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라의 스타일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키라링☆레볼루션

라라의 스타일기 (2006~2009)
きらりん☆レボリューション



작품 정보 ▼
장르
아이돌, 드라마, 코미디, 로맨스
원작
나카하라 안(中原杏)
감독
오쿠와키 마사하루(奥脇雅晴) (1~2기)
후지모토 요시타카(ふじもとよしたか) (3기)
시리즈 구성
츠치야 미치히로(土屋理敬) (1~2기)
후쿠다 히로코(福田裕子) (3기)
캐릭터 디자인
나카모리 요시히로(長森佳容) (1~2기)
시마자키 카즈미(島崎和美) (1~2기)
하현조 (1~2기)
하기와라 사치코(萩原祥子) (3기)
총작화감독
미술 감독
사카모토 노부히토(坂本信人) (52~77화)
하기와라 마사미(萩原正巳) (78~153화)
배경 디자인
한선근 (1~2기)
컬러 디자인
나카무라 치호(なかむらちほ) (1~2기)
오노 카요코(大野嘉代子) (3기)
CG 디렉터
하야시 시게키(林成輝) (3기)
CG 프로듀서
시마 요시노부(嶋義信) (3기)
CG 제작
SimImage (3기)
촬영 감독
김은희 (1~2기)
음악
bice (1~2기)
사카이 요이치(酒井陽一) (3기)
음향 감독
치바 시게루
애니메이션 제작
지앤지엔터테인먼트 (1~2기)
파일:SynergySP 로고.svg (1~2기)
제작
테레비 도쿄
테레비 도쿄 미디어넷
파일: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로고 영문형.svg[[파일: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 로고 영문형 화이트.svg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06. 04. 07. ~ 2009. 03.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02. 23. ~ 2008. 02. 28. (1기)
파일:투명.png 2008. 04. 02. ~ 2009. 04. 08. (2기)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 / (금) 6: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1기)
파일:투명.png (금) 16:30 (1~8화)
파일:투명.png (토) 07:40 (9,10화)
파일:투명.png (토) 08:00 (11~36화)
파일:투명.png (목) 16:30 (37화~최종화)
파일:투명.pn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2기)
파일:투명.png (수) 17:30 (1~31화)
파일:투명.png (수) 16:30 (32화~최종화)
파일:투명.png 파일:투니버스 로고(2000-2007).svg
파일:투명.png 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
편당 러닝타임
25분
화수
파일:일본 국기.svg 153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2화
국내 심의 등급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4. 음악
4.1. 주제가
4.1.1. 오프닝
4.1.2. 엔딩
4.2. 삽입곡
4.2.1. 한국판 뮤직 비디오
5. 회차 목록
6. 분기에 따른 변화
7. 국내 방영
8. 기타



1. 개요[편집]


나카하라 안의 만화 키라링☆레볼루션을 원작으로 한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쿠와키 마사하루(1~2기), 후지모토 요시타카(3기).

여셩아동층을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 작품으로는 방송 개시부터 인기가 높았고, 프리큐어 시리즈 다음가는 매출을 기록했다. 본 작품의 타겟으로는 프리큐어와 마찬가지로 아동 여아층이도 포함됐지만 관련 상품을 파는 연령 층은 약간 높게 설정되어 있었다. 또 애니메이션 시작 후부터 2년이 경과했을 때는 초등학교 고학년에게도 인기가 확대, 여성 오타쿠를 크게 늘린 작품으로 평가 받는데, 국내에선 이 작품의 주역인 카자마 히로토히와타리 세이지는 당시 신성파, 가람파로 나뉘었을 정도이며 이건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완구(타카라토미)의 매출액은 피크시에는 2007년 전반기(4월-9월)은 약 8억엔(연중에는 15억엔)을 기록했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키라링☆레볼루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키라링☆레볼루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오프닝, 엔딩에서 검은 별표가 있는 곡은 한국판에서도 삽입곡의 형태로 나온 적이 있는 곡이다. 太는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서 나온 적이 있는 곡이며 숫자는 그 곡이 나온 버전이다.[1] 한국내에서 등장하는 삽입곡들은 일본판에서의 오프닝, 엔딩과는 가사의 차이가 있는 편이며 몇화정도 지난 이후에 같은 곡을 부를 때 가사가 지난회에서 약간 바뀌어있는 경우도 있다.

