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 전투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
북한군의 남침
6월
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강릉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옥계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
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
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
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
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
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
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
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
1월
1.4 후퇴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
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
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
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
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 평양 대공습


전선 교착
6·7월
도솔산 전투


8월
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
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
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
1월
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
장단-사천강 전투


7월
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
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
3월
폭찹힐 전투


5월
M-1고지 전투


6월
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
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배경과 전개과정


1. 개요[편집]


6.25 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 25일부터 26일까지 경기도 이담면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북한군은 서울을 조기 점령하기 위해 동두천·포천에서 의정부로 이어지는 경로에 병력을 집중시켰는데, 북한군 제1군단 제3사단이 운천-포천 방면을, 제4사단이 연천-동두천 방면을 맡았다.

한편 이 당시 일대의 38선 경비는 (구)수도사단, 지금의 제7보병사단이 맡고 있었는데, 서쪽 동두천은 제1연대가, 동쪽의 포천 방면은 제9연대가 담당하고 3연대는 예비대로 이들의 후방을 담당하고 있었다.

하지만 사단예비인 제3연대가 수도경비사령부로 예속이 변경되고, 대신 충청남도 온양에 주둔중인 제2사단 제25연대가 배속되어 6월 15일까지 의정부로 이동하도록 되어있었다. 그러나 제25연대는 병영 문제로 전쟁 발발 직전에도 오지 못한 채 경상도 빨치산이나 소탕하고 있었고, 그렇게 제7사단은 예비연대가 없는 상태와 주말 외출·외박으로 인해 4,500여 명만이 부대에 잔류한 채 6·25전쟁을 맞이하게 되었다.

2. 배경과 전개과정[편집]


1950년 6월 25일 남침을 시작한 북한군 제4사단은 전곡에서 동두천에 이르는 국도 방면으로 제16연대를 투입하고, 파주 적성면 적암리(積岩里)에서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鳳岩里)에 이르는 도로에는 제18연대를 투입했다. 전차를 앞세워 두 갈래로 남하한 북한군은 공격을 시작한 지 3시간 만에 국군의 1차 방어선을 돌파했다.

북한군의 남침이 시작되자 제7사단은 감악산(675m)-마차산(588m)-소요산(587m)-천주산(424m)으로 이어지는 고지에 주방어선을 구축해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하려 했다. 38선 경비를 담당하던 제1연대 제2대대 대대장 이의명은 북한군의 진격을 관측하고 연대장 함준호를 찾아가 적의 진격을 보고하였다. 제2대대는 소요산에서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했고, 제1대대는 마차산에 투입되었다. 그리고 제3대대는 봉암리 일대의 고지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제1대대가 마차산의 방어진지에 투입되었을 때 북한군은 이미 이곳을 지나 봉암리 방면으로 남하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요산에서 북한군의 진격을 저지하던 제2대대도 탄약 보급이 지연되면서 동두천으로 철수했다. 북한군은 전쟁을 일으킨 25일 밤에 곧바로 동두천에 진입했고, 국군 제1연대 제2대대는 시가전을 펼치다가 양주 덕정리로 철수했고, 이 무렵 동쪽 포천에서도 북한 3사단과 국군 9연대간의 포천 전투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포천에서도 북한군의 진격을 막을 수 없게 됨으로서 (동두천과 포천 밑으로 남하하는) 북한군을 저지하기 위한 의정부 전투가 시작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0:35:09에 나무위키 동두천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