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쇄환전/우사미 스미레코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동방쇄환전




1. 캐릭터 정보
2. 스킬
2.1. 액티브 - 텔레포테이션
2.2. X - 총부 『3D 프린터 건』
2.3. C - 염력 『사이코키네시스 어플』
2.4. V - 염력 『텔레키네시스 전파탑』
2.5. B - 염력 『사이코플로전』
2.6. F - * 환시하라! 이세계의 광기를! *


1. 캐릭터 정보[편집]


동방쇄환전(東方碎幻戰) ~ Daydream Breaker
파일:슴이레코.png
이름우사미 스미레코
이명비봉클럽 초대 회장
사정거리455(원거리)
이동 속도295
공격 속도2.4
시전 속도0.3
후 딜레이2.1
회전 속도0.6
기본 공격력15~21(속성 제외)
18 + 1.75
민첩 13 + 2.5
지능19 + 1.75


2. 스킬[편집]




2.1. 액티브 - 텔레포테이션[편집]


액티브 - 텔레포테이션
파일:BTNBlink.jpg염력을 이용하여 빠르게 앞으로 이동한다.

업그레이드 효과 : 쿨다운이 5초가 되지만 마나소모량이 180으로 증가한다.


2.2. X - 총부 『3D 프린터 건』[편집]


총부 『3D 프린터 건』
파일:BTNSumireko1.jpg보는 방향으로 총을 쏘아 처음 맞는 적에게 절대 데미지를 가하고 1.5초간 기절시킵니다. 시전자는 반동으로 인해 1초간 기절합니다. 해당 스킬로 적이 죽을 경우 관통합니다.

마스터 효과 : 250거리 내의 적을 맞춘다면 데미지가 45% 증가한다

레벨 1 - 75데미지
레벨 2 - 150데미지
레벨 3 - 225데미지
레벨 4 - 300데미지
레벨 5 - 375데미지



2.3. C - 염력 『사이코키네시스 어플』[편집]


염력 『사이코키네시스 어플』
파일:BTNSumireko2.jpg스마트폰으로 대상을 조작하여 행동불가로 만들어 띄워올립니다. 지속시간이 지나면 대상은 떨어져 그 주변 300범위에 1초 기절과 데미지를 동반합니다. 대상은 기절하지 않으며, 33%의 데미지만 받습니다.

마스터 효과 : 아군 또는 자신에게 사용할 수 잇고, 떨어뜨릴 위치를 400거리 내에서 지정할 수 있다. 아군일 경우 행동을 방해하지 않고, 낙하 거리와 지속 시간이 2.5배가 된다.

레벨 1 - 90데미지, 1초
레벨 2 - 145데미지, 1.25초
레벨 3 - 200데미지, 1.5초
레벨 4 - 255데미지, 1.75초
레벨 5 - 310데미지, 2초



2.4. V - 염력 『텔레키네시스 전파탑』[편집]


염력 『텔레키네시스 전파탑』
파일:BTNSumireko3.jpg지정 위치에 염력으로 전파탑을 10초간 세웁니다. 전파탑 근처에 적이 지나가면 무너져 그 방향에 있던 적들에게 일정 피해를 가합니다.

마스터 효과 : 쿨다운이 4초에서 2.5초로 감소

레벨 1 - 55
레벨 2 - 100
레벨 3 - 145
레벨 4 - 190
레벨 5 - 235



2.5. B - 염력 『사이코플로전』[편집]


염력 『사이코플로전』
파일:BTNSelfDestruct.png자신의 공격에 염력을 실어 추가 범위 데미지를 얻지만, 매 공격 시 마나가 감소합니다.

마스터 효과 : 범위가 325에서 415로 증가

레벨 1 - 30데미지, 마나 10
레벨 2 - 55데미지, 마나 15
레벨 3 - 80데미지, 마나 20

오브 이펙트
버프 플레이서



2.6. F - * 환시하라! 이세계의 광기를! *[편집]


* 환시하라! 이세계의 광기를! *
파일:BTNSanae4.jpg지정 범위에 오컬트를 끌어모아 쏟아붓습니다. 오컬트를 모으기 위해 1.2초의 채널링이 필요하며, 모인 오컬트는 4초동안 지정 범위를 폭격합니다.

레벨 1 - 0.25초당 영웅은 175/맞는 영웅 수 데미지, 유닛은 50 데미지, 쿨다운 140초

BGM : 라스트 오컬티즘 ~ 현세의 비술사
BGM : 소녀비봉클럽[1]
MK II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3:09:36에 나무위키 동방쇄환전/우사미 스미레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사미 스미레코, 우사미 렌코, 마에리베리 한이 5초내로 BGM을 연속재생할 경우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