1~2기의 경우 주제가 제작은 만인에미디어[2]와 자회사 디알엠아이가 맡았으며, 한국측 OST 음원 판매는 1기만 SBSi가 맡다가 2기는 KTF뮤직으로 넘어갔다. 반면 일본측 음반 판매는 업프론트 웍스가 맡았다.


4.1. 주제가[편집]



4.1.1. 오프닝[편집]


  • 일본판
    • 1기 사랑☆일까(한국명칭 동일) ★
    • 2기 발랄라이카(한국명칭 동일) ★
    • 3기 해피-☆(한국명칭 동일) ★ 太10
    • 4기 코를 흥-
    • 5기 찬스!(영원한 사랑) ★ 太11
    • 6기 당신의 별 太12, 太12증량판
    • 7기 탕탕타-앙

  • 한국판
    • 1기 Baby
    • 2기 Shining Star[3]
    • 2기 히요와[4]


4.1.2. 엔딩[편집]


  • 일본판
    • 1기 SUGAO-flavor ★(무지개 크레파스)
    • 2기 커다란 사랑으로 환영해줘
    • 3기 물빛 멜로디
    • 4기 Love예요☆달링
    • 5기 사랑의 마법은 해피피의 피(사랑의 마법) ★[5]
    • 6기 코를 흥-
    • 7기 두 사람은 NS(우리는) ★
    • 8기 Lammtarra
    • 9기 Olala
    • 10기 반짝반짝GOGO
    • 11기 파팡케이크
    • 12기 가무샤라라
    • 13기 해피☆해피 선데이!



4.2. 삽입곡[편집]




4.2.1. 한국판 뮤직 비디오[편집]


  • 사랑인가봐요
  • Dreams Come True


5. 회차 목록[편집]




6. 분기에 따른 변화[편집]


  • 1기 - 원작 흐름을 따라가되 오리지널 에피소드의 비중이 매우 높고 특히 원작에 나왔던 에피소드라 해도 독자적인 설정을 추가. 그 덕분에 스토리면에서 상당히 풍성해졌고 5%대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선전. 이 때의 미디어믹스는 단지 쿠스미 코하루의 주인공 츠키시마 키라리 캐스팅 정도였는데.....

  • 2기 - 1기에 비해 원작의 비중이 매우 축소되고 오리지널 에피소드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신 캐릭터인 미즈키 히카루 역을 신인 아이돌 하기와라 마이에게 맡기면서 노골적으로 미디어믹스를 확대. 그 결과 시청률이 1~2%대로 급전직하를 겪었다.

  • 3기 - 오리지널 에피소드로 진행하며,[6] 작화마저 카툰 렌더링 3D 기법으로 바뀌었는데, 캐릭터 2명에다가 기존 캐릭터인 히와타리 세이지/카자마 히로토까지도 아이돌 성우로 캐스팅하였다. 하지만 시청률이 1%대면 잘 나오는 정도로 떨어졌고 결국 3기에서 완결. 참고로 그 동안 한일 합작으로 제작하다가 일본 단독 제작으로 만든 게 이꼴났다.[7]

  • 결론적으로 이 만화의 팬이라면 대부분 만화원작의 팬이거나 1, 2기의 팬인 경우가 많고 애니메이션은 다 보겠다고 하는 사람에게 3기는 추천하지 않는다고 대답을 내는 사람이 대 다수이다. 그런데도 관련상품은 잘나가는지 음반이나 게임 등등 관련상품이 많이 나온 편이다.


7. 국내 방영[편집]


2006년 10월 30일 방송위원회의 국내물 판정에서 16점 기준에 16점을 받아 국내물로 인정되었다[8]. 원래 명칭은 '아린의 스타일기'이었으나 이후 방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라라의 스타일기'로 바뀌었고 일부 캐릭터의 이름도 변경되었다. 그리하여 2007년 2월 23일에 KBS에서 최초로 방영되었는데, 예상과 달리 광고가 없는 KBS 1TV에 편성되었다. 제작사는 한국의 지앤지엔터테인먼트와 일본 SynergySP가 공동으로 맡았다가 3기부터 SynergySP 및 SimImage가 공동으로 맡았으며, SK C&C(현 SK주식회사 C&C)도 제작에 참여했다. 당시 감독은 오쿠와키 마사하루, 더빙 제작은 KBS 미디어였다.

