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훈장

덤프버전 :

파일:훈장 아이콘.svg 각국의 훈장

[ 펼치기 · 접기 ]
현존하는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해체된 국가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개별 문서로 분리된 '국가별 훈장' 이외 국가의 훈장은 훈장(상훈) 문서를 참조.






1. 개요
2. 제식 및 규격
3. 훈장
3.1. 대훈위 금척대수장
3.2. 대훈위 서성대수장
3.3. 대훈위 이화대수장
3.4. 태극장
3.5. 팔괘장
3.6. 자응장
3.7. 서봉장
4. 기념장
4.1. 고종 성수 50주년 기념장
4.2. 고종 망육순 · 등극 40주년 기념장
4.3. 황태자 가례 기념장
4.4. 순종 즉위 기념장
4.5. 순종 남서순행 기념장
4.6. 상패




1. 개요[편집]


대한제국 정부에서 수여한 훈장.

한국 역사상 최초의 훈장. 조선대한제국이 된 후, 국가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새롭게 근대적으로 포상을 할 제도의 필요성이 생겼다. 이에 고종이 1900년(광무 4년) 4월 17일에 대한제국 칙령 제13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반포하면서 제정되었다.

훈장의 종류는 총 7가지이며 〈훈장 조례〉 반포 당시 4가지였다가 1901년(광무 5년)과 1902년(광무 6년), 그리고 1907년(광무 11년)에 각각 1가지 씩 추가되었다.

훈위(勳位)와 훈등(勳等)을 제정하고 그 계급에 따라 공로를 매겨 훈장을 수여하였다. 훈위는 말 그대로 공훈의 순위이며 훈등은 공훈의 등급이다. 훈등은 3가지가 있는데 제일 높은 훈등이 대훈위(大勳位)고 그 아래로 훈(勳), 공(功) 순으로 구분되었으며, 훈과 공은 각각 1등에서 8등까지로 나누어졌다.

대한제국의 국화이자 황실 문양이 오얏꽃이라 제일 급이 높은 대훈위 훈장 3개에서 오얏꽃을 확인할 수 있다.

담당 기관은 '표훈원(表勳院)'으로 원래 의정부에 예속되어 있던 충정부(또는 기공국)를 1899년(광무 3년) 7월 4일 독립시켜 구 충훈부 자리에 새로 설치하고 포장 · 외국훈장의 수령, 패용에 관한 업무를 추가시켰다. 표훈원의 산하 기구로는 실무를 담당하는 표훈국(表勳局)과 훈장을 제조하는 제장국(制章局)을 두었다. 현재 주소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62 (관훈동)[1], 안국역에서 인사동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었다.

1910년(융희 4년) 8월 29일, 경술국치로 대한제국이 멸망하는 그 날까지 수훈되었고 이후로는 당연히 중단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제식 및 규격[편집]


훈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그리고 약수(略綬)으로 구성된다. 정장의 종류는 수(綬)에 연결되어 어깨를 두르는 대수(大綬)와 목에거는 중수(中綬) 왼쪽 가슴에 패용하는 소수(小綬)로 나뉜다. 부장(副章)은 왼쪽 가슴에 다는 뱃지이고,약수(略綬)는 왼쪽 옷깃에 다는 뱃지의 일종이다.

패용할 때는, 대수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 부위에서 교차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정장을 달았으며,중수는 목에 걸고 소수,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약수의 모양은 원형으로 통상 예복 착용시에 왼쪽 옷깃 단추 구멍에 걸어서 패용한다.

대훈위 훈장의 경우 정장의 지름은 2치(寸) 5푼(分)이며[2] 정장의 꼭지와 고리의 재질은 금이다. 대수와 정장이 연결되는 부분인 잎사귀에는 각 훈장에 맞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부장의 문채의 모양과 재질은 정장과 같지만 지름이 3치[3]이며, 뒷면에 은제 패침이 있고 역시 각 훈장마다 다른 문구가 음각되어 있다.

