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어

덤프버전 :



라트비아어
Latviešu valoda | Latvian language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점자
라트비아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라트비아|

라트비아
display: none; display: 라트비아"
행정구
]]

원어민
175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
동발트어군
언어
코드

ISO 639
LV

Namuwikis, zināšanu koks, kuru jūs audzējat paši.[1]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역사
3. 문자
4. 문법
4.1. 명사
4.2. 형용사
5. 언어별 명칭
6. 기타
7. 들어보기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라트비아에서 라트비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자 라트비아인들의 모국어로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한다. 화자는 150만 명 남짓인데 라트비아뿐만 아니라 러시아, 독일, 미국 등지에도 화자가 소수나마 산다.


2. 역사[편집]


사용자 수가 적은 언어인데 비해 배우는 사람은 비교적 많다. 라트비아에 사는 러시아인들은 주로 모어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사실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어만 써도 라트비아에서 살아가는 데 큰 지장이 없었다. 물론 소련 당시에도 라트비아는 형식상 연방을 구성하는 공화국이었기 때문에 학교에서 라트비아어를 주요과목으로 가르치기는 했지만, 라트비아에 살던 러시아인들은 쓸모있다고 여기지 않았다. 어차피 러시아어가 전국 단위 공용어 노릇을 하므로 라트비아어를 굳이 열심히 공부하지 않아도 먹고사는 데 별로 지장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라 자연스레 러시아계 학생들의 라트비아어 성적은 바닥을 길 수밖에 없었고, 러시아계 장노년층의 라트비아어 실력이 크게 낮은 원인이 되었다.

라트비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 라트비아어 실력이 안 되는 러시아인에게 시민권을 일부러 부여하지 않는 등 불이익을 주기 때문에 라트비아어를 배우는 사람이 많아졌다.[2] 독립 이후로는 학교에서 라트비아어를 가르치는 비중을 크게 늘렸기 때문에, 1970년대 이후 출생한 세대는 라트비아어와 러시아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사람이 많다.

3. 문자[편집]


정서법은 1908년에 제정되었다. ā, ē, ī처럼 작대기가 붙은 모음은 길게 읽고, č, ģ, ķ처럼 보조 기호가 붙은 자음은 구개음화된 발음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s는 /s/, š는 /ʃ/ 같은 식으로) 거의 써진 대로 읽지만 e는 /e/처럼 읽기도 하고 /æ/처럼 읽기도 한다. v는 단어 끝이나 자음 앞에서 u처럼 발음한다.

알파벳
IPA
알파벳
IPA
A a
a
L l
l
Ā ā

Ļ ļ
ʎ
B b
b
M m
m
C c
ts
N n
n
Č č

Ņ ņ
ɲ
D d
d
O o
o
E e
æ
P p
p
Ē ē
æː
R r
r
F f
f
S s
s
G g
ɡ
Š š
ʃ
Ģ ģ
ɟ
T t
t
H h
x
U u
u
I i
i
Ū ū

Ī ī

V v
v
J j
j
Z z
z
K k
k
Ž ž
ʒ
Ķ ķ
c



로마자 사용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QWERTY 기반 자판과는 생판 다른 ŪGJRMV 자판을 사용한다. Q, W, E, R, T, Y 자리에 각각 Ū, G, J, R, M, V가 들어간 것. ŪGJRMV 키배치[3] QWERTY 기반 자판도 있기는 한데 shift와 Z 자리에 백슬래시가 들어갔다.


4. 문법[편집]


리투아니아어와는 아주 밀접한 관계이지만 서로 말이 통하지는 않는다. 리투아니아어보단 옛 형태에서 멀어졌고 문법도 단순해져서 외국인이 배우기에는 더 쉽다. 링크. 독일의 영향력이 짙은 동네라 옛날엔 서체도 블랙레터를 쓰고, 독일어 알파벳과 비슷한 형태의 정서법을 사용했으나 이후에는 실제 발음을 더 잘 반영하는 정서법을 채택했다. 한편 o(uo처럼 읽음)를 제외한 모음에는 장단이 있는데, 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4.1. 명사[편집]


인도유럽어족 언어답게 라트비아어의 명사, 수, 격에 맞춰 사용해야 한다. 성은 남성(제1, 2, 3변화)과 여성(제4, 5, 6변화)의 두 가지가 있으며, 수 역시 단수와 복수로 나뉜다. 격은 주격(1격), 소유격(2격), 여격(3격), 목적격(4격), 도구격(5격), 장소격(6격), 호격(7격) 등 총 일곱 가지가 존재하지만, 도구격(5격)은 독립적으로 잘 쓰이지 않고 호격(7격)은 주격과 동일하다.