본편을 살펴보면 일본판의 '나-상(나봉이)의 패션 이렇게 해라 강좌' 등을 비롯하여 엔딩곡 전후에 나오는 서비스 요소는 제외되었으나, 대신 아이캐치에 뮤직비디오가 삽입되었고 14화부터는 시청자들이 투고한 UCC 영상이 방영되었다. 또한 한/일 합작의 이점을 살려서 왜색이 짙은 에피소드도 작화를 수정하여 무리없이 방영하기도 하였다.작화 수정의 예시 하지만 잘 보면 일부 에피소드에서 일본어나 일본판의 이름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내보낸 장면도 있다.[9]

방송 날짜는 원래 금요일 오후 4시 30분이었으나 9화부터는 토요일 아침으로 변경되었다.[10] 통상적으로는 토요일 아침 시간대에 시청률이 안 나오기 딱 십상이라고 보기 쉬우나 실제로는 한 때 5%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당시의 지상파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왔었다. 이는 놀토 등으로 인해 주시청층인 어린이들이 마음만 먹으면 토요일에 일찍 일어나서 얼마든지 시청 가능하다는 점에서 비롯된 듯. 이후 37화부터는 목요일 오후 4시 30분으로 조정되었다.

2008년 2월 28일 방영된 52화로 1기가 종영되었으며, 그로부터 약 1달 후인 4월 2일부터 2기가 KBS 2TV를 통해 수요일 오후 5시 30분에 방영되었다.[11] 약간 구성이 바뀌었는데, 아이캐치 중간에 뮤직비디오가 삽입된건 똑같았으나 시청자 UCC 영상은 다음화 예고가 끝나고 나서 나왔다.[12] 그러나 참여가 다소 저조했는지 아니면 방송에 쓸만한 영상이 없었던건지 한 번 펑크가 난 적이 있다.

성우진의 경우 라라 역의 배정미송도영, 소연, 유동균 정도를 제외하고는 인지도가 다소 중위권에 속하는 성우들이 대거 등장하였다.[13] 라라 역의 경우 캐릭터 설정상의 연령에 비해 다소 성숙한 목소리가 나온다는 지적이 있었지만[14] 그 이외의 캐릭터에 대해서는 별다른 지적없이 무난하다는 평. 문제는 주요 캐릭터인 라라(키라리), 신성(히로토), 가람(세이지), 나봉(나-상)을 제외하고는 중복 캐스팅이 지나치다는 것. 특히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목소리가 다소 특이해서 알아듣기 쉬운 이봉준[15]을 단역 전담으로 내세우는 바람에 여러 캐릭터의 목소리가 똑같이 들리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신성/가람/나봉 역의 담당 성우조차 단역 캐릭터에 동원되기도. 사실상 라라 역의 배정미 외에는 전부 중복의 마수를 피하지 못했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이선, 유해무 등의 끗발 날리는 유명 성우가 게스트로 나오는가 하면 2기에서는 당시 전속에서 갓 풀린 신인급 성우 박지윤이 레귤러 캐릭터인 오은찬 역할에 캐스팅되기도 했다.

KBS 종영 이후엔 투니버스, 애니맥스, 카툰네트워크 등에서 재방영되었는데 UCC 영상이라든가 뮤직비디오 등이 나오지 않는다.[16] 국내물 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여러 애니메이션 채널에서 국산 애니메이션 방영 시간 맞추기용으로 적절하게 활용되고 있다. 투니버스는 새벽 시간대에서 절찬리에 우려먹는 중이며 카툰네트워크는 자정 시간대에, 애니맥스는 평소 시간대에 수시편성해왔다.

