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볼 Z KAI

최근 편집일시 :


파일:드래곤볼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구 TVA
파일:드래곤볼(애니메이션).svg

파일:드래곤볼 Z 로고.png

파일:드래곤볼_GT_로고.png
신 TVA
파일:718e6939edffd5b00a4883c5ec787d5f.png

파일:DragonBall Super logo.png

파일:드래곤볼다이마.jpg




드래곤볼 Z KAI (2009~2011)
ドラゴンボール 改
DRAGON BALL Z KAI


{{{#373a3c,#dddddd

작품 정보 ▼
장르
격투, 초능력
원작
토리야마 아키라
시리즈 디렉터

시리즈 구성협력
오바라 코헤이(小原康平)
사와타리 카즈타카(佐渡和隆)
캬라멜 마마(キャラメル・ママ)
치프 애니메이터
캐릭터 디자인


치프 디자이너

편집

오디오 디렉터

음악
야마모토 켄지키쿠치 슌스케
애니메이션 제작
토에이 애니메이션
제작
후지 테레비
토에이 애니메이션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9. 04. 05. ~ 2011. 03.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12. 24. ~ 2012. 01. 0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일) 0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방송 (2010~2012)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전 98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변경점
6. 인기
7. 드래곤볼 Z 改: THE FINAL CHAPTERS
8. 국내 방영
8.1. 비판
9. 기념우표 제작
10. 관련 게임
11. 시청률
11.1. 사이어인 ~ 인조인간 셀 전
11.2. 마인부우 전



1. 개요[편집]


파일:718e6939edffd5b00a4883c5ec787d5f.png
드래곤볼 Z KAI는 애니메이션 드래곤볼 Z 20주년 기념으로 방영된 드래곤볼 Z HD 리마스터 재편집판이다.

후지 TV에서 매주 일요일 아침 9시에 방영되었으며 이후에는 원피스가 방영되어 두 개를 '드림 나인'이라고 묶어서 부른다.

일본판 제목은 '드래곤볼 카이(改)'로 고칠 개를 일본어 음독으로 읽어 카이가 됐다.

북미판과 국내판 그 외 해외 방송판 제목인 '드래곤볼 Z KAI'(대원미디어 공홈 기준)는 일본 외 다른 나라에서 방영 시 쓰인 제목이다.


2. 변경점[편집]