주격-소유격-여격 등으로 이어지는 곡용 배치 순서는 기원전 1세기 그리스와 로마의 문법학자들로부터 이어지는 서구 언어학의 전통적인 방법이고, 1격-2격 등 숫자로 부르는 방법 또한 전통적인 배치순서를 따랐다. 그러나 현대의 발트-슬라브 비교언어학자들은 명사와 형용사의 곡용을 더 잘 드러내는 다른 배치를 사용하는데, 주격-목적격-소유격-장소격-여격-도구격-호격 순이다.[4] 여기서도 현대 비교언어학자들의 방법을 따르되 호격과 도구격을 제외하여 몇몇 명사와 형용사의 표를 제시한다.


제1변화
제2변화
제3변화
제4변화
제5변화
제6변화

단수
주격
tēvs
ceļš
brālis
kuģis
tirgus
lietus
māsa
māja
ārste
upe
pils
nakts
목적격
tēvu
ceļu
brāli
kuģi
tirgu
lietu
māsu
māju
ārsti
upi
pili
nakti
소유격
tēva
ceļa
brāļa*
kuģa
tirgus
lietus
māsas
mājas
ārstes
upes
pils
nakts
장소격
tēvā
ceļā
brālī
kuģī
tirgū
lietū
māsā
mājā
ārstē
upē
pilī
naktī
여격
tēvam
ceļam
brālim
kuģim
tirgum
lietum
māsai
mājai
ārstei
upei
pilij
naktij

복수
주격
tēvi
ceļi
brāļi*
kuģi
tirgi
lieti
māsas
mājas
ārstes
upes
pilis
naktis
목적격
tēvus
ceļus
brāļus*
kuģus
tirgus
lietus
māsas
mājas
ārstes
upes
pilis
naktis
소유격
tēvu
ceļu
brāļu*
kuģu
tirgu
lietu
māsu
māju
ārstu
upju*
piļu*
nakšu*
장소격
tēvos
ceļos
brāļos*
kuģos
tirgos
lietos
māsās
mājās
ārstēs
upēs
pilīs
naktīs
여격
tēviem
ceļiem
brāļiem*
kuģiem
tirgiem
lietiem
māsām
mājām
ārstēm
upēm
pilīm
naktīm
* 표시된 변화형은 자음 교체가 있는 변화형이다.

남성명사는 무조건 s로 끝나야 하고 여성명사는 무조건 e나 a로 끝나야 한다는 법칙이 있는데, 이는 외국인의 인명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반기문은 Pans Kimuns, 조지 W. 부시는 Džordžs V. Bušs, 김정일은 Kims Čenirs, 힐러리 클린턴은 Hilarija Klintone, 박근혜는 Paka Kinhje라고 한다.

4.2. 형용사[편집]


형용사 역시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다만, 같은 성을 가진 명사라도 여러 방식으로 변화하는 것과는 달리 형용사는 한 가지 방식으로만 변화한다. 또한, 형용사의 변화 형태는 해당 형용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 변화 형태와 유사하므로 비교적 쉽게 외울 수 있다.

제1, 2, 3변화
제4, 5, 6변화

단수
주격
labs
laba
목적격
labu
labu
소유격
laba
labas
장소격
labā
labā
여격
labam
labai

복수
주격
labi
labas
목적격
labus
labas
소유격
labu
labu
장소격
labos
labās
여격
labiem
labām



5.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한국어
라트비아어(Latvia語)
라트비아어
Latviešu 또는 Latviešu valoda
덴마크어
Lettisk
독일어
Lettische Sprache
라틴어
Lingua Lettonica
러시아어
Латышский язык
리투아니아어
Latvių kalba
스웨덴어
Lettiska
스페인어
Idioma letón
에스토니아어
Läti keel
에스페란토
Latva lingvo
영어
Latvian language
일본어
ラトビア語
포르투갈어
Língua letã
폴란드어
Język łotewski
프랑스어
Langue Letton
핀란드어
Latvian kieli


6. 기타[편집]


한국에서는 특수외국어로 지정된 언어들 중의 하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2020-1학기부터 '기초라트비아어'라는 이름으로 교양 수업[5]이 열리고 있다.


7. 들어보기[편집]



라트비아의 국가〈Dievs, sveti Latviju〉. 뜻은 God, Bless Latvia! 이다.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라트비아어 더빙판 <Mīla mums spārnus dos>.


라트비아의 성가 Pūt vējiņi(바람아 불어라). 라트비아 항목대로 이 나라에는 현대 성가 작곡가들이 많다.


라트비아 팝, 힙합 밴드 Musiqq의 Manā Pilsētā Līst(나의 도시엔 비가 내리고 있어).


8. 관련 문서[편집]



[1]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2] 라트비아에는 무국적 주민이 인구의 15% 정도로 꽤 많다. 소련이 사라져서 소련 국적은 상실당했는데 라트비아 국적을 얻지 못한(혹은 거부한) 러시아계가 대다수.[3] 특이하게 ` 자리에 제어 문자인 Soft Hyphen이 들어갔다.[4] 필요에 따라 호격을 주격 다음에 배치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장소격이나 소유격의 위치를 바꾸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틀은 같다.[5] 실용외국어(선택) 영역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2:48:15에 나무위키 라트비아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