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강

덤프버전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 펼치기 · 접기 ]
한강권역
한강수계
안성천수계
양양남대천수계
삼척오십천수계
강릉남대천수계
한강서해권수계
한강동해권수계
낙동강권역
낙동강수계
형산강수계
태화강수계
영덕오십천수계
서낙동강수계
회야강수계
낙동강동해권수계
낙동강남해권수계
금강권역
금강수계
삽교천수계
만경강수계
동진강수계
금강서해권수계
섬진강권역
섬진강수계
섬진강남해권수계
영산강권역
영산강수계
탐진강수계
영산강서해권수계
제주도권역





동진강
東津江 | Dongjin River

파일:external/www.jjan.kr/374574_88746_2614.jpg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 종산리 묵방산 여우치 마을의 빈시암에서 발원하여 전라북도 남부를 북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유로연장 51.03km, 유역면적 1,136㎢이다.

동진강이라는 이름은 강 하구에 위치한 부안군 동진면의 동진(동쪽 나루터)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전북에서는 4번째, 한국 내 본류/지류 국가하천 중에는 유로연장과 유역면적 공히 25번째 순위(본류 기준으로는 열번째)의 하천이다.


2. 상세[편집]


사실 동진강의 발원지는 그동안 논란이 많았다. 이는 각 기관과 문헌마다 기록이 일치하지 않았는데, 일제 강점기 때 대규모 치수사업으로 물길에 많은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수계와 인공수계로 사이에서 변화가 컸는데, 인공수계 쪽으로 본류를 형성하면서 문제가 커졌다고 한다. 이는 발원지와 본류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일까지 만들어냈다.

기록상 동진강의 발원지 후보는 4곳으로 나타났었다. 먼저 정읍 산외면 종산리 묵방산 남쪽 계곡 여우치 마을의 빈시암, 두 번째는 정읍 내장산 까치봉 북동쪽 계곡의 까치샘, 세 번째는 정읍 산외면 상두산, 네 번째는 정읍 산외면 목욕리 촛대봉 남동쪽 계곡이었다.

보통 발원지는 하구에서 가장 먼 곳을 발원지로 본다. 이렇게 되면 내장산 까치샘이 발원지가 될 것으로 보았으며, 실제로 조선시대 기록에는 내장산에서 발원하여 정읍천을 따라 흘러간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그래서 한동안 국가기관에서도 이곳을 발원지로 보았었다.[1]

그러던 중 발원지가 확정된 듯하다. 가장 유력한 장소로 꼽혔던 내장산 까치샘이 아닌 묵방산 여우치 마을의 빈시암으로 정해졌다. 정해진 시기가 상당히 이른데도 여전히 동진강의 발원지가 중구난방으로 알려진 것을 보면 홍보가 시급해 보인다.[2]

뱃길로는 별로 이용되지 않으나, 호남평야의 남부를 관개한다. 특히 유역변경식 섬진강댐(옥정호)에 의해 역류되는 섬진강의 물을 받아들임으로써 농업용수의 혜택을 크게 받고 있다. 주위에는 정읍시, 김제시, 부안군 등 농산물의 집산지가 있다.

호남선, 호남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가 이 강을 가로지른다.

정읍시 신태인읍 부근에서 동진강 직강화 공사(굽어흐르는 강을 곧게 함)를 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문제집에 관련 문제가 있다.

새만금 방조제로 인해 황해로 흐르지 않고 새만금호로 흘러가게 되었다. 하지만 인공수로를 만들어 방조제 갑문까지 강을 연장할 계획이며, 건설이 진행 중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45:35에 나무위키 동진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본류는 정읍천이 아닌 태인천으로 규정했다. 이로 인해 발원지 논란이 지속되게 되었다.[2] 하지만 2023년 시점에서 국토교통부가 가장 최근 발행한 2018.12.31 기준 한국하천일람 93쪽을 보면 동진강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산의 까치봉(717m) 북쪽 계곡(정읍천 상류)로 되어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