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트(게임)/방사능 구역

덤프버전 : r20200302

파일:러스트 로고.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아이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개발 ]


1. 0티어
1.1. 채굴 기지
1.2. 동굴
1.3. 얼어붙은 호수
1.4. 송전탑
1.5. 돔
1.6. 편의점, 주유소
1.7. 채굴기
1.8. 쓰레기장
2. 1티어
2.1. 하수 분기점
2.2. 안테나
2.3. 항구
3. 2티어
3.1. 물 정화 시설
3.2. 전력 단지
3.3. 화물 단지
3.4. 공항
4. 3티어
4.1. 군 터널
4.2. 로켓 발사장
4.3. 오일 리그
4.4. 라지 오일 리그
5. 기타
5.1. 세이프 존
5.2. 벤딧 타운
5.3. Giant Excavator Pit



1. 0티어[편집]


키카드가 필요하지 않은 방사능 구역이다.

1.1. 채굴 기지[편집]



파일:20190429055440_1.jpg


인게임상 표기로는 Mining Outpost.

인게임에서 웨어하우스 라고 불리던 파밍 구역.
일반 상자 2~3개
나무 상자 2~3개
재활용기계와 수리대가 배치되어있다.

옛날에는 채굴 기지마다 한대씩 돌, 유황, 철, 고품질 철이 다 나오는 채굴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업데이트로 따로 나뉘게 되었다. 이하 후술.


1.2. 동굴[편집]



인게임 표기로는 Cave.
채굴 기지와 마찬가지로 방사능은 없다.

이전에는 동굴 내부를 전부 활용할 수 있었지만, 업데이트로 용도가 바뀐 지금은 내부에 광석이 리젠되고, 지을 수 있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있다. 전보다는 실상 활용도가 떨어진 셈.

동굴 주변에는 드럼통이 심심치 않게 리젠 되어 있으며, 입구에는 광질장비를 랜덤하게 드랍하는 수레와 상자가 있다.


1.3. 얼어붙은 호수[편집]



파일:20190802082113_1.jpg

업데이트로 추가된 지형. 겨울 지형에만 생성되며, 방사능은 없다.

사실상 파밍 장소라고 보기도 어렵지만, 드럼통이 많다. 간혹 중간에 버려진 파손된 차량이 있기도 하다.

흔하지 않은 평평한 지형이라, 큰 집을 짓고싶다면 이곳에 지어보는것도 나쁘지않다.


1.4. 송전탑[편집]


마찬가지로 파밍장소라고 보기엔 어렵지만 드럼통과 상자들이 스폰되는 장소이며, 랜덤하게 송전탑 근처에 과학자들이 스폰된다.

일부러 찾아가기엔 효율이 좋지않으니 동선에 따라 참고만 하는게 좋다.


1.5. 돔[편집]



파일:The dome.jpg

인게임 내 명칭은 The sphere 혹은 The dome이며, 한국 플레이어들에게는 '지구본'으로 통칭된다.

키카드를 획득할수도, 키카드 사용처도 없지만, 파밍 동선이 확정되어있어 소요되는시간이 적은편이다.

외부에는 돔 아래에 석유 드럼통이 5개, 일반 드럼통이 1~2개 리젠되어 있다.
내부에는 일반 상자 7개, 군수 물품 상자 4개가 꼭대기에 리젠되어있다.

그리고 꼭대기부근에는 디젤연료가 1개~2개정도 드랍된다

돔 아래에는 정유기가 있는 컨테이너 2개가 있다

방사능 레벨은 중간정도 이며, 삼베세트+나무흉갑,나무 하의 갑옷 정도를 입으면 충분하다. 방호 수치가 10이상이면 들어갈수있다.


1.6. 편의점, 주유소[편집]



파일:20190429054810_1.jpg
파일:20190429055135_1.jpg


1레벨 키카드를 얻을수 있는 장소
인게임 명칭은 Abandoned supermarket, Oxium's Gas Station 이며, 방사능 레벨은 0.

