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박

덤프버전 :




데이빗 박

파일:수리남(드라마) 데이빗 박 포스터.jpg

배우: 유연석

1. 개요
2. 작중 행적
3. 명대사
4. 여담



1. 개요[편집]


드라마 《수리남》의 등장인물. 배우는 유연석.
콜롬비아에서 자라 한국어와 영어를 모두 사용하는 조직의 브레인. 전요환 조직의 법률적 자문을 도맡고 있는 고문 변호사로, 보수적이고 조심성 많은 성격을 갖고 있다.}}}


2. 작중 행적[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명은 데이빗 훌리오 박(David Julio Park). 전요환의 고문 변호사이자 조직의 브레인으로, 설정상 콜롬비아 출신 한인 2세이다.

범죄, 느와르 영화의 클리셰처럼 있는 '젠틀한 외모를 갖고 있으면서도 잔혹한 또라이' 캐릭터처럼 보였으나 사실은 전 목사에게 꼼짝 못하는 반쯤 꼬붕이나 다름없다. 이러한 점이 잘 드러나는것이 전요환 패거리에서 제일 정상적이고, 잔인하거나 악독한 면모는커녕 전 목사에게 된통 깨지기 바쁘다. 어떠한 연유로 전요환의 밑에서 일을 하게 되었는지는 모르나 막대한 연봉과 권력 때문에 이런 범죄자 밑에서 일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전요환의 종교에 세뇌되어 있지는 않은 듯 하다. 변기태와 이상준은 전요환의 지시에 "아멘." 으로 대답하지만, 데이빗은 대부분 "옛썰." 혹은 아멘의 미국 영어식 발음인 "에이멘~"으로 가볍게 대답한다. 신앙심이 거의 없다는 증거다. 오죽하면 사람 좋은 목사 코스프레 중인 전요환조차 종종 이럴 때마다 흘겨볼 정도다.

일단 브라질 주재 미국 대사관 직원 명부를 빼오는 임무를 듣고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하자마자 전요환에게 목을 쥐여잡히며 "돈을 뿌리든 탱크를 몰고 가든 어떻게든 가져와" 라는 협박을 듣거나, 엄청난 임무를 던져놓고는 6시간도 못 기다리는 전요환의 징징거림을 달래거나, 전 목사가 생색으로 자기 협력자들에게 나눠주는 기념품에 박지성의 사인을 위조하며 적어놓는 걸 보면 그야말로 중간관리직의 애달픔이 느껴진다. 물론, 브레인은 브레인인지라 창호가 푸에르토리코 루트라는 미끼를 처음 던지자, 즉각 "거긴 미국 자치령이라 위험하다" 라면서 반박하고, 그 후로도 강인구를 지속적으로 의심하는 등 영리한 행태를 보여준다.[1]

하...

-

전요환에 의해 스파이로 지목되어 머리에 총을 맞은 직후의 유언.


쳰진 패거리의 배신으로 인한 총격전에서 전요환 조직원 중 살아남은 자들은 모두 피신하였다. 전요환, 강인구, 변기태, 데이빗 박, 이상준이 모두 지하실로 모였고, 상황은 마피아 게임과 비슷하게 흘러갔다. 전요환은 우리 중 내통자가 있다며 총을 들고 이상준을 제외한 나머지 셋에게 총구를 겨누기 시작했다. 결국 변기태의 증거조작으로 의해 첸진 패거리와 내통한 스파이로 오인받아 전요환에게 살해당한다. 게다가 강인구도 틈만 나면 지속적으로 전요환에게 데이빗 박이 의심된다며 바람을 잡았다.[2] 오죽 억울하고 어이가 없었으면 머리에 총을 맞고서도 상술한 외마디를 유언으로 남긴다.

조직에서 유일한 변호사라는 이유로 노예처럼 온갖 협상부터 뒤치다꺼리를 다 처리했지만, 전요환에게 신임도 얻지 못하고 갈굼만 받다가 죽임을 당해 안쓰럽다는 반응도 있다. 드라마에 나온 부분만 해도 상술한 푸에르토리코 건에 대한 합당한 의문 제기는 창호와 인구가 야구를 가지고 "푸에르토리코는 미국령이 아니다!"라고 무대포로 밀어붙인 거에 전요환이 넘어가버리는 바람에 묵살당했다.[3]

