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입구역

최근 편집일시 :

東大入口驛 / Dongguk University Station

동대입구
파일:Seoulmetro3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
Dongguk Univ.
한자
東大入口
중국어
东国大学
일본어
東大入口(トンデイック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지하 256 (장충동2가 199-3번지)
운영 기관
3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3호선
1985년 10월 18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무한도전 촬영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1. 개요[편집]


수도권 전철 3호선 332번[1]. 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지하 256 (장충동2가 199-3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동대입구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인근에 동국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초 '장충'이란 이름으로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동국대학교 부지를 지나가는 바람에 보상 차원에서 개통 직전에 동대입구역으로 급히 역명을 바꾸게 된다. 다만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숙대입구역, 총신대입구역과는 달리 병기역명으로 살아남지는 못했다. 지하철이 학교 부지 지하를 지나가기 때문에 학내 곳곳에서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이 진동을 가장 느끼기 쉬운 곳은 정보문화관P동 1층의 좌선실. 조용한 자아와 명상 수업을 듣고 있으면 몇 분 간격으로 땅바닥이 진동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학내 커뮤니티 디연에 따르면 체육관 쪽문 쪽에 위치한 원룸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가 있다고 한다.

한때 '신라면세점'을 병기역명으로 제정했었다가 현재는 사용계약 만료로 표기하지 않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 (신라면세점)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동대입구 역명만 방송한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장충동2가에 있는 역이며 3번과 4번 출구는 장충동1가에 있다. 역명답게 동국대학교가 바로 가까이 있고, 그 앞에 장충단공원장충체육관, 서울신라호텔, 장충파출소 등이 있다.

4번출구에서 약수동 방향으로 500m를 가면 3 ·6 호선 약수역이 나온다.[2]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장충체육관과 연결되며 출구 앞에는 장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쓰는 프로배구 GS칼텍스 서울 KIXX서울 우리카드 우리WON의 포토존이 세워져 있다. 장충체육관에서 배구 경기가 열릴 경우 5번 출구 바로 앞에 구단 버스를 세워져 있어 경기가 끝나면 선수들의 퇴근길을 보려는 팬들 때문에 출구 앞이 혼잡하다.

6번 출구에서 동국대학교 혜화문까지 120m 정도 떨어져 있고 걸어서 2~3분 정도 걸린다. 혜화문까지 가는 길은 극심한 오르막길. 장충단공원 에스컬레이터가 2010년 개통되었고 6번출구 에스컬레이터까지 콤보로 완비되어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문화관이나 학술관은 오르막을 오르지 않아도 되지만 사회과학관이나 경영관 등으로 갈 경우 또 계단이나 오르막길을 걸어야 하며 체력 소모가 심하다.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으나 잦은 운행중단과 모기떼의 습격이 문제. 만약 혜화관 4층 이상의 높이로 올라갈 경우 차라리 충무로역에서 내리는 편이 낫다. 신공학관·기숙사쪽 골목으로 와서 급행 엘리베이터를 타면 바로 팔정도까지 올라올 수 있다.

장충체육관은 주로 배구 및 씨름 경기가 진행되며, 각종 문화행사도 하고 있다. 그리고 반대편으로 나가면 족발덕후들의 성지인 장충동 족발골목이 자리잡고 있다. 그 외에도 동대문 인근 숨은 맛집들이 많다. 이 역에서 한 블록만 위로 올라가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거리가 나온다. 또한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빵집태극당[3]이 2번출구 앞에 있다. 특히 ‘모나카 아이스크림’으로 유명하며 옛날 분위기가 남아 있어서 중장년층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하지만 과거의 안 좋은 위생 상태는 여러 번 방송을 탄 바 있었고 그래서 태극당에서는 이미지 쇄신을 위해 2015년 경 개점 70주년[4]을 앞두고 대규모 리뉴얼공사가 이루어졌다.

2번 출구로 나가서 태극당 옆 골목길로 조금 올라가면 타이완 불교 사원인 서울불광산사가 있다.

이 역 사거리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 길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방향이 전부 오르막길이다. 또한 6번 출구에서 내려서 장충단공원 방향으로 가면 남산공원으로 가는 길이 나오며[5], 남산순환버스 02번, 04번과 국립극장으로 가는 셔틀버스(공연 시간 전 한정)를 탈 수 있다.

3번 출구 앞에 종이나라 빌딩이 있는데, 색종이 제조 업체인 종이나라가 소유 중인 빌딩이다.(본사는 충주시 소재) 이 건물에는 종이나라박물관, 도서출판 종이나라, 종이문화재단 등이 있다. 종이나라박물관의 관람 시간은 아침 9시 30분부터 저녁 6시이며, 5시 30분에 입장을 마감한다. 일요일 및 국가공휴일에는 휴관한다.

