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암장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90호

91호

92호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서울 돈암장
서울 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91호
서울 돈암장
서울 敦岩莊 | Donamjang House, Seoul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3길 84 (동소문동4가)
분류
등록문화재 / 기타 / 인물기념시설
면적
1동(한옥 본채) 건축면적 155.17㎡
지정연도
2004년 9월 4일
위치




파일:서울_돈암장_좌전경_(촬영년도___2015년).jpg

돈암장[1]

파일:서울_돈암장_대문_측면_(촬영년도___2015년).jpg

돈암장 대문[2]

1. 개요
2. 역사
3. 구조
4.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일제강점기에 지은 근대 한옥. 1945년 광복 이후 미국에서 돌아온 이승만이 약 2년 간 머문 곳으로 유명하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에 있다.


2. 역사[편집]


원래 이 곳은 조선시대빈민들을 치료하던 동활인서가 있었던 자리였으며, 일제강점기 초중반에는 젖소를 키우는 평산목장이 자리했던 곳이다. 이 곳에 저택을 지은 시기는 1939년으로, 조선시대의 내시였던 송성진이 자신이 거주할 목적으로 건립했다. 건축 공사는 훗날 무형문화재 74호로 지정받은 목수 배희한이 맡았다.

파일:Syngman_Rhee_and_Francesca,_LIFE_Magazine.jpg
1947년 5월, LIFE 잡지에 실린 돈암장 근처에서 찍은 이승만프란체스카 부부.

나중에 조선타이어주식회사 사장이었던 장진영의 소유가 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이승만미국에서 귀국했다. 그는 자그마치 33년이나 망명 생활을 했었기 때문에 조선에 머물 곳이 없었고, 그래서 잠시 조선호텔에 머물렀다가 곧 장진영[3]의 집을 빌려 거처했다. 이때 한민당장덕수가 같은 동향 사람이자 같은 당 당원인 장진영에게 부탁했다고 한다. '돈암장(敦岩莊)'이란 이름은 이 때 지은 것으로, 당시 행정구역 상으로는 돈암동에 있다하여 붙인 명칭이다.[4] 다만, 오롯이 이승만이 전용한 것은 아니었다. 건물 3채 중 이승만에게 빌려준 건물은 54평 짜리 양옥 안채와 한옥 별채였고 장진영은 남은 1채 만을 사용했다. 그 중 이승만 본인은 양옥에 머물렀고 한옥 별채는 비서진들이 사용했다.

이승만이 머물던 당시, 돈암장은 중요한 정치적 무대가 되었다. 이승만이 우익 진영의 최고지도자로 해방 공간에서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인 정치가였던 만큼, 그가 거처한 돈암장 역시 핫플레이스가 되었던 것은 당연했다. 하루에도 적게는 300여 명, 많게는 600여 명 까지도 방문했으며, 이 중에는 우익 인사들은 물론, 일부 좌익 인사들도 있었다. 특히 1945년 말에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에서 신탁통치가 결정되자 우익 진영에서는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전개했고, 이승만이 그 중심에 서면서 돈암장은 신탁통치 반대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이승만미군정은 충돌하기 시작했고, 점점 군정 사령관 존 리드 하지와의 갈등이 심해지자 집주인 장진영은 이승만에게 슬슬 나가라는 눈치를 주었다. 심지어는 물건 둘 곳이 없다는 이유를 대면서 이승만의 거처 공간에 자신의 짐을 갖다 놓기까지 했으니 이 정도면 눈치 준 정도가 아니라 아예 대놓고 압박을 준 것이었다. 결국 이승만은 1947년 8월 25일에 돈암장 생활을 정리하고 원효로4가에 있는 마포장(麻浦莊)으로 이사했다.#[5] 새 거처 마포장은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다나카 다케오가 썼던 여름 별장으로, 하지 중장이 주선해준 곳이라고 한다. 그러나 마포장은 햇빛도 잘 안들었으며 비만 오면 습해져서 살기 불편했고 결국 얼마 못가 종로구 이화동에 있는 이화장으로 한 번 더 거처를 옮겼다.

그렇게 원 주인 장진영이 돈암장을 다시 오롯이 소유했으나 장진영은 6.25 전쟁납북당해 죽었다. 이후 돈암장의 필지는 분할되었고 건물들은 분리 매각되어 현재는 소유주들이 각각 다르다. 이 중 한옥 본채 만이 2004년 9월 4일에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91호로 지정받았다. 이승만이 기거했던 양옥은 헐렸고 현재 그 자리에는 교회가 있다.


3. 구조[편집]


※ 현재 남아있는 한옥 본채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 전반적으로 건물 구조가 궁궐의 침전 양식과 비슷하다. 가운데에 대청이 있고 대청 양 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온돌방의 3면을 퇴간이 두르는 형태로, 이는 조선 왕궁의 침전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이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전봉희 교수는 이를 두고 "조선 멸망 이후 궁실 건축을 담당하던 목수가 민간으로 나간 근대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평했다. 애당초 돈암장을 지은 사람이 내시였고, 건축을 맡았던 배희한은 창덕궁 대조전 복구 공사에 참여했던 목수 최원식의 제자였다.

  • 장대석 3단 위에 단층으로 지은 건물이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며 목재는 백향목으로 사용했다. 건물의 가구는 쇠못 하나 쓰지 않고 오로지 조립해서 지었다. 각 기둥마다 주련이 붙어있으며 정면 기준 왼쪽에서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일곱 번째 칸에 현판이 달려있다. 주춧돌 사이의 고막이벽은 타일로 마감했다.

  • 본채 앞마당에는 잔디가 깔려있다.


4. 대중매체에서[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야인시대 돈암장.png}}} ||
〈야인시대〉의 돈암장[6]
광복 이후 정치사를 다룬 드라마에 여러 번 외관이 나왔다. 대표적으로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도 등장했다. 김두한이 여기서 이승만에게 조선 보리밥에 된장국, 김치를 얻어먹고 심영이를 잡으러 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0:41:14에 나무위키 돈암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3] 일부 자료에는 '장진섭'으로 적혀있다.[4] 돈암장이 있는 지역은 1963년에 동소문동으로 분동되었다.[5] 처음에는 운현궁 양관을 사용하려 했으나 여의치 않았던 듯 하다.#[6] 사진 출처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