내부는 음식을 드랍하는 작은 상자 여러개
일반 상자 2~3개
군수 상자 1개
재활용기계(주유소, 편의점 둘다있다)
광산 상자(주유소, 편의점 둘다있다)
으로 이루어져 있다.

1레벨 키카드는 사무실 책상위에 올려져있다.

1.7. 채굴기[편집]



파일:quarry.jpg

인게임 내 표기로는 채굴하는 광석에따라. Stone(돌), Sulfur(유황), HQM(고급 철) quarry 등으로 나뉜다.

앞서 서술했듯, 원래는 채굴기지에 함께 있었으며, 업데이트로 분리되고는 망루와 움푹 패인지형의 독립된 구역으로 나오게 되었다.

저급 연료를 저장하고 엔진을 가동하면 광석이 나오는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1.8. 쓰레기장[편집]




파일:20190429061145_1.jpg


인게임 내 표기로는 Junkyard.
말그대로 쓰레기장 이다.

온갖 녹슨 쓰레기들부터 차량까지 별의 별게 다 있다.
주어진 길 외에는 철조망이 처져있어, 다가가면 피해를 입는다.

2. 1티어[편집]


1레벨 키카드(초록색)를 사용할수 있는 방사능 구역이다.
퓨즈(Electronic Fuze)를 사용하여 전기를 작동시키면 카드리더기에 불이 들어오며, 키카드를 사용하고 열은 방 내부의 책상에서 다음레벨 키카드가 랜덤하게 젠 된다.

2.1. 하수 분기점[편집]



파일:Sewer Branch.jpg

인게임 내 명칭은 Sewer Branch 이지만 한국인 외국인 할것없이 통칭 래드 타운 으로 불린다.

파쿠르로 오를수있는 타워가 하나있으며, 그 위에는 일반 상자, 군수 물품 상자가 3~4개 젠되어 있다.
근처 거대한 파이프 속에도 일반 상자가 젠되어 있으며, 동굴에도 3개정도 젠되어있다.

전기를 작동시킨 후, 지하에 가보면 초록색 카드리더기가 불이 들아와있는데 1레벨 키카드로 긁으면 열리게된다.

2.2. 안테나[편집]



파일:Satellight dish.jpg

인게임 명칭은 Satellight dish.
각 안테나 마다 상자가 하나씩 있으며 연구대와 재활용기가 존재한다.
퓨즈를 꽂고 들어가는 곳에 파란카드키와 2개의 상자가 있다.

2.3. 항구[편집]


기본적으로 내부에 정유기, 재활용기계가 배치되어있다.
퓨즈를 쓰는방이 3가지 종류인데, 컨테이너 2개가 위아래로 연결되어서, 외부계단으로 올라가서 여는 퍼즐방, 1층짜리 컨테이너 2개가 따로 떨어진채로 퓨즈를 끼워서 컨테이너 외부에 있는 스위치를 킨 후 보상방으로 이동하는 퍼즐방.
후자는 따로떨어진 대신에 1층짜리라 계단걱정은 없고, 대신에 1층이라 별에 별 잡컨테이너도 1층이니 찾기 짜증난다. 전자는 찾기는 쉽지만 필요없는 잡템만 나올경우 재활용하기 나쁜 위치에있다.

3. 2티어[편집]


2레벨 키카드(파란색)를 사용할수 있는 방사능 구역이다.
이곳도 마찬가지로 책상위에 다음레벨(빨강) 키카드가 스폰된다.

3.1. 물 정화 시설[편집]




파일:20190429060535_1.jpg

(경험상 2티어파밍지중 제일 먹기쉬운 방사능지역)

워터플랜트라고도 불리며 퓨즈 1개와 파란색 카드만 있으면된다. 상자갯수는 상당히 많으며 방사능이 안뜨는곳이 많아 맨몸으로 가도 된다

높게 솟아오른 급수탑 근처에 점프맵에서는 무기상자와 일반상자가 나오며 음식상자나 메딕상자도 나온다

3.2. 전력 단지[편집]



파일:power plant.jpg

인게임 내 명칭은 power plant.
전력 단지에 있는 큰 발전소 두개중 멀쩡한 건물엔 상자가 3개까지 리젠되며 부서져 있는 건물은 상자가 약 2개정도 리젠되지만 방사능 수치가 매우 높아 방사능복을 입어도 수치가 올라갈정도라 위험하다.
본 건물 외부에 상자가 더 많은 편이며 내부에서는 카드키를 넣고 들어가면 1층 테이블에 초록카드키, 3층 파란 카드키 내부공간에서 빨간 카드키를 얻을 수 있다.