  • 분량 압축
    • 기존의 291편에서 159편[1]으로 화수가 줄었고, 원작의 내용을 중심으로 재편집되었다. 스토리 전개가 한층 더 빨라지고, 작붕 컷이 없어졌다. 과거 드래곤볼은 애니가 연재속도를 따라잡지 않기 위해 오리지널 캐릭을 등장시키거나 기합모으기로 시간을 때우는 등 전개가 굉장히 지루했다. 이야기의 시작도 사이어인 편부터가 되어 원작의 사이어인 편~ 마인부우 편 스토리에 딱 맞게 되었다. Z 오리지널 스토리 가릭 주니어 편과 가짜 나메크성, 오공이 저승의 무술대회에 참가하는 부분[2] 통편집되었다. 원작 내용에 적용해도 크게 문제없는 오리지널은 약간의 편집과 함께 그대로 유지되었다.[3] 당시 시청했던 사람들에게는 이미 유명한 사실이지만, 기존의 드래곤볼 Z 애니메이션은 연재 중인 만화 분량을 따라잡은 상태에서 억지로 분량을 만들어내기 위해 지나치게 전개를 늘어뜨린 걸로 악명높았다.[4][5] 초사이어인 변신이나 셀의 '완전체만 된다면…!' 하는 내용으로 등장인물의 똑같은 대사와 장면을 지겹게 봐야했고 그것때문에 몇 편씩 잡아먹은 것은 유명한 얘기. 드래곤볼 改에서는 이런 부분이 많이 수정되었다.
    • 인조인간 편을 끝으로 종료하였고 이후 3년의 공백기[6]를 거친 후 마인 부우 편을 방영, 총 159회분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 사운드
    • 기존의 애니메이션 성우진에서 주연 외에도 몇몇 조연을 유지하고 단역들은 대거 교체했다. 성우가 이미 사망한 경우에는 어쩔 수 없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성우를 변경하여 많은 비판을 들어야 했다. 대표적으로 아직 원판인 유우키 히로가 아직 멀쩡히 살아서 성우를 하고 있는데도 악평이 따라붙던 히라노 아야로 교체한 덴데. 한 편으로 카린 역의 나가이 이치로, 피콜로 대마왕, 역의 아오노 타케시처럼 이 작품이 유작이 된 경우도 있다. 성우가 교체되지 않은 경우에도 재녹음하였으며 효과음 또한 재녹음 하였다.
    • 카이의 BGM은 Z의 BGM을 담당했던 키쿠치 슌스케 대신 야마모토 켄지가 담당을 했다. 이는 키쿠치 슌스케가 드래곤볼 GT부터 강판됐기 때문. 그렇게 카이의 BGM은 Z와는 다르게 현대식 느낌의 음악들로 바뀌었다. 하지만 야마모토 켄지의 BGM 대부분이 표절임이 드러나면서 다시 드래곤볼 Z 시절 BGM으로 복귀해야 했다. 표절임이 드러난 카이의 BGM을 전격 교체하여 키쿠치 슌스케가 담당했던 원래의 드래곤볼Z BGM으로 바꿔 버린 것. BGM도 Z시절의 것을 썼지만 장면마다 조금씩 Z와는 다른 BGM을 사용했다. 그리고 해외에 수출된 더빙판은 1화부터 전부 Z BGM으로 바꾼 버전으로 수출되었다. 그러나 한국판이나 북미판처럼 아직 일본에서 방영중일때 막 일찍 수출한 국가의 더빙판에서는 초기에는 카이 BGM이 나오나 대략 초사이어인 손오공과 프리저의 결투신 해당 에피소드부터 급하게나마 Z BGM으로 바뀌었다. 단 북미의 닉툰에서 방영된 것은 인조인간 17호와 18호가 등장하는 해당 에피소드부터 Z BGM으로 바뀌었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방영된 것은 융더비트의 우주선이 나메크성으로 출발하는 해당 에피소드부터 Z BGM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2013년에 애니박스에서 다시 재방영됐을때 1화부터 전부 Z BGM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스폰서, 아이캐치, 엔딩, 예고편에서는 모든 나라판이 카이 BGM을 썼다.[7]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편곡한 일부 OST나 캐릭터송은 그대로 살아남았다. 그리고 지진으로 인해 미방영된 98화는 DVD&블루레이에 수록된다고 한다.[8] 다만 영미권에서는 주로 야마모토 OST 삽입판[9] > Z 시절 삽입판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10] 참고로 일본판, 북미판, 한국판처럼 일본종영전 수출한 더빙판은 첫 방영당시에는 야마모토 OST 삽입판으로 방영됐지만 그 이후 수출된 더빙판에서는 첫 방영부터 Z 시절 삽입판으로 방영되었다.
    • 98화의 끝과 야마모토 담당 이후인 마인 부우 편부터는 스미토모 노리히토가 새로 담당하게 되면서 삽입곡들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위에서 상기한 대로 여전히 Z 시절의 BGM을 더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기에 호불호는 개인마다 갈리기 마련이지만, 그래도 대체적으로 퀄리티도 좋은데 더불어 호평이 많은 편이다.
    • 마인 부우 편마저도 끝난 뒤에 나온 드래곤볼 신극장판들과 드래곤볼 超의 삽입곡 담당도 스미모토가 맡게 되었는데, 카이 마인 부우 편의 OST가 많이 재사용되기도 했다. 그 전의 분기에도 여러 번 있긴 했지만, 이 점은 특히 미래 트랭크스 편에 들어서서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 영상 편집
    • 여는 곡과 닫는 곡의 영상은 신곡과 함께 신규 영상으로 제작되었다. 사이어인 편~인조인간 편은 본편 내용 전개 및 방영 회수를 주기로 여는 곡과 닫는 곡의 영상이 부분적으로 변경되었다. 첫 번째 오프닝엔 베지터와 싸우는 것과 프리저가 살짝 모습을 비추는 장면. 두 번째는 프리저가 1단계부터 4단계까지 변신하여 초사이어인 오공과 사투를 벌이는 장면. 3번째는 인조인간들이 모습을 비추고 마지막 4번째 오프닝은 17, 18호와 벌이는 난투와 함께 셀이 모습을 비춘다.
    • 강화된 심의 규정 때문에 손오공과 라데츠가 마관광살포로 가슴을 뚫리는 장면의 유혈처리가 수정되는 등 일부의 수정이 가해졌다. 바뀐 장면에서는 손오공이 가슴에 피멍이 생긴 뒤 사망한다. 이것도 어린아이들을 고려해 편집된 것이다. 베지터의 죽음도 똑같은 처리, 그밖에 유혈부분들도 대부분 수정되었다. 다만 피를 토하는 장면이 다 수정은 아니다. 아니 차라리 그러는 편이 덜 어색할지도 모를 정도의 바보수정. 닉툰판에서는 아예 버독의 얼굴의 흉터가 피와 함께 수정됐다. 또한 간간히 나오는 중지를 내미는 표현이 주먹을 쥔 모습으로 수정되었다.[11]
    • 방송은 16:9 와이드스크린이었으나 DVD, 블루레이에서는 4:3 화면비로 수록되었다. 마인부우편은 DVD, 블루레이 모두 16:9로 수록되었다. 대체적으로 원화인 4:3 화면비로 실은 쪽이 더 보기 좋다.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드래곤볼/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드래곤볼 카이/음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회차 목록[편집]