애초에 이런 허접한 논리에 넘어간 이유는, 이미 심적으로 전요환이 데이빗보다 강인구를 더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애초에 전요환은 인텔리인 데이빗에 대한 자격지심을 상하관계로 찍어누르는 것으로 해소하려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기도 했고, 인텔리지만 지나치게 겁이 많고 우유부단한 데이빗보단 지능적인데에다 결단력, 대범함, 추진력 모두를 갖춘 강인구가 더 눈에 밟힐 수 밖에 없다. CIA 인맥까지 활용해 겨우 빼낸 미 대사관 장부에 대해서는 그 어떤 인정이나 칭찬도 받지 못하고 욕이랑 협박만 듣는 장면들 뿐이다. 더더욱 아이러니한 점은 작품의 주제가 기만, 그리고 작품을 상징하는 표제어가 "속이면 살고 속으면 죽는다."인데 정작 장본인은 속지 않았으나 자신의 상관인 전요환이 속아서 팀킬한 탓에 죽은 케이스인지라 자신이 안속았는데 남이 속아서 죽었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상만강인구를 구한 생명의 은인이자 작전의 성패여부를 가른 인물이기도 하다. 생명의 은인인 이유는 미국 대사관과 연줄이 있다는 구상만의 말이 진실인지 아닌지를 직접 확인해줬기 때문이다. 물론 창호와 인구를 죽이라고 명령받고 대기 중이던 기태가 실제로는 국정원 요원이였던만큼 둘은 목숨은 부지했을 수도 있으나, 조금만 늦게 확인했어도 최악의 경우엔 셋 모두 죽었거나 좀 나은 경우에도 작전은 완전히 틀어졌을 것이다. 또한 다른 의미로서 작전의 성패여부를 가른 인물이기도 하다. 만약 데이빗이 전요환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고 좀 더 살아있었다거나 데이빗을 전요환이 좀 더 신뢰하였다면 강인구와 최창호의 작전이 계속 차질을 빚거나 최악의 경우 실패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3. 명대사[편집]


강인구 씨. 지금 같이 안 가면 당신 죽어~ 좋게 말하는 상황에서 갑시다. 네?


여권 주시면, 입국 수속 도와드리겠습니다. It's a super fast track![4]


에이멘!(Amen!)[5]

[6]


Yes, Sir.[7]


목사님한테 차이나타운 없애고 푸에르토리코만 남길 바라는 단 한 사람. 그게 누구냐고?! Who the HELL do you think it is?! (그게 씨발 누구일 것 같냐니까!)[8]


실례지만 혹시 푸에르토리코[9]

가 미국 자치령이라는 거 모르고 이러시는 겁니까?


미국 대사관 직원 명단은 get하기가 쉽지 않을 텐데요.



4. 여담[편집]


  • 이상준이 강인구에게 경어체를 쓰는 데 반해 데이빗은 강인구에게 초면부터 하대하고 반말을 사용한다.

  • 실존 인물 K는 자신의 정체를 알아챈 조봉행의 부하 A 때문에 위기를 겪었는데, 이 A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로 보인다.

  • 작중 언더커버 요원 추리에서 가장 큰 혼동을 준 인물이다. 일단 브레인임에도 푸대접만 받아서 뭔가 불만을 품을 법하다는 느낌을 계속 주었고, 4화에서 전요환의 식사자리를 국정원이 도청하는 장면에서는 일부러 데이빗의 휴대전화를 원샷으로 보여주고, 전요환의 파티에서 화장실에 최창호와 강인구가 작전에 대하여 큰소리로 다투던 와중에 바로 들어온데다 강인구가 자리를 피하자 최창호와 단 둘이 남았을 때 무슨 말을 하려듯이 창호 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장면에서 절묘하게 화면이 끊기기도 하는 등, 페이크 연출이 많았다. 게다가 시청자들은 일반적으로 국정원 요원이라면 최창호 같은 엘리트의 이미지를 연상하고 언더커버도 그런 인물일 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전요환 일당에서 그런 인물은 그 밖에 없었으니 감독이 인식의 함정도 파놨다고 할 수 있다.

  • 당장 인구와 희원이 의심을 벗어나야 한다는 목적도 있었고, 아무래도 국적이 한국이 아니다보니까 NIS가 직접 체포하거나 제거할 수 없어서 이중첩자로 몰려서 죽게 한걸로 보인다.

  • 마약밀매이기는 해도 기본적으로 여러 나라와 세력이 끼는 대규모 사업이라서 유능한 브레인이 절실하게 필요함에도 전요환은 데이빗을 부려먹을 부하 이상의 의미를 두지 않는다. 본인부터 거친 범죄자 출신이라서 그런지 능력을 떠나 유약해보이는 데이빗을 진지하게 대하지 않고 사인볼 위조 같은 잡일에 써먹는 등 푸대접하는 편이다. 오히려 알고 지낸 지 얼마되지 않음에도 뚝심 있는 모습과 사업 능력에서 두각을 드러낸 강인구를 선호하고 결국 그런 편견이 강인구와 구상만의 의도를 파악한 데이빗을 숙청하게 만든다.[10]

  • 한국어 실력이 유창함에도 같은 한국인끼리 대화할때 별로 어렵지도 않은 부분에서 영어를 섞어쓰는 이상한 말버릇을 갖고 있다. 정확히는 영어를 일종의 추임새처럼 장난스럽게 섞어쓴다.[11] 또한 영어 억양도 인구나 요환 등이 전형적인 한국식 영어를 쓰는 것과 다르게 어설프게 미국식 발음을 따라하려고 과도하게 굴리는 편이다. 이런 모습은 교포보다는 대충 몇년 어학연수 갔다오고 어줍잖은 영어로 허세부리는 "자칭" 유학파의 모습과 매우 비슷하다. 데이빗의 실속은 없고 허세와 허영심만 가득한 얼치기 엘리트라는 캐릭터성을 이런 말투를 통해 잘 드러낸 것이다.

