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화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작중 행적
4. 무공


1. 개요[편집]


도요화. 초절정고수. 별호는 소천마고(召天魔鼓).

산동성 제남 출생. 도고악당 출신. 의협비룡회 도고각주.

부(父) 도백균 도고악당 참사로 사망. 모(母) 감(邯)부인 일찍이 병사. 형(兄), 손위 오라버니로 도고악당 참사로 사망.

백운관 전진도량에서 전진무공을 연마함.

권각백타에 능하여, 주무공인 타고진공파를 쓰지 않고도 능히 절정고수들을 제압할 수 있는 무공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짐. 타고진공파는 일반적인 음공(音功)의 영역을 넘어선 이능(異能)으로, 특히 집단전에서 압도적인 전투력을 보여왔음. 사천과 운남 지역에서는 단신으로 만 명을 상대할 수 있다는 만부부당의 음공여제(音功女帝)로 불림.

도고악당 참사를 계기로 의협비룡회 회주 비룡제와의 인연이 시작됨.

(중략)

참룡대회전(斬龍大會戰) 참전. 복룡담 대무후회전 참전. 신마대전 참전. 의협비룡회가 주도한 무림 대소전투에서 참전하여 혁혁한 전공을 올림. (중략)

한백무림서 인물편 제 십장

의협비룡회 中에서.[1]


陶謠花. 무협소설 한백무림서의 등장인물.

2. 상세[편집]


도요화가 감정에 휘둘리는 면이 강하고 폭주하는 경우도 왕왕 있었기 때문에, 아버지 도백균은 백운관[2]에 보내 정종무공을 익히도록 하고, 거금을 들여 영물의 내단을 2개나 구해 먹였다.[* [3] 나중에 단운룡과 동행하면서 능력을 발전시켜 위력도 정밀도도 증가한다. 단운룡과 막야흔에게 빡세게 구른데다가 오원에서의 경험을 통해서 권각만으로도 절정고수 이상으로 성장한다. 애초에 내공량 자체가 의협비룡회의 후기지수들 중에서 단운룡 다음으로 많다.

도요화가 무서운 이유는 무공보다는 음마정(音魔精), 음마요신(音魔妖神)으로서의 이능 때문. 음에 있어서는 절대적인 재능을 갖고 있고, 덕분에 어렸을 적부터 배우지 않아도 음공을 구사하고 북을 연주하면 감정을 뒤흔들었다. 음마정으로서의 힘을 사용시 도요화의 얼굴이 창백해지고 눈에 보라색 광망이 어린다. 신마맹에서는 이 재능이 팔부중 건달바(乾達婆)의 가면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도요화를 납치하려 했던 것. 보통은 음마정, 음마요신의 이능이라고 부르지만, 또 다른 이능을 지닌 자인 천리안은 그녀에게 음선(音仙)의 재능을 지녔다고 말했다.

후에 영수인 (夔)의 뼈와 가죽으로 만들어진 '황제전고'를 얻게 되어 이능이 더 강화되는데, 이를 이용해 대 요괴전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인다. 황제전고란 황제 헌원씨가 치우의 군대와 전투를 벌일 때 기의 뼈와 가죽으로 만든 북을 쳐서 치우의 군대를 겁먹게 했다는 신화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3. 작중 행적[편집]


도고악당(陶鼓樂黨) 출신이며, 그 능력의 위험성을 감지한 아버지 도백균은 도요화를 백운관 전진도량으로 보내 무공을 익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아버지의 결정을 오빠의 자리를 위협하는 것에 대한 추방으로 오해한데다가, 전진도량에 있으면서 어머니 임종조차 지키지 못하는 바람에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오빠에 대한 질투가 자리잡는다. 강설영과 처음 만났을때 이에 대한 하소연을 하기도.

실상은 음마정이 폭주할 때의 위력이 실로 위험한데다가, 도요화 스스로도 조절할 수 없었기에 어쩔 수 없이 백운관으로 보낸 것. 실제로 폭주하는 경우가 생기면 도고악당으로서는 막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전진도량에서도 장로급 이상되는 고수들이 나서야만 할 정도였다.[4] 사실 도요화를 도백균이 싫어했다면 큰돈 들여서 영약을 두 개나 먹여줬을리도 없다. 하지만 그런 오해를 풀기도 전에 닥쳐온 신마맹의 습격으로 도고악당은 전멸. 게다가 그 신마맹이 습격해온 이유는 바로 도요화에게 건달파의 가면을 씌우기 위해서였다. 그 후 신마맹에 대한 복수심으로 단운룡 휘하에 들어가며 원수인 사타왕에게 맹렬한 적의를 불태우게 된다.

