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마크 램지어 위안부 논문 게재 논란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존 마크 램지어 위안부 논문 게재 논란/학문적 진실성 위반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문제가 된 램지어 교수의 논문
3. 규탄하는 여론
3.1. 서방권
3.1.1. 미국/유럽 학계
3.1.2. 미국 정계
3.1.3. 미국 사회
3.2. 대한민국
3.2.1. 대한민국 정계
3.2.2. 대한민국 단체
3.2.3. 대한민국 학계
3.3. 중국
3.3.1. 중국 정계
3.3.2. 중국 학계
3.4. 북한
3.5. 일본 학계/시민단체
3.6. 기타 반응
4. 그 외 여론[1]
4.1. 미국
4.1.1. 미국 학계
4.1.2. 미국 사회
4.2. 일본 내부의 램지어 옹호 여론
4.3. 대한민국
4.3.1. 극우 인사들
4.3.2. 대한민국 학계
4.3.3. 대한민국 정계
4.4. 기타 반응
5. 기타
6.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하버드 대학교존 마크 램지어 교수가 쓴 위안부 관련 논문과 관련된 논란들과 사회 각계각층의 반응들을 서술한 문서이다. 램지어의 논문의 거짓과 왜곡에 대한 구체적인 지적과 반박은 존 마크 램지어 위안부 논문 게재 논란/학문적 진실성 위반을 참조하면 된다.


2. 문제가 된 램지어 교수의 논문[편집]


램지어 교수는 2020년 3월에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2](한국어 번역: 태평양 전쟁에서의 성적 계약)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하였고, 작성한 논문이《인터내셔널 리뷰 오브 로우 앤드 이코노믹스(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IRLE; 한국어 번역: 국제법경제리뷰)》 학술지 제65권 3월호에 정식 게재되었다. 해당 논문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은 자발적인 성노동자였으며, 위안부는 성노예나 전쟁 범죄가 아니라 매춘이라고 주장했다. '버마(미얀마)의 한국인 위안부 일부는 6개월에서 1년간 계약을 맺고 일했다'라고 주장하면서 일본어로 된 1937년 표본 계약서를 인용하는 등 논문에서 있어서 안 된다는 기초 상식의 결여를 보이고 있다. 참고로 이땐 일본군이 미얀마에서 전투를 벌이기 전이다.

2019년 Japan Forward[3]라는 산케이 신문 계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도 미쓰비시 강제징용자들은 전쟁에 끌려가지 않았으니 운이 좋았다고 답변했다.[4] 또한 박유하교수가 쓴 책에 근거하여 한국에서 위안부를 다루는 시각이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인터뷰 전문[5]

문제의 해당 논문은 조사 중이라는 것만 알려져 있다.

하버드 교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램지어 교수는 “더 이상 관련 연구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현재 자신을 향한 비판이 당황스럽고 괴롭다는 발언을 했다. # 하지만 더 뉴요커에 실린 기사를 보면 "일본이든 한국이든 그 어디든 자기의 편이 있으면 좀 알려달라"고 하고 있고 자신이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고 운운하는거보면 진짜 양심에 찔려 괴롭기보다는 이번 일이 이렇게 커질 줄 몰라서 당황스럽고 (puzzled) 그로 인해 공격받아 괴롭다 (troubled) 라고 하는것일 가능성이 클수도 있다. 그리고 실제로 반일편견 없애려고 썼다는 뻔뻔한 발언을 남겼다.#

그러나 MBC 뉴스데스크에 따르면 석지영 하버드대 교수의 취조 끝에 램지어 교수는 논문의 근거로 거론한 매춘 계약서는 사실 없다고 실토했고, 10살 소녀까지 계약 매춘부라고 주장한 부분도 논문에 오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 이후 석지영 교수는 SBS와의 인터뷰에서 동료학자들이 자신들의 기술과 노력을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발휘한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

일본이 램지어 논문을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국의 입장을 반박하는 무기로 활용하려 한 것으로 드러났다. #

하버드 크림슨은 논문 내용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발생한 직후 램지어 교수와의 인터뷰에서 그가 일본 정부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2021년 2월 22일, 미국 법경제개발원장을 맡고 있는 이용식 조지아 주립대 법학대학원 객원 교수는 같은 주립대 법학대학원 출신 나츠 사이토(Natsu Saito) 교수, 조나단 토드리스(Jonathan Todres) 교수와 함께 ‘성노예 제도 계약의 오류(The Fallacy of Contract in Sexual Slavery)’라는 제목의 논문을 최근 사회과학연구네트워크(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의 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의 Vol. 42, No. 2에 게재했다. # 아래는 해당 논문의 개요이다.

Over seven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but the trauma from the cruelest war in human history continues today, perpetuated by denial of responsibility for the war crimes committed and unjust attempts to rewrite history at the expense of dignity, life, and justice for the victims of the most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The latest such attempt is a troubling recharacterization of the sexual slavery enforced by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s a legitimate contractual arrangement. A recent paper authored by J. Mark Ramseyer, entitled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mischaracterizes forced sexual slavery as a contractual process by which the victims freely participated in prostitution in return for a substantial reward, deny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ts military for the atrocious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The argument of that paper is flawed and disregards a breath of evidence, including numerous testimonies of survivors, and the findings of scholars, NGOs, and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ssion, that the victims were coerced, deceived, or otherwise manipulated into sexual servitude with the direct or indirect involve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 or the military, as admitted by Japan in the 1993 Kono Statement. This article discusses the critical flaws in the arguments advanced by the paper, the traumatic impact of such arguments on survivors of these war crimes, and the broader implications of these (and other similar) justifications for sexual exploitation.