훈장 종류


3. 훈장[편집]



3.1. 대훈위 금척대수장[편집]


파일:대훈위금척대수장.jpg
파일:대훈위금척대수장 부장.jpg
大勳位金尺大綬章

대한제국의 최고 훈장. 1900년 4월 17일에 제정되었다. 훈등은 대훈위(大勳位)이고 등급은 없다. 이름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꿈에서 얻은 금척(金尺)[4]에서 유래한 것으로 천하를 다스린다는 뜻을 취하였다. 원칙적으로 황실 직계만 패용할 수 있었으나, 황족과 문무관 중에서 아래 언급할 대훈위서성대수장을 받은 사람들 중 특별한 훈공이 있을 때는 황제의 권한으로 수여가 가능했다. 수훈자에게는 600원에서 1천 원[5]정도의 연금이나 2000원[6] 이내로 일시 하사금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구성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되어있는데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금(金)이고, 정장의 꼭지와 고리의 재질은 금이다. 금색 선을 두른 태극 문양을 중심으로 십자형의 금척과 흰색 광선이 금척을 축으로 하여 그 사이에서 뻗어 나오는 형상이고 광선 사이마다 흰색 오얏꽃을 세 송이씩 배열하였으며 이 꽃들을 녹색 잎 다섯 장이 받친 모습이다. 잎사귀 뒷면에는 전서체로 '금척대훈(金尺大勳)'이라고 가로쓰기로 새겨졌고, 부장의 뒷면에도 역시 전서체로 '금척대훈'이라고 음각되었다. 대수(大綬)의 바탕색은 금색이고 가는 선 부분은 붉은 색이다. 약수는 대수와 재질이 같고 그 모양은 원형으로 중앙에는 활짝 핀 붉은 색의 오얏꽃과 그 위에 금색의 금척과 외변선을 둘렀다.

1904년 3월 20일 프로이센 왕국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왕자[7], 이토 히로부미를 시작으로 총 24명에게 수여되었으며[8] 1910년 8월 27일 황실 종친인 의양군 이재각영선군 이준용을 마지막으로 서훈이 중단되었다.

3.2. 대훈위 서성대수장[편집]


파일:대훈위서성대수장.jpg
파일:대훈위서성대수장 부장.jpg
大勳位瑞星大綬章

〈훈장 조례〉 반포 당시에는 없었고 1902년 8월 12일에 추가로 제정된 훈장이다. 대한제국에서 2번째로 훈격이 높은 훈장. 훈등은 대훈위(大勳位)이고 등급은 없으며 순위는 대훈위금척대수장 바로 아래이며 대훈위이화대수장보다 한 등급 높다. 훈장의 명칭은 국초(國初)의 옛 사실에서 취했다고 할 뿐, 정확한 고사의 유래는 밝혀진 것이 없다. 황족과 문무관 중에서 대훈위이화대수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훈공이 있을 때 황제의 권한으로 수여될 수 있다.

대훈위서성대수장은 정장(正章)과 부장(副章)으로 구성되며 정장의 장(章), 즉 문채의 재질은 은(銀)이다. 전체적으로 대훈위 금척대수장과 큰 차이는 없는데 색깔만 금색이 아닌 은백색일 뿐 광선을 십자형으로 배치한 것과 그 사이 마다마다 흰 색의 오얏꽃을 세 송이씩 배열한 것, 그리고 흰 색의 오얏꽃을 다섯 장의 녹색 잎이 받치고 있는 형상 등이 비슷하다. 물론 차이도 있는데 흰색 선을 두른 붉은색의 중앙 원에 은백색의 별이 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 원을 오얏나뭇잎이 원형으로 둘러싸고 있는 점이 다르다. 잎사귀 뒷 면과 부장의 뒷 편에는 전서체의 ‘서성대훈(瑞星大勳)’이 새겨져 있다.

대수는 보라색 바탕에 가느다란 노란 선 두개로 되어 있고, 약수는 대수와 재질이 같으며 그 모양은 원형으로 중앙에는 황색의 별 3개를 세 방향으로 배치하고 외변선을 둘렀다.

1907년 1월 21일 황실 종친 의양군 이재각을 시작으로 총 13명에게 수여되었으며 1910년 4월 2일 일본 궁내대신 이와쿠라 토모사다[9]를 마지막으로 서훈이 중단되었다.


3.3. 대훈위 이화대수장[편집]


파일:대훈위이화대수장.jpg
파일:대훈위이화대수장 부장.jpg
大勳位李花大綬章

대한제국 3번째 훈격의 훈장. 원래는 2번째였는데 대훈위 서성대수장이 제정되면서 순위가 밀렸다.(...) 1900년 4월 17일에 제정되었다. 훈등은 대훈위(大勳位)이고 등급은 없다. 이름은 대한제국의 국화 겸 황실의 문장인 오얏꽃, 이화(李花)에서 따왔다.