드래곤볼/회차 목록 문서 참고.


6. 인기[편집]


2009년, 20년 만에 리마스터 되어 4월 5일 첫화가 방영되었는데, 시청률은 11.8%. 그 후로는 대략 8~10%의 애니메이션치고 매우 높은 시청률을 오갔다.[12]

하지만 카이는 시청률과는 별개로 반다이의 관련 상품이 잘 팔리지 않았기 때문에 드래곤볼 IP의 매출량은 크게 저조했고 이 결과, 결국 인조인간 편 종영 이후 나중에서야 마인 부우 편이 방영되었다.

Z의 재편집본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들이 그림체가 구리다는 등의 악평을 하기도 한다. 심각하기 이전에 새로 그린 게 아니라 일종의 편집분 재방송. 근데 그게 당연한 게 오프닝과 엔딩은 HD화에 걸맞게 새로 만들어 바꿨는데 정작 오프닝이 끝나고 시작되는 본편은 예전에 만들었던 거에 위 아래를 잘라 16:9를 만들고 화질을 HD화 시키면서 색만 바꾼 거뿐이니 예전 드래곤볼 애니메이션을 모르는 사람이 보면 당연히 낚인다. 참고로 마인 부우 편은 Z의 애니 오리지널 씬들을 거의 그대로 놔뒀다.


7. 드래곤볼 Z 改: THE FINAL CHAPTERS[편집]


드래곤볼 Z 改: THE FINAL CHAPTERS (2014~2015)
ドラゴンボール 改: THE FINAL CHAPTERS
DRAGON BALL Z KAI: THE FINAL CHAPTERS


파일:dragon-ball-super-cover.jpg

{{{#373a3c,#dddddd

작품 정보 ▼
장르
격투, 초능력
원작
토리야마 아키라
시리즈 디렉터

시리즈 구성협력
오하라 야스히라(小原康平)
사와타리 카즈타카(佐渡和隆)
캬라멜 마마(キャラメル・ママ)
치프 애니메이터
캐릭터 디자인

^^
치프 디자이너
^^
편집

오디오 디렉터

음악
스미토모 노리히토(住友紀人)
애니메이션 제작
파일:토에이 애니메이션 로고.svg
제작
후지 TV
토에이 애니메이션
방영 기간
2014. 04. 06 ~ 2015. 06. 28.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svg (2014~2015) / (일) 09: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원방송 로고.svg (2014~2016)
언어
더빙 한국어화
편당 방영 시간

화수
전 61화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2013년도 중반까지는 공식적인 발표가 없었지만, 성우진들이 마인 부우 편 제작에 대한 언급을 하였고 드디어 '드래곤볼 카이 마인부우전' 방영을 2014년 4월 6일부터 시작했다.

2012년 11월 6일, 크리링의 담당 성우인 다나카 마유미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드래곤볼 카이의 마인 부우 편을 더빙하고 있다는 소식을 알렸으며 2013년 4월에는 숀 셰멀[13]카일 허버트[14]가 인터뷰를 통해 드래곤볼 카이의 마인 부우 편을 작업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3년 11월부터는 방영 시기에 대한 소식도 올라왔는데, 매드맨 엔터테인먼트[15]페이스북에 따르면 2014년부터 방영될 예정이라고 하며, 음성 녹음 작업이 끝나는 것을 기다리고 있다고 한다. 이어서 2014년 1월에는 11월 말에 음성 녹음 작업이 끝났으며 2014년 4월부터 방영을 시작한다는 소식이 올라왔다.[16] 드디어 마인 부우 편 방영이 확정 되었다.