Suggested Citation:

Lee, Y.S. and Saito, Natsu Taylor and Todres, Jonathan, The Fallacy of Contract in Sexual Slavery (February 22, 2021). 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42, No. 2, 2021,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791187 or http://dx.doi.org/10.2139/ssrn.3791187


2023년 1월. '위안부 논문'을 출간한 학술지 법경제학국제리뷰(IRLE)가 학계의 논문 철회 요구를 최종 거부했다.#

3. 규탄하는 여론[편집]



3.1. 서방권[편집]



3.1.1. 미국/유럽 학계[편집]


해당분야 학계 전문가들의 검토결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게재가 중지되어야 할 학문적 진실성을 위반한 논문으로 규정했다.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존 마크 램지어 위안부 논문 게재 논란/학문적 진실성 위반 참고.

미국과 유럽의 일부 학자들은 램지어의 주장도 표현과 학문의 자유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선뜻 동의하지 않고 있다. 학문적 자유를 보장받으려면 증거에 기초하고 적절한 근거를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https://www.nocutnews.co.kr/news/5507565

학계 전문가들의 검토결과에서 드러나듯이 미국 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으며, 하버드대 내 한인들의 규탄은 물론 한국사 교수 카터 에커트 교수와 앤드루 고든 역사학과 교수가 반박할 저널을 준비 중이고, 미국 전역의 법대 학생 800명도 이 성명에 연명했다. 카터 에커트 교수는 "램지어 교수의 그 논문은 도덕적, 역사적, 경험적으로 최악의 결함체(woefully deficient)"라고 비판했다. #

코네티컷 대학교 한국, 일본사 알렉시스 더든 교수는 해당 논문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오직 한국인만을 겨냥했다는 점이라면서 "만약 범죄 피해자를 비난하는 게 학문적인 미덕이 된다고 가정하더라도 그렇다면 왜 (위안부 피해자들이 많은) 대만부터 시작하지 않았는가", "이는 부끄럽게도 학계가 역사적 기록에 위안부로 등재된 첫 번째 피해자가 일본인이라는 점을 인정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라며 1932년 일본의 인신매매 업자들이 일본인 소녀 15명을 속여 상하이의 위안소로 데려간 사실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불행히도 램지어 교수는 이런 사실 중 어느 것도 설명하지 못했고, 유엔이 반인류적 범죄로 규정한 행위에 대해 단지 한국인들만을 탓했다" 그러므로 "논문에 수많은 역사적 오류가 있다"고 비판했다. #

위안부 계약서 논문에 대해 하버드 교수들이 논문에 인용된 문건들을 추적한 결과, 램지어 교수가 위안부 피해자들이 맺은 계약을 단 한 건도 찾아보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한국인 위안부 계약서가 아니라 일본인 바텐더의 계약서라는, 위안부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허위 근거를 논문에 실었다는 사실이 발각되었다. 이에 대해 하버드 교수들은 램지어 교수가 최악의 학문적 진실성을 위반했다며 비판하였다. #

하버드 학생 신문인 크림슨에서도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다. #

에이미 스탠리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교수, 한나 셰퍼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연구원, 사야카 챠타니 싱가포르 국립대학 조교수, 데이비드 앰버러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교수, 첼시 샌디 쉬더 일본 아오야마가쿠인대학 교수가 램지어 교수의 이러한 '망언' 논문에 공동 반박문을 게재했다. MBC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국 학자는 해당 학술지에 이미 제출했거나 곧 제출될 예정인 반박문만 5~6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10살 소녀도 자발적인 계약 매춘부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지자 결국 미국 학자들이 위안부를 매춘부로 규정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철회하라며 연판장을 돌렸다. 이들은 램지어 교수가 일제의 끔찍한 잔혹행위를 정당화하려고 경제학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1896년 이후 일본 정부는 20살 미만은 계약을 체결할 수 없도록 한 법을 만들었다고 지적했고,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인 매춘부라고 규정하기 위해 10살 소녀까지 계약 매춘부라고 한 것에 좌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 연판장은 공개된 지 이틀 만에 1500명이 넘는 전 세계 학자들이 서명했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에릭 매스킨 하버드대 교수를 비롯해[6] 존 로버츠 스탠퍼드대 교수, 래리 사무엘슨 예일대 교수 등 학계 거두들이 직접 이름을 올리는 등 학계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 #

  • 이후 해당 연판장에는 2300여명 가량이 서명했다. 이중 피넬로피 골드버그 교수는 스스로 성명서를 발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은 아동 성폭행과 인신매매를 정당화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램지어는 '오사키'란 이름의 10살짜리 일본인 소녀의 증언을 논문에 등장시켜 계약이 자발적이며 합법적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논문에서 "오사키가 10살이 됐을 때 위안부 모집책이 300엔의 선급금을 제안했다"라면서 "오사키는 그 일이 수반하는 것이 뭔지 알았기 때문에 모집책은 그를 속이려고 하지도 않았다"고 적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에이미 스탠리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은 램지어 교수가 인용한 원서를 보면 실제로 이 소녀는 "우리는 이런 업무일 줄 모르고 있었다. 믿기 어려울 만큼 끔찍했다"고 증언한 것으로 돼 있다고 반박했다. 기사

문제의 논문이 실린 학술지 부편집인(알렉스 리/노스웨스턴대 법대 교수)은 3월 출간 일정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자 해당 논문의 주장과 이 논문이 실리는 것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항의 표시로 부편집인에서 사퇴했다. #

로저 놀 미 스탠퍼드 대학교 경제학 명예교수는 개인 성명에서 "램지어 교수의 ''태평양 전쟁의 성 계약' 논문을 출간하기로 한 IRLE의 논문 심사와 편집 절차를 믿을 수 없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학술지에 논문 2편을 게재한 사람으로서 매우 슬프고 경악한다"라며 "이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내 과거의 결정을 지금 후회한다"라고 밝혔다. #

폴 밀그럼 스탠퍼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경매이론에 대한 연구로 2020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와 앨빈 로스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안정적 할당에 대한 연구로 201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는 28일 성명을 내고 “게임이론은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합리화할 수 없다”고 지적하며 램지어의 논문에 대해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 부정론이 연상됐다. 너무나도 고통스러웠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 참고로 둘 다 유대인.

