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대교

덤프버전 :



하류 방면
한강대교
한강의 교량
상류 방면
반포대교
동작대교
銅雀大橋 | Dongjakdaegyo(Bridge)


파일:namu_동작대교_전경.png

서빙고로
가양 방면
한강대교
← 2.0 km
파일:Cityroad_kor_70m.svg
강변북로

14
남양주 방면
반포대교
1.0 km →
개화 방면
여의상류IC
← 4.2 km
파일:Cityroad_kor_88m.svg
올림픽대로

강일 방면
반포대교
1.7 km →
진접 방면
이 촌
4호선
오이도 방면
동 작
동작대로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간체자
铜雀大桥
가나·신자체
銅雀(トンジャク大橋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6가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개통
1984년 11월 14일
시공
대우건설
관리
도로교
서울특별시
4호선
서울교통공사
길이 / 폭
길이 1,330m
철도교 11.4m, 도로교 28.6m (4차선)
구조형식
철도교
랭거아치판형교
(Plate Girder Langer Arch Bridge)

도로교
강상판합성상형교
Steel Box girder Bridge with steel plate deck Bridge)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교
(Reinforced Concrete Slab Bridge)

1. 개요
2. 교통
2.1. 동작대교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
3. 문제점
3.1. 북단 연결 문제
3.2. 강변북로 진출입 문제
3.3. 올림픽대로 진출입 문제
4. 창작물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강변마다 울창한 숲이 우거지면

연인들이 속삭이며 걸어가리라

동작대교가 도심으로 이어지면

다시 태어나는 서울은 낭만의 도심

이용 - 《서울》 중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서초구 반포동동작구 동작동을 잇는 길이 1,330m, 폭 40m의 가운데 너비 11.4m의 복선 철도교가 존재하고 양측에 너비 11.8m의 편도 3차로 도로가 있는 다리이다. 한강의 11번째 다리로 반포대교한강대교 사이에 있는 복합 교량이다. 1978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11월에 준공하였다. 특히 동작대교 남단은 서울을 강북강남, 그리고 영등포 셋으로 가르는 꼭짓점 역할을 하는 중요한 지점이다.

동작대교 남단이 유독 넓은 이유는 원효대교처럼 통행료를 징수하기 위해 요금소 설치를 하려 했던 흔적 때문이다. 당시 대우개발이 원효대교처럼 운영하려 했으나 자금조달 문제로 공사 도중 서울시에 그대로 넘겨 실제로 통행료 징수가 되지는 않았다.[1]

다리 가운데로 수도권 전철 4호선 이촌역-이수역 구간 철교가 지나고 서울 지하철 9호선과의 환승역인 동작역이 이 교량 위에 있다. 구간은 정확히 강변북로 인근부터 이수역 방면 터널까지이고 그 사이에 동작역이 있는 구조이며, 즉 구일역, 부산원동역처럼 철교 상에 역이 있는 구조이다. 각각 3차선으로 된 도로교가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인도 폭은 5m이다. 본교와 접속교, 진출입램프(8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최대경간 80m로 외관상 산뜻하고 경쾌하며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고 주위환경과도 잘 조화되도록 건설된 교량이라 할 수 있다.

2020년 하반기부터 안전속도 5030 정책으로 60km/h에서 50km/h로 하향되었다가 2022년 4월부터 다시 50km/h에서 60km/h로 상향되었다.[2]


2. 교통[편집]


용산구 이촌동은 과거 조선시대에 서빙고라고 불린 곳으로 얼음을 채빙하여 저장하던 곳이고, 동작구 동작동은 과거 동재기 나루라 하여 전라도충청도 지역에서 올라온 상인들이 한양으로 입성하기 위하여 나룻배를 타던 곳으로 수도 서울의 관문이자 요충지였다. 한강 남단으로 건너가면 국립서울현충원과 연결된다.

이 교량은 통행량이 많은 한강대교반포대교 사이에 위치하여 강북의 동부이촌동과 강남의 동작동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인근교량의 교통량 일부를 흡수하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을 통과시키는 병용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정부과천청사, 서울대공원이 있는 과천시로 연결된다.