공동제작사인 지앤지엔터테인먼트가 여러 방면으로 캐릭터 사업을 전개했는데, 이 중 손오공이 해당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완구들을 발매하는가 하면 학산문화사가 애니판 내용을 추린 아동용 만화책을 냈고, NHN쥬니어네이버를 통해 해당 캐릭터를 이용한 이모티콘을 추가했다. '콘서트 뮤지컬 라라의 스타일기'가 신도림 테크노마트 공연장에서 2007년 12월 14일부터 2008년 2월 3일까지 열린 적이 있다. 실제로 꽤 흥행한 것을 보면 이 작품이 국내에서도 확실하게 먹혀든 작품이란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듯.

1~2기는 지앤지엔터테인먼트가 불참한 분량이 애니메이션 쿼터제 등의 여러 요인으로 불방됐고, 3기는 3D 제작인 데다가 더이상 한/일 합작도 아닌 탓에 작화수정도 불가능하다. 특히 국내물이 아닌 외산을 KBS에서 방송하는건 절대 불가능[17]하기 때문에 2기 종영 후 3기를 방영한다는 얘기가 없다. 하지만 카툰네트워크 등의 애니메이션 채널에서 수입을 하고 KBS 미디어에서 외주 더빙을 하는 시나리오도 충분히 가능하다.[18]

1기에선 일본판과 방영 순서에 차이가 있는데, 원래는 51화 단위로 분리하는게 맞지만 국내 방영을 기획할 당시 제대로 확인이 안되었는지 1기를 52화로 끊어놨다. 문제는 52화가 일본판에선 2기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전혀 종영하기에 적합한 에피소드가 아니었고, 그 결과 52화는 중간의 36화 자리로 옮겨가고 이후 36~51화가 +1씩 밀려서 국내에서는 37~52화로 구성되었다. 2기의 경우 1기의 영향으로 인해 50화로 된 것을 빼면 정상적으로 방영되어 102화에서 딱 끝났다. 결과적으로 방영 순서에만 차이가 있을 뿐 1기 1화부터 2기 최종화까지 전편 무리없이 방영되었다. 당시 번역은 이서린[19], 허상희[20]. 연출은 이원희 PD, 박병규 PD[21], 이재길 PD[22]가 각각 맡았다.

여담으로 투니버스에서 1기 방영 당시 최종화가 2008년 2월 28일 오후 2시에 방영되었다. 문제는 그 날 오후 4시 30분에 KBS 1TV에서도 최종화가 방영되었다는 것. 투니버스 편성시간 자체가 극악이다보니 묻혔지만 애니 채널의 본방이 지상파 본방을 앞서버린 몇 안되는 사례다.

방영 와중에 KBS 홈페이지에서도 다시보기가 가능했으나 2018년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졌고, 쥬니어네이버에서 1기를 무료로 감상할 수 있었으나, 사이트 개편으로 폐쇄되었다. 투니랜드에서도 VOD 서비스를 했으나 비슷한 최후를 맞았다.

그런고로 현재 인터넷에서는 웬만한 에피소드는 다 있는데 2기 3화부터 10화까지만 없다. 저작권 문제로 소실이 불가피한 듯. KBS판 2기 3-10화는 아직도 남아있다.


8. 기타[편집]


  • 일본에선 방영 당시부터 제네온 엔터테인먼트(현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를 통해 DVD를 냈다가, 반다이 채널과 U-NEXT, Videomarket.jp, 라쿠텐TV 등지 유료 동영상 사이트에서 다시보기 서비스 중이다. 또한 2019년부터 유튜브 <챠오> 공식채널을 통해 일부 회차만 보여주고 있다.

  • 방영 16년 후인 2023년에 KBS의 유튜브 채널인 KBS Kpop의 콘텐츠 중 하나인 은채의 스타일기로 패러디되었고, 오프닝 일부가 쓰였다. 정작 진행자인 은채는 방영 당시에는 너무 어려서 본 적은 없다고 한다.[23]