사운드마스터링에 다소 문제가 있어서 음성이 작게 들린다.

첫 방영작은 오리지널 에피소드들을 최대한 배제했던 것과는 달리, 마인 부우 편은 오리지널 스토리를 상당히 넣었고 고질적인 시간 끌기 신공을 다시 시전했다.

사이어인 사가에서 셀 사가까지를 98부작으로 마무리 지었는데 마인 부우 사가에 69부작을 할애했다. 첫 방영작도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모두 쳐내지 못했고, 새로 작업한 디지털 작화와 원화와의 이질감이 있는 등 완성도에 문제가 있었지만 원작에 맞춘 스피디한 전개와 완성도 높은 사운드 작업으로 改라 불릴만 했다. (원작은 모노. 카이의 다채널, 스테레오는 완성도가 높다.) 그러나 마인 부우 편은 여러모로 그렇지 못하다. 68부작에 맞추기 위해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대폭 수록하면서 改의 원래 목적과는 멀어지게 되었다. 방영이 중단되지 않고 그대로 이어졌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긴다.

셀 전 편까지 원피스 와 함께 '드림 나인'이라고 불렸으며 후속 방영부터는 원피스와 함께 '스트롱 나인'으로 불린다.


8. 국내 방영[편집]


국내에서는 대원방송애니원에서 2010년 12월 24일 오후 9시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번역은 투니판 Z와 GT를 맡던 강윤미가 꿰찼다가 2기는 조희영, 3기는 이선희로 각각 변경됐으며, 연출은 곽영재 PD, 조연출은 오경석 PD(3기)가 각각 맡았다.


8.1. 비판[편집]


일단 오프닝부터가 악평이 많다. 가사가 지나치게 일본어를 그대로 직역하고 번역체라서 문장이 전체적으로 어색한 느낌도 지울 수 없다. 제일 큰 문제는 오프닝 곡을 잘 들어보면 미묘하게 일본판 코러스음(돗칸돗칸)이 들리는 걸 알 수 있다. 이는 엔딩도 마찬가지. 이런 점은 다행히 2기 오프닝 버전에서는 코러스 없는 MR을 구해 재녹음하여 많이 깔끔해지고 개선되기는 했다.

투니버스판과는 달리 성우진은 전부 교체되었는데[17], 문제는 투니버스에서는 GT를 방영하던 시기에 방영한거라 당연하게 성우진 교체는 기존 성우진에 익숙해졌던 팬들에게 어색함을 주었다. 이 때문에 당시 인터넷에서는 대원 이미지가 불호였던지라 드래곤볼 성우진과 관련하여 굉장하게 까였다.[18]

성우진 자체는 1기만해도 외부 성우[19]랑 전속 비율을 어느 정도 유지해주었지만 2기부터는 새로운 캐릭터 대부분을 2기 성우로 채워넣었고, 새로운 캐릭터 일부마저 기존 배역이 있던 성우들을 중복으로 썼다. 3기부터는 기존 성우진 중 논란이 있던 임하진을 제외하곤 전부 유지시키고, 여전히 새로운 캐릭터는 전속으로 채워넣었다.

그래도 드래곤볼은 페어리 테일이나 미나미가, 원피스, 세일러문보다는 나은게 처음 1기때 캐스팅됐던 조/단역을 맡은 성우들이 다음 기수로 전면 교체당하는 일은 없었다.

그 후 드래곤볼 구극장판 재더빙, 드래곤볼 OVA에서도 카이의 성우진이 유지되었으며, 신작인 드래곤볼 슈퍼마저도 카이 성우진이 유지되어 캐스팅이 굳혀졌다. 베지터 성우인 김승준은 이때부터 연기 스타일을 바꿔서 좋다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 생겼지만[20][21] 김영선은 현재까지도 불호가 많다.

비난이 지속되자 최신 극장판인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대원미디어가 수입을 했는데 더빙없이 자막판만 상영을 했다.


9. 기념우표 제작[편집]


파일:attachment/h240123_sheet.jpg

일본우정에서 기념우표가 나왔다. 2012년 발매된 기념우표로, 17회차 "아니메 히어로/히로인 시리즈"의 도안으로 설정되었다.