2.1. 동작대교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편집]




3. 문제점[편집]


북단이 다른 교량들과 달리 강북 지역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강변북로/올림픽대로에서의 진출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3.1. 북단 연결 문제[편집]


서울 시내의 한강 교량 중 최남단에 있으며 주한미군 용산기지로 인해 유일하게 목이 잘린 한강 다리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다리이다. 1970년대 당시 원래의 계획은 동작대교 북단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의 도로(후암로-소월로)를 뚫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미군기지 한복판을 뚫어야 한다는 문제 때문에 북단의 연결 도로가 없이 목이 잘린 채 남게 되었다. 당시 골프장으로 쓰였던 용산 가족공원이 바로 이 앞에 있다. 사실 군사적인 이유라기보다는 경제적으로 많이 빈곤했던 시절에 동작대교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한가롭게 골프치고 있는 미군들을 보면 반미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겠다는 우려가 더 컸다는 말이 있다.

이곳에 가보면 볼 수 있지만 동작대교와 연결된 고가도로가 도중에 끊겨있고 수직 방향으로 맞닿은 도로와 연결되게끔 작은 진입로들이 이 끊긴 고가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동작대교 바로 북쪽으로는 길이 없으나 용산미군기지 내에는 후암로의 연장선상에 해당하는 도로가 계속 이어지며, 이태원로와 입체교차하는 고가차도까지 건설되어 있다. 현재 이 동작대교 북단 연결도로에 해당하는 도로는 미군기지 관내 전용도로로 이용 중이다.

현재는 용산 미군기지의 이전 때문에 도로연결 계획이 다시 떠올랐으며, 미군기지가 이전하는 2018년부터는 목을 이어 붙인 동작대교를 볼 수 있을 줄 알았으나 여기에 용산공원을 조성하는 계획이 생기면서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다만 용산공원 하부를 지하도로로 연계한다는 계획이 있기는 하다.[3] 만약 실현된다면, 한강 중심부 일대의 교통난은 상당히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북단에서 연결되는 도로가 없어서 그런지, 이 다리를 이용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서울 버스 502서울 버스 0411뿐인데 이조차도 아래 문제점 때문에 경로가 꽤나 복잡하다.


3.2. 강변북로 진출입 문제[편집]


동부이촌동 등지의 지형과 북쪽을 가로지르는 철길 경원선, 미군기지 등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진출입 패턴이 상당히 복잡하다.

강변북로 구리 방면→동작대교 강남 방면 진입, 동작대교 강북 방면→강변북로 구리 방면 달랑 2가지 선택지뿐인데, 진출입 제한이 심하거나(한강대교, 한남대교, 서강대교, 원효대교) 아예 불가능한(동호대교) 다리들도 있다지만 다른 다리들이 강북 도심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왠지 억울하다. 어거지를 부려서 동작대교에서 서빙고로, 서빙고지하차도를 P턴으로 거쳐 일산 방면으로 갈 수는 있지만, 강변북로 일산 방면에서 강남 방면으로 진입하는 것은 더 어려워서 일단 신동아쇼핑센터 앞 진출로를 이용하고, 이촌지하차도를 지나 이촌동을 가로지른 후 이촌동 입구의 삼거리와 이촌역 앞 철길건널목을 지난 후 서빙고로의 동작대교 진입램프를 이용해야 하므로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낫다. 한강대교 북단에서 철길 쪽으로 바로 빠지는 법도 있는데 여기도 불편하긴 마찬가지이나, 강변북로가 막히지 않을 때는 이 방법이 훨씬 낫다. 강변북로 일산방면 운행 시 성수대교 다음의 동호/한남/반포/동작대교 어느 곳에서도 강남 방향으로 진입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3.3. 올림픽대로 진출입 문제[편집]


기본적으로 올림픽대로 공항 방면 → 동작대교 강북 방면 진입만 된다. 반포대교 지나자마자 4차로의 지하차도를 이용해야 한다. 올림픽대로 종합운동장 방면에서 동작대교 강북 방면으로 진입하려면 여의상류 IC에서 일찌감치 노들길로 빠져나와 현충원 앞까지 와서 좌회전 후 구반포 방면으로 P턴을 해야 동작대교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대교 강남 방면에서는 올림픽대로 어느 방향이든 직접 진출이 안 되고, 현충로 방면 또는 이수교차로 방면으로만 진출할 수 있다.


4. 창작물[편집]


특유의 분위기 때문인지 동호대교와 함께 각종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장소이다.

  • 영화 괴물에서 동작대교 남단 하부에서 주인공 가족과 괴물이 사투를 벌이는 장면이 나온다.


