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중화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898년부터 1902년까지 중화전이었던 건물에 대한 내용은 덕수궁 즉조당 문서
덕수궁 즉조당번 문단을
덕수궁 즉조당#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덕수궁 중화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818호

819호

820호
창경궁 통명전
덕수궁 중화전 및 중화문
덕수궁 함녕전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819호
덕수궁의 중화전 및 중화문[1]
德壽宮의 中和殿 및 中和門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
2동[2]
지정연도
1985년 1월 8일
제작시기
대한제국, 1902년 창건, 1906년 중건


파일:external/figulr.files.wordpress.com/img_5593.jpg

파일:덕수궁_중화전_및_중화문_중화전_전경.jpg
중화전[3]


YTN 공식 유튜브의 소개 영상[4]

1. 개요
2. 역사
3. 정문
4. 구조
5. 여담
6. 대중 매체에서



1. 개요[편집]


덕수궁정전이다. 중요한 국가 의식을 거행하거나 조회를 열던 곳이다.

조선의 5대 궁 정전 중 유일하게 20세기에 창건했으며 처음부터 조선 왕궁의 정전이 아닌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세운 건물이다.

'중화(中和)' 뜻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바른 성정'으로, 《중용(中庸)》에서 유래한 말이다.


2. 역사[편집]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인조 연간 이후 즉조당석어당 및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1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공사관에 몸을 의탁했던 고종은 1년 뒤 1897년(건양 2년) 환궁[5]하면서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대공사가 필요했다. 따라서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창건하는 것과 다름 없었다.

그래서 한동안은 기존에 있던 즉조당을 태극전, 중화전으로 부르면서 정전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즉조당은 너무 좁았고, 규모있는 정전이 필요했다. 그래서 제국 선포 이후 5년이 지난 1902년(광무 6년)에야 정식 정전으로 지은 건물이 중화전이다.


파일:3_4.jpg

파일:AKR20170424052200005_04_i.jpg
중층 중화전
즉조당을 중화전으로 사용하던 당시 현판.[6]
파일:2018-04-07 21-08-32.jpg}}}
파일:2018-04-07 21-08-22.jpg}}}
《중화전도》
《중화전영건도감의궤 속 중층 중화전》
창건 당시에는 2층[7]이었으며, 겉모습이 창덕궁 인정전과 상당히 흡사했다.

파일:중화전 의궤.png

파일:중화전 복구 공사.png
대화재 이후 경운궁 중건과정을 담은 기록인《경운궁영건도감의궤》에 실린 중화전. 단층이다.[8]
중화전 복구 공사
그러나 1904년(광무 8년) 대화재로 불탄 이후 1906년(광무 10년) 중건했는데 재정 상의 문제 망국 직전 상황때문에 이전과 달리 단층으로 지었다.

이 곳에서 일어난 중요 행사는 1907년(광무 11년) 1월에 치러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 - 순정효황후의 결혼식과 1907년 7월에 열린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하는 의식[9] 등이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9년에 고종승하한 이후, 일제는 1933년에 덕수궁을 공원화하면서 중화전 뜰의 박석을 걷고 잔디을 심는 등 훼손했다. 8.15 광복 이후인 1980년대 말에 문화재관리국에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3. 정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덕수궁 중화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구조[편집]


  • 정면 5칸(61.4척), 측면 4칸(58척), 총 20칸이다. 2단으로 쌓은 넓은 월대 위에 높직한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다. 건물 내 · 외부 사이의 기둥 사이에는 분합문을 달아 언제나 여닫을 수 있게 했다.

  • 공포는 내4출목, 외3출목의 다포식이다. 공포 형태는 외부에 쇠서[10]를 달고 있는 '운기당초문'으로, 이런 형태는 조선 후기 다포의 변화 중 가장 마지막인 모습이다.

  • 단청은 은은한 채색의 모루단청이고 광창과 꽃살 분합문을 달았다.출처.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중화전_내부.jpg}}} ||
중화전 내부[11]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뚫려 있다. 정면 기준 가운데 칸 북쪽에 당가[12]옥좌를 두었다. 고주와 창방에는 낙양각을 달아 화려하게 장식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에서 제작한 사이버 전각전시관을 통해 더욱 생동감있게 내부를 볼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nghwajeon04.jpg}}} ||<width=313>
파일:80f0d6fef68c46739d4c069bb8d0c46f_1476175439672.jpg
[1] 건물과 문을 포함한 권역의 정식 등재명칭.[2] 중화문 포함. 문화재청의 공식 기준 참조.[3]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4] 중화전만 개별적으로 소개하는 영상이 없어 부득이 덕수궁 전체를 다룬 영상으로 대체한다.[5] 還宮. 궁으로 돌아가다.[6] 왜 이 현판이 즉조당에 걸렸는지는 이 포스팅을 참고.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한 때 인터넷 상에서 중층 당시 중화전에 걸었던 현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참고로 중층 중화전 현판은 경운궁 대화재 당시 같이 불 타 없어졌다.[7]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2층보다는 중층(重層)으로 표현한다.[8]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9] 단, 이 때는 고종과 순종이 모두 불참했기에 내관들이 대리했다.(...) 결국 정식 즉위식은 동년 8월 27일 돈덕전에서 행했다.[10] 소의 혀란 뜻으로,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부재를 말한다.[1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12] 唐家. 옥좌 위에 다는 집 모양의 모형.
중화전 답도에 새겨진 용
중화전 천정의 용
처음부터 대한제국의 황궁 정전으로 지었기 때문에 답도에는 쌍용이 세겨져있다. 즉, 2마리가 새겨져 있는데 자세히보면 한마리는 4조룡 다른 한마리는 5조룡이다. 이 용들은 각각 조선과 대한제국을 상징한다. 또한 내부 천장에도 봉황이 아닌 이 달려있다. 단 경복궁 근정전에도 용이 달려있는데 비교하면 중화전의 용이 좀 더 땅딸만하고 살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unghwajeon02.jpg}}} ||
중화전 행각 흔적
정전의 격과 맞지 않게 중화전을 감싸는 행각이 없다(....) 일제강점기 공원화 작업 당시에 조성한 석조전정원이 중화전 행각을 침범하기 때문에 철거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고 중화전 뜰 동남쪽 모퉁이에 흔적이 남아있다. 이마저도 모습이 많이 달라져 현재는 시민들이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었다.



5. 여담[편집]



6. 대중 매체에서[편집]


대한제국 시기를 다룬 작품 자체가 별로 없고, 있어도 다른 궁궐에서 촬영을 하기 때문에 사극에 등장한 적은 없었다.

2016년에 개봉한 영화 〈덕혜옹주〉에서 단층의 중화전이 나온다.

2018년 7월에 tvN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배경20세기 초반의 대한제국이기 때문에 중화전이 나온다. 하지만 실내는 거의 실제 중화전이 아닌 부안에 있는 세트장의 모습으로 나온 것이 함정.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20:50:11에 나무위키 덕수궁 중화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