그 후 단운룡막야흔에게 실전에 가까운 대련으로 실력을 쌓았고, 오원 정벌 당시 큰 활약을 하면서 의협문의 한 축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 단운룡, 오기륭을 따라서 위기에 처한 강씨금상을 지원하러 나섰고 신마맹의 공격 속에서 활로를 만들어내며 활약했고, 단운룡의 명령에 따라서 금상의 안주인인 정소교의 호위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정소교를 노리고 신마맹 신화회주 옥황이 등장하면서 같이 정소교를 호위하던 금륜대원들이 모조리 쓰러지고 자신은 이능 덕분에 겨우 버텼을 뿐 상대도 되지 않는 힘에 위기에 처했다. 그리고 옥황의 뒤를 이어 나타난 이랑진군[주의] 정소교를 죽이려하자, 옥황의 이능에 저항하면서 타고공진격으로 이랑진군을 밀어냈지만 다시 옥황의 이능에 제압당하고 능력마저 일시적으로 봉인당했다.[5]

그리고 옥황과 만났기 때문인지, 천신의 힘을 받아들이라는 목소리가 자꾸 들리게 되었다. 덕분에 음마요신의 힘이 활성화 되어 힘들어 하고 있는데, 막야흔이 "뭘 그리 힘들어하냐, 듣자하니 이랑진군 개새끼도 그 북으로 빵 쳐서 목숨이 날아갔다더만. 그정도면 복수도 제대로 한거 아냐?" 라고 말하면서 "사람이 화나면 물건을 부수고 눈물나면 울어야 맘이 편해지지 끙끙댄다고 뭐가 되냐" 고 말하자 그만하라고 소리를 치며 음마요신의 힘을 터트려 그 주변에 있던 사람들과 마차를 끌던 말의 몸까지 잠시 굳게 만든다. 하지만 그 덕분에 조금 안정을 되찾기는 한 것으로 보이며 단운룡도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무산에서 만난 천리안에게 무산으로 올라가면 도와줄 사람이 있을 거라는 말을 들었다. 음마요신이 아니라 음선이라고 말해주는 천리안의 말에 은근히 좋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도와주러 온 허공진인에게 옥황의 금제로 고통스러우니 해결할 방법이 있으면 어떤 일이든 할테니 부디 알려달라고 간곡히 청한다. 그리고 허공진인이 그런 도요화의 모습을 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당의 태극도해와 무극진기까지 필요하다고 말하곤, 자신의 무공을 배웠기에 무당에 들어오라는 말은 하지 않겠지만, 그것으로 무당제자를 상처입히는 일이 없게 해달라는 말을 했고 단운룡이 이를 받아들여 의협문은 절대로 무당을 공격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게 되어, 태극도해와 무극진기를 얻어 문제를 해결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항산 전투에서 천리안과 함께 오랜만에 등장. 음선이라 불리며, 주시자들이 동해의 기신을 잡아 만든 황제전고라는 신병이기를 얻어 활약했다.

은근히 작중에서 막야흔과 엮이는 일이 많지만 본인은 막야흔과는 아무런 사이도 아니라며 부정하고 있다. 츤데레[6]일까?

4. 무공[편집]


  • 타고공진격
북을 두드려 공진을 만들어낸다. 그 공진을 한곳에 집중시키는 단타 공격이 타고공진격. 격공장이나 장풍과 비슷한 느낌.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접근전으로 상대해야 하지만 도요화의 무공이 권각술이라 상대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도요화의 실력이 발전하면서 연타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 타고공진파
타고공진격과는 달리 광범위 공격. 사자후와 비슷하게 진동을 통해 상대에게 내상을 입힌다. 다수의 적을 상대하는 데에 능하며, 밀폐된 곳에서 사용하면 그 위력은 배가된다. 소리가 잘 울리는 동굴에서 사용하여 동굴 내의 모든 적들을 안구가 터지고 머리의 모든 구멍에서 피와 뇌수가 흘러나오게 만들어 전멸시키기도 했다(…) 단운룡도 뇌신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고막이 터질 뻔했을 정도의 위력.

  • 그 외에 오원에서 무격의 주술을 반감시키거나 사금목과 함께 음공합주로 의현의 항마력을 증폭시켜 승뢰의 금마륜을 통한 항마봉쇄를 누른 적도 있다. 고막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굉음에도 아무렇지 않고, 들릴리가 없는 거리의 소리를 듣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1:56:37에 나무위키 도요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천잠비룡포 241화 29장 마고(1)에서.[2] 전진파 계열[3] 1.문요신어(文謠神漁)라는 날개달린 잉어. / 2.기도영조라는 새의 요정(夭精)[4] 그 당시의 단운룡은 순속으로는 힘들어했다.[주의] 3.1번 항목. 스포가 있어 직접 링크는 하지않음.[5] 이 때 옥황이 음마요신의 힘으로 상제령을 깼다는 사실에 매우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6] 욕데레인 막야흔을 상대하는 걸 보면 거의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