구성은 대훈위금척대수장과 흡사하다. 차이점은 백색 선을 두른 중앙에 있는 태극과 연결되어있는 광선의 바탕색이 금색이 아니라 붉은 색인 것과 잎사귀 뒷면과 부장 뒷면에 쓰여있는 글씨가 전서체의 ‘훈공정장(勳功旌章)' 인 것 정도 뿐이다. 대수의 바탕색은 붉은 색이고 가는 선 부분은 노란 색이다. 약수는 대수와 재질이 같고 그 모양은 원형으로 중앙에는 활짝 핀 노란 색의 오얏꽃과 그 주위에 외변선을 둘렀다.

1902년 3월 16일 영돈녕원사 심순택을 시작으로 총 62명에게 수여되어 대훈위 급 훈장 중 수훈자가 가장 많았으며 1910년 8월 27일 황실 종친 창산군 이해창청풍군 이해승을 끝으로 서훈이 중단되었다.


3.4. 태극장[편집]


파일:태극장.jpg
파일:태극장 2.jpg
파일:태극장 3.jpg
太極章

1900년 4월 17일에 제정되었다. 훈등은 '훈(勳)'에 해당하고 일등에서 팔등까지로 구분되어 문무관 중에서 공이 뛰어난 사람에게 훈등에 따라 수여하였다. 이름은 국기의 문양 태극에서 따왔다. 8등급으로 구분되는데 각 등급은 신분이나 직급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가장 높은 태극일등장은 태극이등장을 부장으로 받고 5년 이상 근무한 각 부의 대신들과 육·해·공군 장관에게 수여된다.

1900년 4월 22일 청안군 이재순, 민영환, 이하영, 권중현, 조병식, 박제순, 이윤용이 첫 수훈자였고 경술국치일인 1910년 8월 29일에 내각 서기관장 한창수를 마지막으로 서훈이 중단되었다.


3.5. 팔괘장[편집]


파일:팔괘장.jpg
파일:팔괘장 2.jpg
파일:팔괘장 3.jpg
八卦章

1901년 4월 16일에 대한제국 칙령 제10호로 〈훈장 조례〉를 개정하면서 제정되었다. 훈등은 '훈(勳)'에 해당하고 일등에서 팔등까지로 구분되어 문무관에게 훈등에 따라 수여하였다. 이름은 주역(周易)에 나오는 8가지의 기본도형이며 태극기 사괘의 원형인 팔괘에서 따왔다.

1등급은 건(☰), 2등급은 태(☱). 3등급은 리(☲), 4등급은 진(☳), 5등급은 손(☴), 6등급은 감(☵), 7등급은 간(☶), 8등급은 곤(☷)괘를 각각 새겼다.

1901년 8월 5일 흡곡 군수 서재순과 시위 제3대대 중대장 정위 이용구가 첫 수훈자였고, 경술국치일인 1910년 8월 29일에 장례원 악사장 백우용과 재무관 조재영을 마지막으로 서훈이 중단되었다.


3.6. 자응장[편집]


파일:자응장.jpg
파일:자응장 2.jpg
파일:자응장 3.jpg
紫鷹章

1900년 4월 17일에 제정되었다. 현재 개념으로는 무공훈장으로 볼 수 있다. 훈등은 '공(功)'에 해당하고 일등에서 팔등까지로 구분되어 무관 중에서 공이 뛰어난 사람에게 훈등에 따라 수여하였다. 이름의 '자응(紫鷹)'은 ''를 의미하며 태조의 무인 시절 무공에서 비롯된 고사에서 취한 것이다.


3.7. 서봉장[편집]


파일:서봉장.jpg
파일:서봉장 2.jpg
파일:서봉장 3.jpg
瑞鳳章

1904년 3월 30일에 궁 내의 여성에게 수여하는 훈장으로 만들어졌으며 1905년 9월 19일에는 내·외명부의 작위를 가진 여성에게도 수여할 수 있게 되었고 1907년 3월 30일에 대한제국 칙령 제20호로 〈훈장 조례〉(勳章條例)를 개정하면서 정식 제정되었다. 황제가 아닌 황후가 수여한다는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훈등은 일등에서 육등까지로 구분되어 내명부(內命婦), 외명부(外命婦) 가운데서 현숙한 덕행과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주었으며 서봉일등장의 경우 황실에서만 착용할 수 있었다. 훈장의 이름과 의미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궁중의 예장인 봉황관(鳳凰冠)에서 취한 것이다. 당연히 수여자들은 전원 여성이다.

