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3. 철도 현황
4. 여객 수송
5. 화물 수송
6. 국가별 철도 환경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vietnamthainguyenrailway.jpg
베트남 타이응우옌 시에 있는 철길이다. 동남아시아의 철길 풍경은 대부분 이렇다. 이 철길은 그나마 관리가 잘된 축에 속한다.

싱가포르말레이시아를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철도 인프라는 매우 낙후되어있다.[1] 19세기 후반 및 20세기 중반까지의 식민지 시절 유럽열강들이 건설한 뒤 독립 이후 추가적인 건설을 하지 않고, 도로 교통 위주의 정책 때문에 면적 대비 철도 총 길이가 짧고, 전철화율이 매우 낮으며 거의 다 단선이다.

동남아시아의 철도 특징으로는 협궤미터 궤간(1,000mm)을 사용한다는 점이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필리핀일본과 같은 케이프 궤간(1,067mm)을 사용하며, 태국에는 200km 남짓 표준궤 전철화 구간이 있고, 중국 국경 근처 지역에는 표준궤 호환 듀얼게이지 구간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지하철이나 경전철 노선의 경우 대부분 표준궤이다.

라오스는 2021년 12월 3일 개통된 윈난성 쿤밍비엔티안을 연결하는 중국 라오스 철도가 표준궤로 건설되었기에 사실상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표준궤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나라가 되었다. 이 철도가 개통되기 전 라오스에는 수도 비엔티안에만 태국과 연결되는 협궤 노선만 있었다.

다른 특징으로는 도심 골목 안으로 열차가 운행된다는 것이다.열차가 다니는 길목에 시장을 열기도 한다. 이런 곳에서 절대 사지 말자. 열차의 먼지와 더불어 열차 내부에 들어가는 각종 기름, 철가루, 승객의 오물이 상품에 튈 확률이 높아 매우 비위생적이다.

2. 역사[편집]


대체적으로 철도가 놓인 계기는 한국과 똑같다. 태국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철도는 전부 유럽 식민제국들이 부설했다. 대부분 첫 노선은 1880~90년대 열강이 강제적으로 개항한 항구 주변에 부설되었다. 이는 동남아시아의 내륙의 자원 생산지와 항구간 물자 수송을 원할하게 하고, 반란 지역으로 군대가 신속하게 이동하는데 기여했다. 이로 인해 철도는 반란군, 독립군, 아나키스트 단체들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

2번의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동남아시아는 식민제국에서 독립했지만, 유럽인들이 남기고 간 철도를 제대로 활용할수 없었다. 식민제국 통치 시절에 철도는 식민지인들이 부설하게 했지만 철도 주요 기술은 식민지인들에게 절대 공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립직후 동남아시아의 정세는 매우 혼란스러워서 내전이 발발했고 철도를 포함한 인프라가 파괴되었다. 군부&공산주의 독재정권은 도로 인프라 위주로 투자를 하여 아직까지도 철도 인프라 개량을 못하고 있다.


3. 철도 현황[편집]


동남아시아의 철도 총길이는 25,751km이다.[2] 이중에서 미얀마의 철도는 40%를 차지하고, 인도네시아의 철도는 23%, 태국의 철도는 17%를 차지한다.

중국 국경 지역의 철길을 제외한 모든 철길은 미터 궤간으로 되어있다.

미터 궤간&표준궤 구간을 합친 전철화 구간은 1,413km이다. 이중 대부분이 광역철도지하철이다.

4. 여객 수송[편집]



5. 화물 수송[편집]



6. 국가별 철도 환경[편집]



6.1. 베트남의 철도 환경[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의 철도 환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태국의 철도 환경[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국의 철도 환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말레이시아 국장.svg
말레이시아 관련 문서
Malaysia

[ 펼치기 · 접기 ]
상징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역사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정치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경제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국방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교통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문화
문화 전반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언어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사회
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기타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3:15:19에 나무위키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라 내부 도시철도망 정비 위주다. 간선철도망은 우드랜즈 역과 말레이시아 JB 센트럴 역 간 운영되는 환승용 인터시티 셔틀열차 뿐이고, 그나마도 싱가포르가 아닌 말레이 철도에서 운영한다.[2] 한국 철도 총 연장 길이의 5배 갸량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