하버드대 학부생 위원회는 한인유학생회(KISA) 청원을 받아들여 램지어 교수를 비판하고 사과하라는 성명을 냈다. 학생회는 표결에서 만장일치로 이런 결정을 내렸다. #

학술지 '미국 정치학평론'(APSR)의 편집자 12명 전원이 성명에서 램지어의 '위안부 논문'을 비판하는 데 동참한다고 밝혔다. #

국제법경제리뷰(IRLE)를 발행하는 네덜란드 출판사 엘스비어는 해당 논문의 게재 여부를 출판사가 결정한다고 밝히자 학자들 사이에서 출판사가 학문 진실성에 관여하면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출판사 측은 이미 인쇄본 발간 상태라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할 경우 논문에 대한 추가 조치를 할 가능성을 열어놨다. #

미국내에서도 램지어가 잘못된 인용을 하였다는 지적들이 줄줄이 제기되었고, 결국 공개적인 연판장을 통한 학계의 성토가 이어지면서 이렇게 많은 학자들이 이름을 올린 이상 일개 학술지가 논문을 철회하든 안 하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는 반응[7]까지 나올정도. (출처)

테사 모리스 스즈키 호주국립대학교 교수는 데이비드 맥닐 도쿄 세이신여자대학 교수와 함께 산케이신문의 해외판 Japan Forward에 '나쁜 역사'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었다.# 이 글에서 그는 램지어가 논문에 출처 불명의 내용을 적거나 원문을 왜곡한 사례들을 열거했다. 예를들면 조선총독부가 여성들을 중국으로 대량 송출하기 위해 작성한 문건을 해당 여성들이 '비인가 매춘부'로 일하게 해달라고 청원했다는 내용으로 둔갑시킨 부분을 지적했다. 그리고 램지어가 근거로 제시한 미국의 심문 보고서에조차도 실제로는 일본 모집업자들이 한국 여성 800여명을 '병원에서 일한다'고 속였다는 내용이 적혀있기 때문에 램지어의 결론과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하버드대 교내신문 '하버드 크림슨'이 마크 램지어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논문을 '매우 유해한 거짓말'로 규정하며 "출판할 이유가 없다"고 맹비난했다.#

하버드대에서 인문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은 성명을 내고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대해 "방법론적인 결함과 논문의 함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하버드대 라이셔 일본학연구소는 홈페이지를 통해 "램지어 교수의 최근 출판물은 하버드대의 일본학 연구자들 사이에서 학문의 실증적인 근거와 관련해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밝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존 마크 램지어 문서의 r2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존 마크 램지어 문서의 r2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1.2. 미국 정계[편집]


미국 국무부는 램지어 교수의 주장에 대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한 성적 목적의 여성 인신매매는 지독한 인권침해"라고 못박으며 "우리의 두 긴밀한 동맹인 일본과 한국 간의 관계 발전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론을 재확인했다. # #

한국계 미국인 정치인 영 김 하원의원도 트위터를 통해 "램지어 교수의 주장은 진실이 아니고, 사실을 오도할 뿐 아니라 역겹다"며 사과를 요구했다. # 그리고 JTBC와의 인터뷰에서 램지어 교수의 역사 왜곡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미셸 박 스틸 의원 공화당 하원의원 또한 램지어 교수의 주장은 피해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내용이며 우리는 인신매매와 노예 피해자를 지원해야 한다. 이들의 인격을 손상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후 일본대사관은 일방적으로 미셸 박 스틸 의원과의 약속을 취소해버렸다.[8]

조지 W.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공직윤리 변호사를 지낸 리처드 페인터 미네소타대 로스쿨 교수는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망언'과 관련해 "법치에 위협이 된다"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 그러면서 한국인 비난 댓글들이 1930년대 독일 우익언론 내용과 비슷하다는 발언하였다.

필라델피아 시의회에서 '위안부 논문'을 규탄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4월 6일. 샌프란시스코 시의회가 논문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3.1.3. 미국 사회[편집]


이에 비판적인 미국 사회의 여론의 주장은 램지어가 했던 주장들은 인신매매와 지배적인 관계에 의한 강제적인 성행위, 인권침해에 대한 옹호이며[9] 램지어의 주장들은 과거 성추행, 성폭행 피해자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며 피해자의 인격이 손상되어서는 안된다고 보는 것이다.

