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평덕선의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덕천역(평덕선) 문서
덕천역(평덕선)번 문단을
덕천역(평덕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덕천역
파일:Busan2.svg 파일:Busan3.svg
수영 방면숙 등[1]
← 0.7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eokcheon
한자
德川
간체자
가나
徳川(トクチョン
주소
2호선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14 (덕천동)
3호선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대로 지하39 (덕천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덕천역 (2, 3호선 통합)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3호선
개업일
2호선
1999년 6월 30일
3호선
2005년 11월 28일
역사 구조
2호선
지하 2층(심도: 13.31m)
3호선
지하 3층(심도: 20.83m)
승강장 구조
2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2]
3호선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무시설
2.2. 환승 계도 안내방송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7.1. 만덕대로 가변 정류장
7.2. 금곡대로 가변 정류장
7.3. 백양대로 가변 정류장
7.4. 마을버스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2.1. 역무시설[편집]


역명은 지명인 덕천동에서 유래했는데, 덕천동은 예전에 덕개촌이라고 불린 마을이다. 금정산에서 발원해 덕천동 인근을 지나 낙동강으로 흐르는 개천을 덕천이라고 불렀으며, 그에 따라 지역 명칭이 덕천이 된 것이다.

부역명은 부산과학기술대학교[3]였으나 부역명 계약종료로 삭제되었다. 그런데 이 역에서 부산과학기술대학까지는 무려 약 2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그것도 비탈길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차라리 구명역 2번 출구쪽이 더 가까울 정도다.[4] 이 역에서 부산과기대로 가고 싶으면 1번 출구로 나와서 덕천교차로 정류장에서 46번이나 160번, 북구6번을 이용하자.

덕천교차로 밑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도시철도 3호선환승역이며, 부산 북구에서 하나밖에 없는 도시철도 환승역이다. 덕천교차로는 14번 국도의 경유지이자 35번 국도의 시점으로 낙동대로, 만덕대로, 백양대로금곡대로의 4개 대로의 시점으로 유명하다. 자로 서면역이나 반월당역처럼 정확하게 교차하는 형태가 아니라 2호선 역이 북쪽인 금곡대로 방면으로, 3호선 역이 동쪽인 만덕대로 방면으로 치우쳐 있는 형태라서 지도상으로 보면 자 모양의 형태를 지닌다.(공덕역5호선, 6호선 간 환승과 비슷하다.) 더군다나 3호선과 2호선 양산행 승강장으로 향하는 환승통로가 그렇게 좁지 않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헬게이트가 열린다.[5] 3호선 연결 통로에서 이번 차를 놓칠까봐 전력질주하는 승객과 그걸 보고도 출입문을 닫으려고 하는 기관사와의 심리전이 장난이 아니다.

2, 3호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참고로 2호선에는 양방향 열차가 이 역에 들어오기 전에 드리프트를 지나는 소리가 합쳐저서 안내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7] 사실 역구내 소음문제는 2호선의 많은 역에서 문제였으며, 열차 도착 안내방송전부터 곡선구간 소음이 먼저 들렸던 적이 있다. 스크린도어 설치 후에 소음문제는 어느정도 해소되었다.

이 역과 숙등역 사이에 유치선이 있다. 그러나 3호선은 노선 길이가 짧다 보니 중간 주박이 없다.[8]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행 막차가 23:31분에 도착하는데 환승객들을 위해 약 3~4분 가량 기다려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장산행 막차를 놓쳤다면 23:48분에 전포행 막차가 도착한다. 전포행 막차 또한 환승객들을 위해 3분 가량 기다려준다. 동래 이북이나 해운대 방면으로 가려는 승객이라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행 막차를 타고 연산역에서 재빨리 1호선 노포행 막차로 환승하자. 또한 수영역에서 환승하면 막전차인 장산행 막차로 갈아탈 수 있다! 물론 전포행 막차를 타고 서면 이남으로 내려가려면 서면에서 1000번이나 1004번 심야노선을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1995년 2월 16일부산 도시철도 3호선 노선을 기존의 덕천역 종착에서 대저역으로 연장하는 안이 잠정적으로 결정되었고# 이후 1996년에 변경된 계획안이 그대로 반영됐다.#[9]

3호선의 경우 숙등역과 덕천역간의 거리가 짧아 과거 대저행 열차 한정으로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라고 짧게 방송했었다. 지금은 전부 저렇게 방송한다.