1905년 10월 5일 순헌황귀비 엄씨의친왕비 김씨를 시작으로 총 22명이 수여받았으며 1910년 8월 21일 청안군 이재순, 완순군 이재완, 이완용, 민병석, 윤덕영의 각 부인 5명을 끝으로 수훈이 중단되었다.


4. 기념장[편집]


기념장은 특별한 날이나, 국가 행사 및 업적 등을 기념하기 위해 관계자나 참가자에게 수여한 휘장이며 소수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


4.1. 고종 성수 50주년 기념장[편집]


파일:고종 성수 50주년 기념장.png
1901년 9월 7일에 고종의 탄신 50주년을 맞아 제작된 기념장이다. 재질은 은으로 앞면에는 통천관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대한제국 대황제폐하 성수 오십년 칭경기념 은장 광무 오년 구월 칠일'[10] 이란 기념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4.2. 고종 망육순 · 등극 40주년 기념장[편집]


파일:고종 망육순, 등극 40주년 기념장.png
1902년 3월 18일에 고종의 51세와 등극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된 기념장이다. 재질은 은으로 앞면에는 기로소의 전각인 영수각(靈壽閣)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원유관과 '대한제국 대황제폐하 성수 망 육순 어극 사십년 급임기사합삼경 기념동장 광무 육년 삼월 십팔일'[11]이란 기념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4.3. 황태자 가례 기념장[편집]


파일:황태자 가례 기념장.png
1907년 1월 24일에 황태자해풍부원군 윤택영과의 가례를 기념하기 위하여 제작한 기념장이다. 재질은 은과 동으로 앞면은 마주앉은 비둘기 한 쌍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대한제국 황태자 전하 가례식 기념장 광무 십일년 일월 이십사일'[12] 이란 기념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4.4. 순종 즉위 기념장[편집]


파일:순종 즉위 기념장.png
1907년 8월 27일에 순종의 즉위를 기념하여 제작된 기념장이다. 재질은 은으로 앞면에는 꽃잎이 중첩된 이화문과 프로이센의 군모 피켈하우베가 새겨져 있고, 꽃잎마다 ‘卽位記念章(즉위기념장)’이 전서체로 한 글자씩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대한제국 대황제폐하 즉위제식 기념장 융희 원년 팔월 이십칠일'[13] 이란 기념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4.5. 순종 남서순행 기념장[편집]


파일:순종 남서순행 기념장.png
1909년에 있었던 순종의 순행을 기념하여 제작된 기념장이다. 재질은 은으로 앞면에는 황제기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대한제국 대황제폐하 남서순행 기념장 융희 삼년'[14] 기념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


4.6. 상패[편집]


파일:상패.pn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2:14:30에 나무위키 대한제국 훈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 지번주소로는 관훈동 130-3.[2] 대략 7.5cm ~ 8cm.[3] 약 9cm.[4] 황금 자. 부장의 십자가처럼 생긴 노란 부분을 자세히 보면 눈금이 그려진 자이다.[5] 현재 시세로 대략 4500만 원 ~ 7600만 원에 달한다.[6] 현재 시세로 대략 1억 5천만 원쯤 된다.[7]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이자 빌헬름 2세의 동생.[8] 황제, 황태자는 제외. 이들은 기본으로 패용했다.[9] 이와쿠라 토모미의 삼남[10] 당시 표기법에 따른 원문: 대한뎨국 대황뎨폐하 셩슈 오십년 칭경 긔념 은쟝 광무 오년 구월 칠일.[11] 당시 표기법에 따른 원문: 대한뎨국 대황뎨폐하 셩슈 망륙슌 어극 ᄉᆞ십년 급임기샤햡ᄉᆞᆷ경 긔념동쟝 광무 륙년 삼월 십팔일.[12] 당시 표기법에 따른 원문: 대한뎨국 황태자 젼하 가례식 긔렴장 광무 십일년 일월 이십사일.[13] 당시 표기법에 따른 원문: 대한뎨국 대황뎨폐하 즉위뎨식 긔념장 륭희 원년 팔월 이십칠일.[14] 당시 표기법에 따른 원문: 대한뎨국 대황뎨폐하 남셔슌ᄒᆡᆼ 긔념장 륭희 삼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