10. 관련 게임[편집]


드래곤볼 改(카이)의 이름을 달고 나온건 아래의 두 NDS 게임 정도이다.


11. 시청률[편집]


  • 일본 방영: 2009년 4월 5일~2015년 6월 28일까지 방영
  • 마인부우 전 이전: 2009년 7월 26일, 2010년 1월 3일, 2010년 7월 4일, 7월 25일, 2011년 1월 2일, 2월 27일, 3월 13일 결방
  • 공백기: 3년 (2011년 4월~2014년 3월)
  • 마인부우 전: 2014년 7월 27일, 2015년 1월 4일, 2월 22일, 3월 1일, 3월 8일 결방


11.1. 사이어인 ~ 인조인간 셀 전[편집]


화수
시청률
1화
11.3%
2화
9.8%
3화
9.6%
4화
11.1%
5화
8.8%
6화
9.1%
7화
9.3%
8화
9.2%
9화
9.3%
10화
8.5%
11화
9.0%
12화
10.5%
13화
9.6%
14화
10.7%
15화
10.4%
16화
10.3%
17화
8.2%
18화
6.4%
19화
8.8%
20화
9.2%
21화
6.6%
22화
9.3%
23화
9.1%
24화
7.9%
25화
7.9%
26화
7.2%
27화
9.0%
28화
7.7%
29화
9.4%
30화
8.0%
31화
10.4%
32화
10.8%
33화
10.4%
34화
10.7%
35화
9.9%
36화
9.0%
37화
8.9%
38화
10.0%
39화
8.0%
40화
8.1%
41화
9.6%
42화
10.2%
43화
8.6%
44화
11.9%
45화
9.8%
46화
9.8%
47화[22]
12.3%
48화
11.1%
49화
10.5%
50화
9.3%
51화
10.8%
52화
11.4%
53화
10.9%
54화
10.6%
55화
9.1%
56화
10.7%
57화
11.9%
58화
11.9%
59화
11.1%
60화
9.6%
61화
8.4%
62화
10.9%
63화
9.5%
64화
8.8%
65화
9.6%
66화
9.2%
67화
9.5%
68화
8.7%
69화
9.3%
70화
6.8%
71화
9.0%
72화
7.3%
73화
7.8%
74화
7.7%
75화
10.1%
76화
10.2%
77화
8.5%
78화
10.3%
79화
9.2%
80화
9.3%
81화
8.0%
82화
7.5%
83화
9.6%
84화
9.1%
85화
8.6%
86화
9.5%
87화
8.9%
88화
7.9%
89화
10.1%
90화
9.0%
91화
8.8%
92화
10.1%
93화
8.2%
94화
9.4%
95화
9.2%
96화
11.1%
97화
10.2%
98화
미방영


11.2. 마인부우 전[편집]


99화
5.3%
100화
7.2%
101화
6.4%
102화
7.1%
103화
5.5%
104화
5.9%
105화
6.1%
106화
7.6%
107화
6.4%
108화
6.1%
109화
5.6%
110화
7.0%
111화
6.3%
112화
5.0%
113화
5.6%
114화
6.1%
115화
3.7%[23]
116화
4.7%
117화
5.1%
118화
5.9%
119화
미집계
120화
5.4%
121화
4.7%
122화
5.9%
123화
6.0%
124화
5.3%
125화
6.1%
126화
5.6%
127화
5.7%
128화
5.1%
129화
5.6%
130화
5.0%
131화
5.0%
132화
5.3%
133화
6.5%
134화
4.9%
135화
5.5%
136화
5.1%
137화
5.2%
138화
5.5%
139화
5.2%
140화
6.9%
141화
5.2%
142화
6.2%
143화
4.8%
144화
5.8%
145화
5.6%
146화
5.3%
147화
5.2%
148화
6.8%
149화
6.7%
150화
6.0%
151화
5.8%
152화
6.3%
153화
6.3%
154화
5.7%
155화
6.3%
156화
6.3%
157화
6.5%
158화
6.4%
159화
6.4%