안창호 선생의 외손자인 "필립 안 커디"는 모친 안수산에게서 물려받은 도산 안창호 관련 사료들 기증과 관련하여 로런스 배카우 하버드대 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역사자료를 기증하기 위해 기존의 하버드대측과 해오던 협의를 중단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히며 램지어 교수의 "부적절한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직접적인 대가"라고 설명했다. 그는 배카우 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우리 가문의 유물과 일본이 제국주의 강점기에 우리 가문과 한국에 저지른 짓을 고려하고 램지어의 발언에 직접적인 대가를 치르게 하는 차원에서 사료를 하버드대에 기증하는 것과 관련한 모든 논의를 끝낼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하버드대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 IRLE를 향해서도 "학술적 자유라는 허울 뒤에 숨어 충분한 역할을 하지 않고 있으며 직원들이 학술자유 뒤에 자유롭게 숨어 위안부 여성과 관련해 그처럼 뚜렷하게 잘못된 의견을 토해내도록 내버려 두는 걸 보면 하버드대는 우리 사료를 보관할 장소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

미국의 한인단체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 비판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이라는 엄혹한 시기 여성에 자행된 지독한 인권 유린이자 무자비한 성폭력"이라면서 "결코 왜곡돼서는 안 되는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진실이라고 지적했다. #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 주최로 열린 온라인 세미나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매춘부’로 규정하는 논문을 쓴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에 대한 비판했다. 이들은 램지어 교수와같은 사람들이 일본이 과거사를 부정하고 다시 새롭게 쓰고 세탁을 하거나 세탁을 돕고있다고 지적했다.

뉴욕한인학부모협회와 매사추세츠주한인회, 아시아계미국인청년협의회는 기자회견과 공개서한을 통해 하버드대에 항의했다.

미쓰비시 불매운동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

하버드대 앞에서 규탄 시위를 하였다.#

3.2. 대한민국[편집]



3.2.1. 대한민국 정계[편집]


더불어민주당정의당은 각각 2021년 2월 16일 램지어 교수를 지지하는 국내 일부 세력을 향해 강력히 규탄하며 사과를 촉구했다. ## 허영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 논평을 통해 "온 국민이 합심해 왜곡된 주장을 바로잡고 진심 어린 사과를 요구해도 모자란 상황에 극우세력의 끝 모를 망언과 망발로 위안부 피해자분들 삶은 송두리째 부정당했다"며 "대한민국 품격은 곤두박질쳤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의 논문이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증거는 차고도 넘친다"면서 "왜곡된 주장으로 점철된 논문에 편승해 그를 옹호하는 극우세력은 도대체 어느 나라 국민입니까. 보수언론과 국민의힘은 그들 망언과 망발에 왜 침묵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구두 논평을 통해 "국내 있는 일부 인사들과 매체 등은 '이때다'하며 역사 왜곡에 앞장서고 있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운동을 폄훼하고 역사 왜곡에 나서는 움직임에 강력히 유감을 표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를 통해 위안부 피해를 가짜 피해라고 주장하더니 이제는 램지어 교수 논문에 힘입어 행동에 나서는 겁니까. 참담할 따름"이라며 "과거 힘겨운 상처들이 덧나지 않도록 모두가 나서야 할 때 이같은 행보들이 한탄스럽다"고 말했다. #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나경원 또한 "일본군 위안부 만행의 엄연한 진실과 사실을 지금도 왜곡하고 부정하는 비상식적인 자들이 계속해서 피해자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며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폭력"이라고 램지어 교수를 정면으로 비판하였다. 또한 미국의 한국계 연방 하원의원 영 김 의원과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램지어 교수가 스스로 해당논문을 취소하고 무책임한 역사왜곡에 대해 사과하게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군인 박영선 또한 "일본 전범기업 미쓰비시 교수 램지어가 '일본군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부'라고 주장한다. 황당하고 허무맹랑하다"라며 "일본의 전쟁범죄를 옹호하는 역사 왜곡과 반인륜적 인권침해인 램지어 논문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3.2.2. 대한민국 단체[편집]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하버드 로스쿨 교수 존 마크 램지어의 일본군 위안부 논문 관련 페미니스트 성명>이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한다고 한다. 16일 오후 5시 기준으로 1012명이 참여했다.

광복회에서 램지어 교수를 입국금지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동문단체는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는 매춘부" 발언을 옹호한 조셉 유진 이 교수의 파면을 촉구했다. #


3.2.3. 대한민국 학계[편집]


3월 18일 한국사연구회 등 역사학계와 시민사회단체 49개 단체가 공동으로 항의 성명을 발표하였다. # #
3월 31일 부산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가 램지어 교수에 대한 규탄성명을 발표하였다. # #


3.3. 중국[편집]



3.3.1. 중국 정계[편집]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관련 논문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위안부 강제 모집은 일본 군국주의가 2차 세계대전 기간에 아시아 지역 국민을 대상으로 저지른 심각한 반인도적 범죄"라며 이같이 밝혔다. #


3.3.2. 중국 학계[편집]


중국의 대표적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전문가인 쑤즈량(蘇智良) 상하이사범대 교수는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과 관련해 "1990년대 초 일본 우익 관점으로 되돌리려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주장을 용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

3월 28일 중국위안부문제연구센터 주최 행사에 참석한 학자들이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3.4. 북한[편집]


3월 2일,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그 어떤 궤변으로도 역사의 진실은 절대로 가리울 수 없다'는 제목의 대담 기사를 내어 비판했다. 매체는 램지어 교수를 향해 "과거 죄악을 덮어버리려는 일본 반동들의 뻔뻔스럽고 파렴치한 망동을 극구 비호 두둔하다 못해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을 '자발적인 매춘부'로 모독하고 비하했다"고 말했다. 조선의오늘은 램지어 교수의 왜곡 주장 배경엔 미쓰비시의 후원이 있다고 봤다.

매체는 "램지어는 미국에서 출생하자마자 일본으로 건너가 18살까지 살면서 일본 전범 기업인 미쓰비시의 후원으로 학교를 다녔다"며 "이런 자가 일본군 성노예 범죄를 덮어버리려고 획책하는 섬나라 것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글을 써낸 것은 조금도 이상할 것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고, "지금도 램지어는 미쓰비시의 후원을 받으며 교수직을 유지하고 있다"며 "추악한 돈벌레이자 사이비 학자"라고 비난했다.

