여년이 지나 일본 돈에 다시 들어가는 셈이다.[2] 다만 엄연히 백동화와 엽전 등 당시 법적 지위를 상실한 구화폐를 처리한 것이지 당시 현행 화폐를 처리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백동화와 엽전은 실질적으로 유통됐기 때문에 구 화폐를 정리한다는 명분으로 일본제국 엔을 백동화와 엽전에 빈자리에 넣으려한 것이었다.[3] 여담으로 대한제국이 패망하고 백동화의 가치가 사라지게되자 동전들을 녹여 그릇, 쟁반, 대야로 만들어지는 비극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