  • 다만 설정상 한국계 콜롬비아인 교포라서 스페인어가 모국어일텐데, 스페인어권의 영어 억양을 전혀 쓰지 않는다는 것은 아쉬운 부분.[12] ‘푸에르토리코’ 같은 경우 스페인어 단어임에도 스페인 발음인 ‘뿌에르또 ㄹ리꼬’ 가 아닌 영어 발음에 가까운 ‘풜토뤼코’로 발음한다.

  • 생각해보면 변기태만큼이나 과거가 아리송하면서 다사다난했던 것으로 보이는 인물이다. 변호사 자격증까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엘리트가 어떤 사정으로 이러한 범죄 조직에 몸을 담게 되었는지 그 어떠한 서사도 언급되지 않는다. 전요환의 명령은 따르는데, 사이비 종교에 세뇌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며 마약에 중독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도 않아 다소 과거사에 대한 의문을 유발하기도 하는 인물이다. 물론 남미의 마약 카르텔에도 브레인을 담당하는 자는 고학력 엘리트가 흔히 있고, 별 사연 없이 그렇게 범죄조직과 손을 잡는 엘리트들의 대부분은 막대한 부귀영화에 눈이 멀어있는 인물들인만큼 이 쪽도 아마 돈과 마약 카르텔의 브레인이라는 명함에 혹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

  • 배우 유연석은 슬기로운 의사생활 시즌2 촬영과 이 드라마 촬영이 완전히 겹쳐서, 같은 날에 낮에는 제주도에서 데이빗 박 연기를 하고 밤에는 의사가운 입고 안정원으로 분해야 했다.하루 안에 문이과 최상위권 직업을 오갔던 남자

[1] 첸진과의 거래가 틀어져 푸에르토리코로 유통하게 되었을 때 가장 이득을 보는게 강인구임을 혼자서만 알아채고 지적했다.[2] 인구의 바람잡이말고도 데이빗은 첸진과의 일시적인 제휴를 강력하게 추천했던 만큼 첸진의 배신으로 죽다 살아난 전요환 입장에서는 데이빗이 가장 의심스러울 수 밖에 없었다. 그 상태에서 휴대폰까지 발견되자 앞 뒤 가리지 않고 죽여버린 것으로 보인다.[3] 이때 사용한 주요 논리가 WBC에 푸에르토리코랑 미국이랑 따로 나왔다는 것이다. 사실 조금만 생각해보면 말도 안 되는 논리인 것이, 올림픽이나 월드컵만 봐도 각 나라들의 스포츠 협회 자격으로 참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중국홍콩(+ 마카오)이 다른 국가는 아니지 않는가? 전요환이 이를 간파했다거나 데이빗의 말을 믿었다면 이후의 스토리 전개가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애초에 이런 허접한 논리에 넘어간 이유는, 이미 심적으로 전요환이 데이빗보다 강인구를 더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4] "매우 빠른 절차입니다!"[5] 한국에서 흔히 쓰는 '아멘'이 아닌 미국식 영어 발음으로 '에이멘'이라고 한다.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쓰는 데이빗을 설명하는 한 구절.[6] 전요환은 이 미국식 발음이 성의없이 응답하는 것처럼 보여서 싫어하는지 다른 부하들이 다 아멘이라고 할 때 데이빗만 에이멘이라고 하자 고개를 돌려 노려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발음이 거슬려 그러는 것도 있겠지만 작중 상황을 종합하여 볼 때 데이빗이 브라질에서 거래를 망치고 돌아온 게 화나서 노려본 것이다.[7] 전요환이 지시할 때마다 하는 대사.[8] 강인구와 데이빗이 서로를 프락치로 몰아가는 장면 중 강인구의 말을 반박하며 소리를 지르는 대사. 이 때 전요환은 쥐새끼가 뻔뻔하게 시끄럽다고 불평하며 데이빗을 사살한다.[9] 작 중에서는 '풜토뤼코'에 가깝게 발음한다.[10] 다만 작중에서는 오히려 편견 때문에 전요한은 데이빗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았고 그가 두려움 때문에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은연 중에 드러내기도 했다.[11] 상술한 명대사인 "여권 주시면, 입국 수속 도와드리겠습니다. It's a super fast track!"이 대표적이다.[12] 거기다 데이빗이라는 이름도 영어식이다. 스페인어으로는 다비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4:38:45에 나무위키 데이빗 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