이어 매체는 "남조선의 시민사회단체들은 미국 교수가 반인륜적 전쟁범죄를 비호하는 것에 대해 '학자의 자격을 상실한 비인간적 행위'라며 당장 사죄하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있으며 해외 동포들도 논문 철회와 진정성 있는 사과, 처절한 징벌을 주장하고 있다", "미국의 교수, 학자, 정치인들을 비롯해 세계 여러 나라의 학계, 정계 인사들 역시 램지어 논문을 '경험적으로나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오류투성이', '가짜뉴스는 학문이 아니다'며 비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우리 민족만이 아닌 전 인류가 램지어라는 자를 규탄하고 있다"며 "정의와 진리를 사랑하고 도덕과 양심을 귀중히 여기는 것은 전 인류적인 감정이고 지향"이라고 했다. #
이럴땐 한마음 한뜻

3.5. 일본 학계/시민단체[편집]


램지어 교수에 대한 성토가 전방위적으로 확산되자 처음으로 일본 내 학계와 시민단체들도 역사왜곡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

위안부 문제 학술 사이트를 운영하는 일본 시민단체 '파이트 포 저스티스'(Fight for Justice)는 3월 10일. 역사학연구회, 역사과학협의회, 역사교육자협의회 등 학술단체와 함께 램지어 교수의 논문 내용을 비판하는 긴급성명을 발표했다.#

3월 14일에 시민단체는 일본사연구회 등 다른 학술단체 네 곳과 연대해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비판하는 온라인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에는 2000년대 초부터 위안부 문제를 연구하며 일본 정부의 사과를 촉구해 '일본의 양심'으로 불려온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많은 일본 학자들이 참가하였다.#

언론 보도도 이뤄지지 않다가 오키나와인 차별 정당화 논문이 불거지자 지역지인 오키나와 타임즈가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다. 사설 사설에서 보이듯 현민, 즉 류큐인들의 자존심을 공격하는 행위로 받아들이고 있어 강한 분노를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도 램지어 교수의 후텐마 기지에 대한 망언은 덤.

독립을 쟁취해서 스스로 발언권을 갖추게 된 한국과 대놓고 차별을 받았던 오키나와에 가려져서 그렇지 일제는 본토에서도 취업사기를 통해 위안부를 공급해왔다. 그러나 이들의 피해호소를 일본 정부와 사회가 묵살해왔는데 램지어의 망언으로 인해 세계적인 이슈가 되자 일본 내 위안부도 목소리를 낼 기회가 되기도 했다.

3.6. 기타 반응[편집]


독일 베를린의 할머니들을 주축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하는 시민단체 오마스 게겐 레히츠 소속 활동가 레나테 크리스티안슨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대해 "세상에는 코로나19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면서 "헛소리"라고 일축했다. #

4월 5일. 한국과 중국, 일본의 39개 시민·학술단체가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일본군 위안부 논문은 철회돼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다음의 기사를 참조하면 램지어의 논문들이 어떠한 측면에서 검증되고 주로 비판을 받는지 알 수 있다. 즉, 무리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리한 일반화가 낳은 오류 '램지어 사태'

4. 그 외 여론[10][편집]



4.1. 미국[편집]



4.1.1. 미국 학계[편집]


로런스 배카우 하버드 대학교 총장은 단순히 학문의 자유라고만 한 게 아니라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는 분쟁적인 의견 또한 자유에 포함된다"라는 내용이었으며, 이 논문이 램지어 개인의 의견이라는 것도 덧붙였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논란의 여지가 크다는 점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고 일단 하버드는 이 의견에서 한 발 떨어져 있다고 밝힌 것.

적극적으로 제재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총장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다소 문제가 있다. 해당 논문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총장이 삭제/제재 등의 조치를 해버리면 어떤 논문도 이유만 있으면 총장이 직접 규제할 수 있는 선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로런스 배카우는 터프츠 대학교 총장을 지내면서 네이키드 쿼드 런(Naked Quad Run)을 금지시켰고 하버드 대학교 총장을 지내면서 원초적 비명(Primal Scream)을 금지시켜서 영원히 없앴다. 마크 램지어가 망언과 연구 부정을 저지를 자유가 있다면 왜 대학생이 함께 구경꾼과 카메라 렌즈 앞에서 알몸으로 달릴 자유를 박탈하는가? 한국에서도 미국에서도 이러한 이중잣대는 부각되지 않는다.

4.1.2. 미국 사회[편집]


# 이를 옹호하는 미국 사회의 주장은 '도덕성과 학문적 정확성이 모두 떨어지는 주장이긴 하지만, 학문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때문에 탄압할 수는 없다.'이다. 일단, 극히 일부의 친일 혹은 혐한 성향 학자들을 제외하면 램지어 교수의 주장이나 논문이 맞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없다. 역사학자로서의 그의 객관성, 공정성, 엄밀성에 대한 비판도 대단히 많지만 그런 연구조차도 표현의 자유나 학문의 자유에 따라 금지할 수는 없다는 것이 램지어를 옹호하는 미국의 여론의 입장이다. 대중이 학자의 연구에 대해 감정적인 표현으로 비난하는 것은 학문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으로 보여져 반발심리로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옹호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디플로맷'이라는 외교 전문 매체에 위안부 문제로 인한 학문의 자유가 크게 침해되었고 특히 한국인들이 건전한 토론을 하지 않고 오로지 한국인의 시선으로만 판단하고 있다는 기고문이 올라왔다. 미국 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잘 모른다는 사실도 덧붙였다. 특히 위안부가 가짜라거나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말했다는 이유로 벌금형 및 감옥형이 내려졌다는 점으로 인해 발언의 자유를 크게 침해했다는 언급이 나온다.[11] 물론 위안부 문제는 명백히 일본군의 범죄행위이고 특히 미국은 나치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아무리 고령이라도 독일로 내쫒은 사례가 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서 지적하고 있는 사실은 이렇다할 토론 및 논쟁 없이 무작정 우기는 태도이다. 단, 이 기사는 아무런 상관도 없는 고려~조선 시대에 공녀를 바친 일까지 가져와 마치 한국도 딱히 다를 게 없다는 것마냥 설명하고 있고[12], 일본이 과거 진상규명에 앞장선다거나, 마지막엔 이게 모두 한국의 검열 때문이라는 환상적인 개드립으로 점철되어 있으니 적당히 걸러 듣도록 하자. 아예 키워드가 South Korean censorship 이다. 웃긴점은 이 기고문을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한양대의 조셉 이와 연세대의 조 필립이라는 교수가 썼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이용식과 박찬운 교수가 "학문의 자유는 노골적 거짓말과 왜곡을 보호하지 않는다"라는 반박 기고문을 실었다.