[1] 단 정식버전만. 창작판은 제외.[2] MC the Max 3~5집과 이수영 7~8집 음반도 이 회사에서 냈다.[3] KBS2 한정[4] 투니버스, 애니맥스 한정[5] 단, 삽입곡의 형태로 부른 인물은 라라(키라리)가 아닌 은찬(히카루)이다.[6] 원작의 설정을 일부 가져오긴 했다.[7] 정반대의 경우로 프리티 리듬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이 있는데, 이쪽은 일본 단독 제작인 전작이 호평을 받고 한일 합작인 후속작이 혹평을 받은 사례다.[8] 2012년 2월 23일 전까지 국내제작 애니메이션 인정기준은 순국내제작 애니메이션은 30점 만점에 20점 이상, 국제공동제작 애니메이션은 16점 이상이었다.[9] 예를 들면 작중 나오는 방송국 중 하나인 TV HIGASHI의 국내 방영판 이름이 TV STATION인데 가끔 로고가 그대로 TV HIGASHI로 나온다.[10] 9~10화는 오전 7시 40분이었고 11화부터 오전 8시로 조정. 여담이지만 9화와 10화는 방송시간이 20분으로 한정되어 있었는데, 원래 8화까지의 런닝타임이 평균 26분(...)이었다. 때문에 9~10화에서는 뮤직비디오와 다음화 예고 등이 왕창 잘려나갔는데, 제작사에서 항의를 했는지 11화부터는 30분으로 늘어나 정상화되었다.[11] 2기의 경우는 1기 종영 직전인 2008년 2월 18일에 와서야 국내물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에는 기준치보다 1점 높았던건 안 자랑[12] 정확하게 말하자면, 시청자 UCC 영상은 2기 2화부터 나왔다. 2기 1화에선 다음 화 예고 후, 다오 배찌 붐힐 대소동 20화(39,40화) 예고가 나왔다.[13] 한 가지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은 인지도가 높지 않다는 것이 성우 활동이 저조함을 뜻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일례로 이 작품에서 단역 전담 성우 중의 한 명인 전숙경은 애니메이션이나 외화보다는 주로 광고녹음/나레이션/안내방송 쪽에서 활동빈도 수가 높기 때문에 시청자 사이의 인지도가 다소 떨어질 뿐이지, 결코 활동이 저조한 게 아니다. 그리고 전숙경은 본래 애니메이션 전문 방송국 출신이기도 하고.[14] 이거도 초반에 좀 그랬지 나중엔 별 문제 없었다. 다만 노래를 부를 땐 무리하는듯한 느낌이 좀 든다.[15] 게다가 이 분은 신인급도 아니고 데뷔한지 30년이 된 고참 성우이다.[16] 투니버스는 지난 이야기가 1기에선 전편 전부 나왔지만 2기는 전부 잘렸고 뮤직비디오의 경우는 1기 초반에 몇 번 나온 것을 빼고는 안 나왔으며, 2기에서 나왔던 UCC도 제외되었다. 애니맥스의 경우 1기는 전편에 걸쳐 뮤직비디오까지 죄다 나오는 기염을 토했지만 엔딩의 경우 그냥 1화 엔딩을 내보내버려서 성우진이 고정표기되었고 2기는 투니버스와 구성이 같다. 카툰네트워크의 경우 2기만 방영했는데, 투니버스 및 애니맥스와 마찬가지로 지난 이야기/뮤직비디오/UCC 등이 잘렸다.[17] 현재 지상파 채널에서는 의무적으로 국산 애니를 편성해야 하는데, 워낙 애니 편성시간대가 적다보니 단 1개 작품이라도 외산물을 편성하게 되면 쿼터를 맞출 수가 없다. EBS의 경우 상대적으로 애니 편성시간대가 넓기 때문에 외산물을 상당수 편성할 여력이 있으나 KBS를 비롯한 방송 3사에서는 불가능.[18] 실제로 부탁해! 마이멜로디 2기의 경우 카툰네트워크에서 기획했지만, 더빙은 KBS 미디어에서 진행했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기존 SBS판 성우들이 물갈이됐지만. 이외에도 KBS 미디어가 외주로 맡은 작품으로는 엉덩이 탐정(JEI 재능TV 방영) 등이 있다.[19] 1기 1~22화[20] 1기 23화~2기 102화[21] 1기 3~19화[22] 1기 23화[23] 은채는 2006년생이고 본작의 한국 첫 방영은 2007년에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3:35:38에 나무위키 라라의 스타일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