  • 젠틀맨(싸이)의 뮤직비디오도 여기서 촬영했다.[4]


  • 펜트하우스 II의 등장인물 오윤희가 동작대교에서 투신하는 것처럼 묘사되는 장면이 나온다. 자살을 암시한 편지를 남기고 다리 난간에 선 오윤희의 모습이 지하철이 지나간 후 사라지는 장면으로 암시된다. 그러나 해당 드라마를 쓴 김순옥 작가 특성상 죽지 않았을 거라는 의견도 많은 편이었다. 시즌2 13회에서 투신하려던 것이 아닌 경찰서에 가 민설아 살인을 자수하러 간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파일:attachment/dtqerqwerqwer.jpg

  • 음악 유튜버 과나의 ‘나만 찌질한 사람인가봐’ 뮤직비디오 초반에 등장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
천원짜리 변호사 티저 (32초부터)
설정 오류가 있다면 동작대교 속도 제한 50km/h 표지판이 부착되었다.

  • SBS 드라마 모범택시 2 1화에서 실종된 아들의 아버지가 투신 하려던 장소로 나온다.


  • 가수 팔황단의 곡 파란등의 가사가 동작대교를 지나는 버스인 서울 버스 502를 소재로 삼고 있다. 뮤직비디오 또한 동작대교에서 촬영하여 해당 버스가 지나가는 모습이 담겼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
정확한 위치는 동작대교 상행선에서 서빙고로 방향으로 합류하는 램프로 추정된다.[5]

  • 배민라이브 Ep.24에서 정밀아의 서시, 서울역에서 출발을 이곳에서 촬영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 ||

서시
서울역에서 출발
자세히 보면 팔황단이 파란등 뮤비를 찍은 곳과 똑같은 위치이다.


5. 기타[편집]


서울시에서 과속 차량이 가장 많은 교량이기도 하다. 4호선 전철 안에서 보면 전철을 가볍게 제치고 나가는 차량은 죄다 과속 차량이라 보면 된다. 전철은 80km/h까지도 달리지만 도로의 제한 속도는 50km/h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북단으로 직접적인 연결이 되지 않아 목이 잘린 동작대교 특성상 통행량이 적어서 그런 일이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작대교 남단에는 양쪽에 전망대처럼 생긴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서쪽 건물은 노을카페, 동쪽 건물은 구름카페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굉장히 좁은 구조지만 북카페와 간단한 편의점, 스무디킹 등의 시설이 들어와 있다. 전망이 좋을 수밖에 없는 위치라 인기가 좋은데, 내부에 화장실이 없으므로 볼일은 내려가서 근처 화장실로 가야 한다. 옥상은 개방되어 있어 바람이 심하지 않다면 올라가서 경치를 구경할 수 있다. 이곳은 원래 2006년 서울시의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강을 지나는 다리 여러 곳에 카페가 건설되었는데 그때 건설된 곳들 중 하나로, 낮은 접근성과 고가의 메뉴 등 문제로 인해 원래 입점한 업체가 나간 후 방치와 업체 재선정, 테마 변경 등의 우여곡절을 겪은 후 현재의 모습에 이른다.

2010년 2월, 이 다리와 반포대교 사이에 띄운 플로팅 아일랜드의 구속체가 끊어질 경우 플로팅 아일랜드가 동작대교와 충돌해 다리가 붕괴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서울시 측에서는 '200년만의 홍수가 와도 괜찮다'라는 것 같다고 하였다.

동작대교에서 김포반도가 움푹 들어간 곳까지 약 35km 가량 한강이 거의 일직선으로 뻗어있다. 물론 강폭의 변동은 있지만, 전체적인 일직선형은 유지한다.

중앙에 서울 지하철 4호선 철교가 있는데 도로 교각과 철도 교각이 같이 찰싹 붙어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잠실철교나, 영종대교 하단에서 볼 수가 있다. 동호대교의 경우 철교 양 옆에 도로 교각이 양갈래로 있긴 하나, 동작대교와 달리 찰싹 붙어있지 않고, 따로 따로 건설하여 분리되어 있는 형태이다. 지하철 4호선 철도는 한강 남단을 통과하자마자 바로 동작역이 나오고 한강 북단은 한강을 통과하자마자 바로 지하구간의 이촌역으로 내려간다. 내려가는 과정에 강변북로 운치를 잠시 볼 수 있으며 이 후 창동역까지는 지상경관을 볼 수 없다. 반대편의 경우, 동작역과 동작역의 하행 방면 터널을 지나고 약간의 지상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이수역에 이르는데, 여기서부터 하행은 범계역까지 땅 속의 지하구간만 달리므로 금정역까지 지상경관을 볼 수가 없다. 반대로 사당행 열차라면 이 구간으로 끝이다.
[각주]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42:27에 나무위키 동작대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