이에 대해 일부 극단적인 한국 여론에서는 '미국 전체가 친일파 소굴', '가쓰라-태프트 밀약'이라며 공분하고 있지만, 이는 미국이 서구권에서도 유난히 표현의 자유에 대해 민감한 나라이기 때문이다.[13] 그러나 조셉 리와 조 필립 교수의 주장이 무색하게 정작 일본인들이 램지어 논문을 반박하는 학자들에게 각종 테러를 가하며 검열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학문의 자유에는 비판 및 반박도 엄연히 보장되어 있다. 애초에 논문이 늘 맞는게 아니기 때문에 학자들이 비판하거나 조목조목 반박해야하는 등 논리적으로 싸울 수 있도록 보장하는게 학문의 자유다. 무엇보다 램지어의 논문은 잘못된 정보와 근거로 작성된 것으로 학문의 진실성을 크게 훼손했다는 점이 문제이다. 그렇지 않아도 논쟁의 여지가 큰 주장인데 아예 틀린 정보에 기반했다면 극단적인 반응이 나올 수밖에 없다. 즉, 학문의 자유를 토대로 대중이 아닌 학계 차원에서의 토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지 램지어의 잘못된 정보로 쓴 논문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다.

해외의 많은 학자들이 여러 증거 및 논문을 토대로 램지어의 논문을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 아예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렇듯 램지어의 논문은 권위있는 전문가들에게도 격앙된 반응을 사고 있으며 이러한 학계의 분노까지 감정적인 떼쓰기, 자유의 침해로 봐서는 안된다. 미 경제학자 100인 이상이 참가한 램지어 비판 연판장에 관한 뉴스

이진희 이스턴일리노이주립대 사학과 교수에 따르면 법경제학국제리뷰(IRLE)의 조너선 클릭 편집장은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 '태평양 전쟁의 성계약'의 문제점을 지적한 학자들에게 일방적 주장이 담긴 반박 이메일을 보냈다.#

4.2. 일본 내부의 램지어 옹호 여론[편집]


해당 논문을 게재하기로 한 학술지에서 우려를 표명하며 자체조사를 결정하자# 제이슨 모건 레이타쿠대학 부교수와 5명의 일본 학자들이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놀랄만큼 광범위한 원자료에 근거한 탁월한 학술적 결과물"이라고 주장하는 공개서한을 보내며 존 마크 램지어 지지에 나섰다. #

거기에 아예 일본 유저들도 램지어를 지지하기 시작했으며 일본 위안부 문제를 베트남 문제로 엮어서 한국인들은 무슨주제로 비판하냐는 전형적인 물타기성 댓글들이 달리고 있다. 한국인들이 거짓말하고 있다고 주장할 정도면...

일본 네티즌들은 논문을 반박하는 학자들에게 각종 테러를 가하며 검열을 하고 있다.# 램지어 논문에 반박한 일본 학자들이 주된 대상이었다. 일본에 살고 있어서 테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야마다 히로시(山田宏) 자민당 참의원이 여기서 극우 여론의 맞춰 관여하겠다고 밝혔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에릭 메스킨 교수가 램지어의 논문 철회 요구 연판장에 이름을 올리자 일본 극우단체로부터 항의 메일을 받았다. 메일에는 위안부가 매춘부라고 주장하는 근거들을 첨부했는데 이 중에는 이영훈의 반일 종족주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번 램지어를 비판한 알렉시슨 더든 교수같은 경우, 일본 극우단체로부터 살해 협박을 받았다고 했다. #

일본쪽에서 램지어를 지지하는 학술대회를 열었으며 아예 램지어가 논문철회는 커녕 다른 학자들의 문제 제기를 펌하한 상태다.


4.3. 대한민국[편집]



4.3.1. 극우 인사들[편집]


이영훈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사장, 류석춘 연세대학교 교수, 정규재 한국경제신문의 주필, 정안기(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이우연(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병헌(국사교과서연구소장), 최덕효(한국인권뉴스 대표), 황의원(미디어워치 대표) 등은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설이 무오류의 신성불가침 영역일 수는 없다.”라는 골지의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 위안부 문제에 대한 본격적 토론의 계기로 삼아야!>라는 성명문을 냈다. # 성명문 전문은 기사 하단 그러나 이들은 순전히 지적인 이유로 그런 것이 아니라, JTBC 취재 결과 램지어가 논문에서 인용한 논지를 제공해준 인물들임이 밝혀졌다. #

조 필립스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부교수, 조셉 이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 부교수는 18일(현지시간) 미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에 "'위안부'와 학문의 자유"라는 제목의 글을 영문으로 공동 기고하며 램지어 교수를 비판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 기고문 원문

이후 한양대 조셉 이 교수의 과거 행보들에 대해 보도가 되었다. 조셉 이는 2019년 정치학방법론 강의에서 위안부를 연구하는 한국 역사학자들에 대해 최악의 사례에 주목하여 전체 위안부를 일반화하는 민족주의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으며[14] 2016년 당시 위안부 피해자들의 말을 무조건 신뢰할 수는 없고, 일본 정부만의 책임으로 볼 수 없다는 발언으로 구두경고를 받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 결국 보다 못한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동문단체가 조셉 이 교수의 파면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추가로 이영훈 교수의 <반일종족주의>를 ‘한국 사학자들이 민족주의에 기반하여 조작’해 내었고 진짜 현실이 아닌 합의된 현실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온다고 주장하며 인용하였다는 것도 드러났다.