2.2. 환승 계도 안내방송[편집]


  • 2호선 승강장
3호선 열차를 이용하실 고객은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마시고, 승강장과 이어진 환승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3호선 승강장
2호선 열차를 이용하실 고객은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마시고, 승강장과 이어진 환승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이 역 인근은 화명동과 함께 북구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북구 상권에서 가장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바로 구포시장이다. 그외에도 뉴코아 아울렛, 부산 실내 빙상장, 부민병원, 구포 예식장, 근로복지공단 부산북부지사, 덕천초등학교, 덕성초등학교가 인접해있다. 따라서 시간대에 관계없이 항상 복잡하며, 덕천교차로를 지나는 버스노선도 많아서 환승 거점으로도 중요하다.

덕천동 소재지만, 1번과 3번 출구는 구포동에 있다.

1993년 3월 28일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가 일어난 장소와 매우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덕천역 7번 출구 기점으로 서쪽에 위치하고 펌프장 저수장을 북쪽으로 약간 끼고 있는 경부선 선로 구간이 바로 당시 사고 현장이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면서 지하상가(숙등역과 연결되어 있다)와 쇼핑몰 뉴코아 아울렛[10]이 생겨 소박하나마 번화가의 요소(패밀리 레스토랑과 멀티플렉스 극장까지)를 완성시켰다. 그래서 더욱 붐비는 중이다.[11]

인근에 북구 최대의 번화가인 구포시장이 있으며, 구포시장 근처엔 구포시장 버스환승센터가 설치되어 버스 환승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단 일부 버스 노선은 방향 특성상 이 곳에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보행자의 횡단이 많은 시장 근처에 환승센터를 도로 중앙에 설치하여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상사고가 잦다. 관련기사 그러다보니 구포장날과 주간엔 경찰이나 노인일자리 계도요원을 배치하여 계도를 실시한다.

일부 양산시 시내버스 노선이 이 역을 종점으로 하고 있기는 한데, 타려면 10번 출입구에서 한참을 더 걸어야 한다. 거리로는 300m 정도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덕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연도
파일:Busan2.svg
파일:Busan3.svg
총합
비고

[ 2002년~2009년 ]
2002년
27,454명
미개통
27,454명
비고
2003년
25,614명
25,614명

2004년
23,730명
23,730명

2005년
21,989명
9,822명
31,811명
[1]
2006년
13,650명
10,520명
24,170명

2007년
12,370명
12,116명
24,486명

2008년
13,847명
14,603명
28,450명

2009년
14,248명
16,211명
30,459명

2010년
14,851명
17,577명
32,428명

2011년
16,012명
20,094명
36,106명

2012년
14,829명
22,849명
37,678명

2013년
14,383명
24,285명
38,668명

2014년
14,438명
24,526명
38,723명

2015년
14,177명
24,719명
38,896명

2016년
14,454명
25,178명
39,632명

2017년
14,540명
25,318명
39,858명

2018년
14,193명
24,581명
38,774명

2019년
13,978명
24,856명
38,834명

2020년
10,436명
18,811명
29,247명

2021년
10,481명
19,223명
29,704명

2022년
11,085명
20,803명
31,888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1] 덕천지하상가를 통해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2] 대합실을 통한 횡단은 불가하나 3호선 환승통로를 통한 횡단이 가능하다.[3] 원래는 부산정보대학이었다가 2012년 3월부터 교명을 변경했다.[4] 서울의 총신대입구역, 남성역과 유사하다.[5] 사실 환승통로의 크기가 애매모호하다. 전동차 정차 위치와도 좀 떨어져 있어서 출입문이 닫힌다는 안내방송이 나오면 바로 다음 차를 타야 한다. 왜냐하면 다음 열차를 타지 말고 뛰어서 이번 열차를 탄다고 해도 출입문에 몸이나 가방 등이 끼기 때문이다.[6] 3호선 덕천역은 개통 당시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2호선은 스크린도어가 2014년부터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되기 시작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1호선 동래역도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7] 호포, 양산행 열차일 경우에는 역에 들어서기 전에 R=200인 곡선 드리프트 구간이 3곳이 있고, 장산행 열차는 그나마 속도를 좀 내서 들어오지만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스크린도어 설치전에는 양산&호포행 열차가 이 역으로 들어올 때, 3호선 승강장에서도 소음이 크게 들릴정도로 상당했었다.[8] 구포철교 붕괴를 대비해 만들어 놓은 유치선이다. 구포철교가 붕괴되면 덕천역이 임시로 종점역의 역할을 맡게 된다. 철교 붕괴와는 다른 이유긴 하지만 2022년 태풍 힌남노2023년 태풍 카눈 당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구포~대저 구간의 운행이 통제됐을때, 임시로 종점역할을 맡은 적이 있다.[9] 다만 덕천역 이후 낙동강 횡단은 구포철교로 횡단하는 것이 아니고 하저터널로 통과하는 방식이였고 ## 1997년에 건설공법과 경비 및 공사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고가화로 결정됐고 구포역이 추가됐다.#[10] 구) 폴라렉스. 이후 이랜드그룹이 인수했다.[11] 주말 결혼식, 칠순잔치, 돌잔치가 있는 날이면 인근 도로가 자동차들로 인해 헬게이트를 이룬다.

