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하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시리즈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라하르(마계전기 디스가이아) 문서
라하르(마계전기 디스가이아)번 문단을
라하르(마계전기 디스가이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원리
3. 파괴력
4. 피해 사례


1. 개요[편집]


Lahar.
파일:external/www.geoffmackley.com/ruapehulahar02.jpg

화산이류라고도 한다. 간단히 말하면, 눈 대신 화산재 반죽이 쏟아져내리는 눈사태 정도 된다.


2. 원리[편집]


화산이 폭발하면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나오게 되는데, 이 화산가스의 상당량이 수증기라 대형 분출 이후에는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다. 화산의 분출 규모가 커서 화산재가 폭설 수준으로 내린 상태에서 폭우가 쏟아지면 화산재가 물을 먹으면서 시멘트 반죽처럼 변하는데[1], 이 산 사면의 화산재가 계속 물을 먹다가 더 이상 자신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사태처럼 쏟아져 내리는 것이 바로 라하르이다. 화산재는 사실상 돌가루나 다름없으므로[2] 라하르는 당연히 그냥 물보다 밀도가 훨씬 크다.


3. 파괴력[편집]


시멘트 반죽이 산사태처럼 밀려와 사람들을 덮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으며, 그 파괴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 라하르는 화산 활동의 중심에서 넓게는 수십 km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얼마나 지독한지 지도까지 바꿔버릴 수도 있다. 더욱 심각한 점은 라하르는 종종 성질이 콘크리트 반죽과 비슷하기 때문에 수분이 빠져나가면 그대로 굳어버린다는 사실이다. 사람이 라하르에 파묻힌 뒤 라하르가 굳어버리면, 사람은 단단한 시멘트 속에 생매장된 셈이 되어 구조하기도 매우 힘들다.[3] 이 때문에 아래의 라하르 피해 사례들을 보면 사망자에 비해 생존자는 적다.


4. 피해 사례[편집]


대표적인 라하르 피해 사례로 1953년 12월 24일 일어난 탕이와이 철도 참사가 있다. 라하르가 다리를 무너뜨리는 바람에 승객 151명이 사망했다.

1985년 11월 콜롬비아의 네바도 델 루이스(Nevado del Ruiz) 화산의 분화를 들 수 있다. 하필 화산 정상이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어 화산재와 부석이 섞여 라하르가 발생하였다. 그대로 이 화산이류는 시속 35 km로 랑구니아스 계곡을 흘러 내려가서 60 km 떨어진 하류에 있던 아르메로시를 그대로 덮쳤다. 그 결과 시민 2만 2천 명을 말 그대로 젖은 콘크리트에 생매장시켰다. 이류 가장자리에 있던 사람들만 간신히 살아남아 구조되었는데, 그마저도 이류가 뜨거워서 화상 치료를 받아야 했다.

당시 오마이라 산체스(Omayra Sánchez)라는 소녀가 이 이류에 몸이 묻힌 모습#은 화제가 되었고, 이 사진을 찍은 프랑크 푸르니에는 1986년 올해의 월드 프레스 포토를 수상했다. 다만 안타깝게도 오마이라는 끝내 구조되지 못하고 저체온증으로 사망했다. 사진을 언뜻 보면 단순히 물 웅덩이에 빠진 것처럼 보여서 당시 사진기자에게 사진찍느라 일부러 구조를 안 한 것 아니냐는 비난이 쏟아졌지만, 상술했듯이 화산이 폭발하면서 흘러나온 진흙이 식어가면서 마치 시멘트처럼 굳어버렸기 때문에 오마이라의 모습이 전 세계에 알려진 시점에서는 이미 손을 쓸 도리가 없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오마이라의 이야기는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2015년 3월 8일 방영분에서 다루어졌고(영상), 벌거벗은 세계사 2023년 7월 25일 화산폭발 편에서도 라하르의 피해 사례 중 하나로 소개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3:50:53에 나무위키 라하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대에는 화산재로 콘크리트를 만들었다.[2] 밀도가 보통 2.7~3.3 정도다.[3] 모든 라하르가 시멘트 같지는 않다. 라하르에서 화산재는 적고 물이 많다면 홍수와 비슷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처럼 라하르가 굳는 사태는 일어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