이들은 심지어 미디어워치 대표의 명의로 ‘램지어 교수의 학문적 양심은 보호받아야 한다’, ‘외부인은 위안부 문제를 논할 권한이 없다[15], ‘당신의 개입은 이성적 토론을 방해할 뿐이다’[16]라는 사실상 잠자코 있으라는 압박과 함께 <하버드대 교수의 위안부 논문, 위안부 문제에 대한 본격적 토론의 계기로 삼아야!>라는 제목의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는 영상의 링크를 첨부한 메일을 램지어의 논문을 비판한 학자들에게 보내거나, 램지어를 지지하는 성명을 하버드대와 논문이 실린 학술지에 보내기도 했다. 메일을 받은 교수들은 하나같이 섬뜩해했다고. # 또한 이를 반박한 영상에 항의 댓글을 달기도 했다. * 미디어워치가 보낸 이메일 원문

이승만학당의 주익종은 이승만 TV에서 “램지어 교수 논문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경제학적인 분석을 한 것이고, 역사적으로 비난하면 안 된다”고 말하며 “법경제학적 논문으로 충분한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고, 하나의 완결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해당 논문 철회 의견에 대해선 “견해가 다르다고 해서 사과를 하라는 둥 철회를 하라는 둥 하는 것은 야만이고 학문과 사상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침해하는 행위를 버젓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이승만TV 영상. 이후 주익종은 위안부 계약의 증거와 관련한 영상도 추가로 공개했다. 이승만TV 영상. 하지만 이 문서에 적힌 학계의 여러 반박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램지어의 논문의 내용이 근거가 틀렸기 때문에 비판받는 것이지 '견해'가 달라서 비판받는 것이 아니다.

한 편, 이우연은 일본 극우단체가 연 심포지엄에서 램지어를 옹호하는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위안부는 기본적으로 끌려간, 강제 연행된 사람인데 무슨 계약이 있었다는 거냐고 하는데, 이는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모르고 하는 말"이라며 "직접적인 물리력을 동원한 조선인 강제 연행은 없었고, 그걸 입증할 만한 증거도 없다"며 국내외 역사학계에서 인정하지 않는 주장을 내세웠다. 그리고 그는 "반일 종족주의자들과 한국의 역사나 일본의 역사에 대해 하등 알지 못하는 백인들까지 나서서 이 소란을 피우게 된 것"이라며 램지어를 비판한 학자들을 비난하였다.#

램지어 교수는 위 인사들에 대해서 고마움을 표현하는 영상 편지를 미디어워치TV를 통해 공개했다.



4.3.2. 대한민국 학계[편집]


박유하 세종대 교수는 "언급된 논지 자체는 크게 틀린 건 없어 보인다"라고 말하면서도 "일본이 아무런 책임이 없다던가, 모든 잘못은 업주나 당사자에게 있다던가 하는 식이라면 그건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댓글 참조(로그인 필요) 반박글 관련 기사 여담으로 박유하는 램지어의 논문에서 자신의 전공인 일문학이 아닌 역사학 교수로 인용되기도 했다.
파일:20210219_174156.jpg

4.3.3. 대한민국 정계[편집]


여성가족부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내용을 미리 파악했지만 직접적인 대응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2월 1일 해당 논문 원본을 확보해 검토했고 그로부터 2주가 지나도록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것이다. 2월 16일 국회 여가위 전체회의에서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명예훼손 사례에 대해 유감이다"라고 밝히면서도 "논문자체에 대응한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또한 2월 18일에도 정부 차원에서 대응할 가치가 없다는 취지로 발언했는데, 정 장관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 출석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으로부터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알려진 후 2주간 여가부가 무엇을 했는지 질문받고 "이 논문이 정부가 대응할 정도의 가치가 있는 논문인지 (의문이다)"라고 답했다. # # 한편 정 장관은 3월 2일에 정부서울청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현안을 논의하는 긴급 전문가 간담회를 주재하고 "램지어 교수처럼 연구자로서 기본을 갖추지 못한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고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을 훼손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ABC뉴스 3월 8일자 기사에도 인용되었다.#[17]

4.4. 기타 반응[편집]


일본 외무성이 스탠퍼드 대학교의 대니얼 스나이더 교수에게 접촉해 램지어의 논문을 이용해서 한국 정부의 주장을 비방하려고 한 점도 드러났다. # 이후 논란에 대해 알게 된 후 해당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 정부가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포용하는건 아니라고 했다고 전했다. (JTBC 유튜브)

5. 기타[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램지어가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재일조선인 역사왜곡 논문을 게재한 사건에 대한 내용은 램지어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재일조선인 역사왜곡 논문 사건 문서
램지어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재일조선인 역사왜곡 논문 사건번 문단을
램지어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재일조선인 역사왜곡 논문 사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램지어 교수는 재일조선인과 관동대지진 관련 논문도 전문가에게 문제가 되었다.