시청률 출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15:33:47에 나무위키 드래곤볼 Z KAI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이의 사이어인편부터 셀편까지가 겨우 98화. 이는 미래 트랭크스 스페셜을 포함한 분량이다. 기존 Z의 사이어인편부터 셀편까지가 무려 194화나 되었다는 것을 보면 그만큼 엄청나게 줄었다는것을 알수 있다.[2] 사실 오공이 저승의 무술대회에 참가하는 부분이 98화에서 나오기는 하지만, 그냥 이렇게 해서 이렇게 되었다는식의 묘사만 나온다.[3] 예를 들면 프리저 편에서 개구리로 변한 기뉴의 역습(이후 드래곤볼 슈퍼에서도 관련 내용이 약간이나마 나온다.)이나 주마등이 지나가면서 오공의 비장미를 강조했던 계왕권 20배, 드래곤볼로 부활한 베지터가 슈퍼사이어인 손오공이 프리저와 싸우는 것을 목격한 것 ,셀게임 직전 사탄의 제자들이 난입하는 부분 등. 오공의 저승 무술대회의 경우 98회 마지막의 특별영상에서 아주 약간 나왔다.[4] 사실 드래곤볼이 연재시작하는 동시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고 처음에 전작인 닥터슬럼프와 같은 개그 만화라 연재 분량도 적어서 다른 원작의 장기애니보다 분량이 쉽게 따라잡혀서 오리지널이 많고 이야기가 늘어졌다.[5] 과거 애니메이션이 쉬지 않고 방송되는 원나블급 탑 만화의 애니판은 드래곤볼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모두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진격의 거인이나 나히아 등 차상위권 만화들은 분량을 충분히 확보될 때만 일정 분기마다 애니화하는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이런 늘어지는 전개가 없다.[6] 이 기간엔 해당 시간대에 토리코 애니가 방영됐다.[7] 사실 이 BGM들은 오프닝/엔딩 곡을 편곡한 버전일 뿐이라 그렇다.[8] 트랭크스가 미래로 돌아가 인조인간들을 전부 말살하고 평화를 되찾는 내용. 에필로그에는 드래곤볼/사이어인 편부터 드래곤볼/인조인간 편까지의 내용을 담은 Dragon Soul의 뮤직비디오가 나온다.[9] Dragon Ball Kai uncut version이라 부른다.[10] 당장 유튜브에 올라와있는 야마모토 사운드 삽입판 컷신 영상들에 적힌 코멘트를 보면, "야마모토의 표절만 아니었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안 끊기고 그 사람 음악으로 갔을 텐데."와 같은 평이 지배적이다. 양덕후들은 어떻게 한 것인지 근래 카이 BGM을 키쿠치 버전, 야마모토 버전 두 가지를 전편에 적용해서 보고 있다.[11] 이후 이러한 수정이 추가로 이뤄지게 되었는데, 구극장판 BD 복각판에서 원판을 그대로 수록했다는 문구를 기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이처럼 주먹으로 수정이 되어 소비자 기만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12] 초사이어인의 첫 등장인 47화에서는 최고 시청률 12.3%를 찍었다.[13] 퍼니메이션손오공 담당 성우.[14] 퍼니메이션청년 손오반 담당 성우.[15] 호주의 애니메이션 배급사.[16] 2012년 11월자 소식에는 해외에서만 방영되고 일본에서는 DVD 등의 형태로만 발매된다고 했었으나, 이 소식에 따르면 일본에서도 TV 방영을 하기로 결정된 것 같다.[17] 투니버스 드래곤볼 Z는 비디오판과 비교하면 주연인 손오공과 베지터는 그대로 유지하였다.[18] 대원을 싫어하는 팬들과 올드팬의 불호가 앞섰던 것. 그도 그럴것이 새로 캐스팅된 주연 김영선 성우의 실력과 관계없이 투니버스판에서 17호 역을 맡은 바 있는데, 이걸 대원에서는 카이의 손오공 역을 캐스팅하니 목소리와 캐릭터가 매치되지 않았다. 여전히 김환진 성우의 손오공 역을 잊지 않은 팬이 대다수이다.[19] 이 중 김영선, 김승준, 설영범, 시영준은 이미 전작에도 출연했던 적이 있다. 추가로 설영범은 본작이 대원방송 첫 출연작이다.[20] 다만 이 마저도 비디오판과 투니버스에서 연기했던 성우인 김민석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21] 한편 김승준은 다른 방송국에서 방영한 토리코 콜라보 에피소드에서도 베지터를 맡게 되었다. 참고로 여기서는 같이 출연한 원피스조로와 중복.[22] 오공의 초사이어인이 된 모습이 첫 공개 된 화.[23] 드래곤볼 카이 시청률 중에서 제일 낮은 시청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