  • 하루 평균 이용객은 두 노선을 합쳐 29,247명으로, 같은 2, 3호선 환승역수영역보다 승차량이 더욱 많다.
  • 3호선의 전체 승하차 인원 1위를 차지한다. 이는 북구 전체의 상업/업무/교통 중심지로 기능하면서, 동래구-연제구수영구, 해운대구로 넘어갈 때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3호선의 영향으로 북구에서 수영구남구 방면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12] 따라서 도시철도의 경쟁력이 크게 발휘된다.
  • 6년 늦게 개통된 3호선이 먼저 운행된 2호선보다 승객이 더 많다. 이는 3호선 덕천역이 있는 위치가 좀 더 번화가 지역에 가깝고 덕천지하상가로 직접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3호선 게이트의 승차량이 더욱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2호선 이용객인데도 3호선 게이트로 들어간 뒤 환승통로를 통해 2호선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꽤 많다.
  • 2호선 덕천역의 승하차 인원은 3호선 개통 이전까지 하루 평균 2만 명 이상이었으나, 3호선이 개통하자마자 2/3 수준으로 이용객이 빠진 이후 꾸준히 14,000여 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는 15년 전(2002년)의 절반, 3호선 덕천역의 57% 수준에 불과하다.
  • 3호선 덕천역은 개통 3년 차까지 2호선의 승하차 수요를 잠식해왔으나, 그 이후로는 순수하게 노선 자체의 경쟁력으로 이용객을 늘려왔다. 실질적 개통 1년 차인 2006년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만 명에 턱걸이를 했으나, 10년 뒤인 2016년에는 2.5만 명을 돌파하면서 2.5배나 수요가 증가했다.

5. 승강장[편집]



5.1. 2호선[편집]



구명




수정

상대식 승강장으로 3호선 승강장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있으며, 직접 횡단할 수 없다.

부산 2호선의 승강장은 1편성 10개 칸까지 대응 가능하지만 실제 전동차는 1편성 6칸으로 운행하는데, 개통 당시부터 2013년까지는 정차위치가 수정역 방면 끝쪽에 치우쳐 있어 구명역 방면으로 치우쳐진 3호선 환승통로로 갈 때 최소 80여m를 추가로 걸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2013년부터 구명역 방면 끝쪽으로 정차위치가 변경되었다.

5.2. 3호선[편집]



숙등




구포

섬식 승강장이다. 대저행 기준으로 마지막 지하역이며, 이 역은 구포역 방향으로 3퍼밀[13]의 상구배가 있다.

6. 요금[편집]



7. 연계 교통[편집]



7.1. 만덕대로 가변 정류장[편집]




7.2. 금곡대로 가변 정류장[편집]


  • 덕천교차로(정류장 번호: 08-064)
    • 부산 버스 15[심야]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59[심야] - 금곡역행
    • 부산 버스 11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121 - 금곡동행
    • 부산 버스 300 - 금정공영차고지
  • 덕천역(정류장 번호: 3305)
    • 양산 버스 21[심야] - 북정행
    • 양산 버스 23[심야] - 북정행

  • 덕천교차로(정류장 번호: 08-065)
    • 부산 버스 15[심야]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59[심야] - 충무동행
    • 부산 버스 111 - 부산진시장행
    • 부산 버스 121 - 장전역
    • 부산 버스 300 - 구포시장행
  • 덕천역(정류장 번호: 3304)
    • 양산 버스 21[심야] - 회차(하차전용)
    • 양산 버스 23[심야] - 회차(하차전용)

7.3. 백양대로 가변 정류장[편집]



7.4. 마을버스[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9:17:12에 나무위키 덕천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2] 3호선 북구 구간을 지나며 제2만덕터널을 통과하는 버스들은 동래구에서 아예 북쪽인 금정구로 넘어가버리든가, 계속 쭉 가도 수영구를 비껴서 바로 해운대구 쪽으로 빠져버린다.(200번, 307번)[13]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부산지하철3호선 건설사업의 본안 부록 49p 참조[14]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심야] A B C D E F G H I 심야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