"SBS가 스탠퍼드대학 역사학과의 문유미 교수에게 문제의 논문을 보내주고 검토를 부탁"

"논문을 읽다가 너무 놀라고 황당해서 자신도 메모를 했는데 너무 많아서 어디서 어떻게 말을 해줘야 할지 모르겠다고 표현"

"문 교수는 간토대지진에서 학살당한 한국인들을 언급하면서 제주4·3사건을 꺼내며 한국 정부는 더 많은 한국인들을 살해하지 않았냐고 언급한 것에 분노를 표시했습니다. 일본에 귀화한 사람들은 그나마 가치가 있는 사람이고, 남아 있는 재일교포는 질이 안 좋은 사람이라는 설명은 일본은 선, 한국은 악이라는 이분법적인 시각을 담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게다가 소수 집단에서 지도세력은 기회주의적으로 그 집단을 착취한다고 기술해 재일교포들의 히스토리를 완전히 폭력적으로 재구성했다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문 교수는 한마디로 이 논문 자체가 재일교포 사회에 대한 엄청난 폭력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램지어 교수가 조선인을 딱 떼서 범죄율이 높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식민시대의 인종적인 차별에 대한 맥락을 전부 배제하고 조선인은 폭력적이고 범죄를 저지른다는 기술은 학자로서의 양식을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문 교수는 말했습니다. 이 토론 자료가 논문으로 나온다면 이번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논문과 비슷한 학계의 스캔들이 또 다시 일어나게 될 거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


결국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민영화'를 주제로 발간하는 핸드북에 실릴 예정이었으나 전부 수정되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학술지 공동편집장, 연합 인터뷰서 간토 조선인 학살 왜곡한 램지어 논문 상당히 수정하기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매우 유감스러운 실수"라고 인정했다'''.

논문마다 제이슨 모건에게 감사인사를 보낸것으로 알려져 제이슨 모건과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

마리 베리 역사학 교수(버클리대), 데이비드 웨이스타인 경제학 교수(컬럼비아대)는 램지어에게 지지 서한을 보내며 연구가 정확하다거나 독자들이 판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학자들의 반박문들이 이어지며 논문의 실체에 신뢰성이 무너지자 이들도 오류를 시인해야 한다, 논문 철회가 적절할 것이다로 태도를 바꿨다.

한국 인터넷에서는 해외에 다소 알려지지 않았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수면위로 끌어올린 안티 히어로 취급을 한다.


6. 외부 링크[편집]


[1] 중립 및 옹호 등[2] (Archive)[3] 산케이 신문이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영어 뉴스 사이트다.[4] 해당 문서에 서술되어 있듯이 존 램지어의 교수직은 미쓰비시의 후원을 받는 자리다.[5] 해당 기사를 쓴 제이슨 모건 레이타쿠대학 부교수 역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의 입장에서 옹호하는 일본 극우사관, 일뽕 미국인 학자다. # 2015년 일본 정부의 미국 역사교과서 일본군 '위안부' 서술 개입 시도 당시 미국 역사학자 19명이 성명을 냈을 때 제이슨 모건은 19명의 학자들이 일본의 정당한 항의를 무시하고 있다며 성명을 낸 미국 역사학자들을 비난한 바 있다. 이번에도 일본인 학자 5명과 함께 램지어 교수를 지지하는 공개서한을 냈다.[6] 그가 연판장에 서명한 이유는 램지어 교수가 게임이론과 메커니즘 이론으로 위안부 매춘부설을 정당화했기 때문이다.[7] 한마디로 학계에서 이정도로 대대적으로 램지어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집단 움직임들이 나왔으니 이제 램지어의 논문이 철회되든 철회되지 않고 올라가도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미 램지어가 쓴 해당 논문이 가지는 학술적인 의의가 무너졌기 때문.[8] 트위터를 올린 다음날 취소이기 때문에 대놓고 노골적인 거부이다. 취소 사유조차도 집안 사정을 핑계로 댔다.[9] 위안부에 대해 일본의 과거사 수정 문제로 보기도 하지만 일본의 과거사 문제보다는 여성의 인권 보호와 신장, 여성 유린에 대한 비판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10] 중립 및 옹호 등[11] 자유가 어디까지 허락되는지 나라마다 다르고 관점이 달라서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기 뭣하다.[12] 공녀는 원나라에 뺏긴거지 한국이 원나라 여자들을 데려와 성노예로 쓴게 아니다. 거기다 중세 시절 이야기.[13] 미국 같은 경우에는 한국에서는 명예훼손으로 고소할만한 것들도 얼마든지 표현의 자유 아래 보장된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장례식에서 고인에게 잘 죽었다고 패드립 쳐도 나치를 찬양해도 넘어간다. 논란이 될 수는 있겠지만 법적 처벌을 받지는 않는다는 것, 이 모두가 미국의 수정헌법 1조로 보장된 '권리'이다.[14] 이에 한양대 학생측에서 피해자가 다수 존재하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전쟁범죄를 증명하는 사료들이 발굴되었다고 지적하며 양적 연구 부족 비난에 반박했다.[15] 이 부분에 대해서는 결정적인 오류가 하나 있다. 현재 이 기막힌 논란을 불러 일으킨 램지어 교수도 외부인이라는 점이다.(...)[16] 상대방의 주장에 논리적 근거를 들어 반박하는 것 역시 훌륭한 이성적 토론의 태도다.[17] Chung Young-ai, South Korea’s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expressed dismay over the article last week.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존 마크 램지어 문서의 r1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존 마크 램지어 문서의 r129 (이전 역사)
존 마크 램지어 문서의 r1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05:49에 나무위키 존 마크 램지어 위안부 논문 게재 논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