4번 출구는 2020년 4월 8일부터 2020년 6월까지 출입구 캐노피 공사로 인해 임시폐쇄 된 적이 있었다.

  • 1번 출구: 대한간호협회, 충무초등학교, 장충동2가, 장충문화체육센터, 퇴계로 방면
  • 2번 출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 쌍림동, 태극당
  • 3번 출구: 광희문 방면, 장충동1가, 장충동주민센터,
  • 4번 출구: 장충동주민센터, 다산치안센터
  • 5번 출구: 서울신라호텔, 장충체육관, 중부수도사업소, 신라면세점
  • 6번 출구: 공연예술박물관, 국립극장, 동국대학교, 남산공원, 남산서울타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장충단공원, 장충동2가, 장충치안센터


4. 무한도전 촬영[편집]


  • 2007년 서울구경특집에서 정형돈이 하하를 배신하고 지하철을 타러 가는 장면이 이 역에서 촬영되었다.

  • 2008년 지못미 특집에서 전진이 역사 내 대합실에서 거리공연 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 2010년 무한도전 텔레파시특집에서 정준하와 하하가 장충체육관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촬영되었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동대입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5,674명
26,962명
26,569명
25,883명
24,387명
23,966명
24,318명
23,882명
24,239명
25,779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7,257명
28,425명
26,860명
25,313명
25,333명
24,967명
25,207명
25,192명
24,541명
25,182명
2020년
13,144명

하루 평균 2만 5천여 명이 꾸준하게 이용하는 역으로, 놀랍게도 2000년과 2017년의 이용객 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다. 다만 도심지의 역인 것을 감안하면 이용률은 굉장히 저조한 편이다. 실제로 사대문안에 위치한 역들 중 가장 이용률이 저조한 역이다. 동국대학교를 끼고 있어 대학 수요가 있고, 장충체육관이 있어 배구팬 수요를 잡을 수 있고, 신라면세점, 서울신라호텔과 장충동 족발거리와 남산행 버스[6]의 기점이어서 관광객들을 끌어모을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감안하면 의외의 결과인데, 가장 중요한 상권/업무지구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기 때문이다.[7] 학생들을 노린 술집이나 코인노래방 등도 대부분 충무로역에 가깝기 때문에, 집에 가는 학생들이 동대입구역이 아닌 충무로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충무로역은 3,4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환승역이며 학교 신공학관에 설치된 급행 엘리베이터와 가까우므로 동국대학교 학생들은 동대입구역이 아닌 충무로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8]


6.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185181.jpg

충무로




약수
3호선 역 중에서 종로3가역, 남부터미널역과 함께 붉은색 벽돌로 만들어진 역 중 하나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0:01:59에 나무위키 동대입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정 전 22번[2] 은평 마포 용산 등 6호선 역을 이용한 사람들은 약수역을 통해 동국대학교를 간다.[3] 군산에 위치한 이성당보다 약 1년 늦은 1946년 명동에서 개업하였다. 최근에는 복고 마케팅으로 서울시내 여러 곳에서도 분점을 개설하여 2021년 현재는 이태원, 인사동, 여의도 더현대 서울에 분점을 개설했다.[4] 참고로 현재의 건물은 1973년에 지어졌다.[5] 사실 5번 출구로 나와 장충체육관을 끼고 돌면 신라호텔 뒤쪽으로 해서 서울 성곽을 따라 걸어 올라갈 수 있는 길이 하나 더 있긴 한데, 여긴 애시당초 입구 위치를 모르면 찾기가 불가능할 정도로 입구가 요상하게 숨어 있다.[6] 성수기 기간에 남산순환버스 승차시 이 역에서 이용하기에는 굉장히 쉽지 않다. 02번도 충무로역에서 타야 그나마 안정적이며, 03번은 서울역, 05번은 명동역에서 타지 못하면 앉아가기에는 이미 늦었다. 입석 또한 동대입구역에서 다 못태우고 다음, 다다음 버스를 타고도 끼어가는 상태로 남산을 올라가기 때문에 불편함이 매우 크다.[7] 아무래도 중구는 유동인구가 많은 이유다.[8] 충무로역 이용객 수가 모두 4호선에 다 집계돼서 3호선 이용객 수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건 4호선을 이용하는 승객이 더 많다는 것이다. 게다가 4호선 충무로역 다음역이 명동역이라는점 때문인지 요즘은 충무로가 아닌 명동으로 가는 바람에 완전히 4호선 쪽으로 통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