초록 카드키 무한 파밍이 가능한 곳인데 스위치만 돌리고 초록카드키를 사용해서 들어가면 멀쩡한 초록 카드키가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3.3. 화물 단지[편집]


인게임 내 명칭은 Trainyard. 주로 트레인야드로 불린다.
전반적인 방사능 레벨은 높지않지만, 높게 쌓아져있는 쓰레기더미와, 메인 건물 2층 이상, 급수탑 부터는 전반적인 옷을 갖추고 가지 않으면 방사능 수치가 무지막지하게 올라간다

급수탑 바로 앞에있는 건물과 석탄을 쌓는 건물 4층에서 각각 스위치를 킨 뒤에, 메인 건물 2층에서 퓨즈를 끼우고 스위치를 켜게되면 3층(1레벨), 4층(2레벨)의 키카드 리더기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4층에 2레벨 키카드를 이용해 들어가게되면, 컴퓨터가 놓여져 있는 책상 위에 3레벨 키카드가 젠되어 있다.


3.4. 공항[편집]



파일:20190429053400_1.jpg
파일:20190429053417_1.jpg


인게임내 명칭은 Airfield. 주로 에어필드로 불린다.
방사능 레벨은 구체와 비슷한 수준이며. 삼베옷+나무갑옷 세트정도면 방사능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다.

격납고 건물 3개와 탑 5개, 그리고 메인 건물로 이루어져있다.
전엔 구성이 이렇게 끝이었으나, 업데이트로 하수분기점과 비슷한 지하시설이 생겼다.

전력 수급은 간단한편인데, 메인건물 내부에 퓨즈를 장착하고 타이머[1]를 작동시키면 지하시설에 있는 키카드 리더기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마찬가지로 시설 내부 책상에 3레벨 키카드가 놓여져있다.


4. 3티어[편집]


3레벨 키카드(빨간색)를 사용할수 있는 방사능 구역이다.

4.1. 군 터널[편집]



파일:20190429055808_1.jpg


파일:20190429055840_1.jpg


파일:20190429060002_1.jpg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보여주는 파밍지역

밀리터리 터널이나 밀터 로도 불리며 런치사이트보다도 가장 힘든곳이다. 키카드는 초록색 파란색 빨간색 전부 필요하며 퓨즈는 1개만 있어도 되지만 혹시모르니 1개 더챙기는게 좋다. 방사능 수치는 그리 높지않지만(20만 넘겨도 충분) 내부는 어두컴컴한데다 선공격 과학자 NPC들이 있어서(진짜많다) 플래시 라이트를 달은 총을 필수적으로 들고가야한다. 중앙 컨테이너쪽은 키카드없이 엘리트박스를 무려 5개나 루트할 있으며 퓨즈방에 들어갈경우 엘리트박스가 3개 더있다

내부가 상당히 어두운것도 있지만 선공격 과학자 NPC의 수가 상당히 많아 솔플로는 힘들고 2명 이상이서 주사기를 많이 챙기고 가야한다. 최근 npc 인공지능 상향으로 말도안되게 어려워졌다. 가끔 과학자 시체에서 주사기가 나오기도 한다. 키카드나 철곡괭이는 덤.

내부에 있는 과학자 NPC는 상당히 위험하며 싸울때엔 주변에 총소리듣고 찾아오는 밴딧들도 많으므로 소음기를 장착한 무기를 들어 빠르게 잡아야한다

그리고 밀리터리 터널 내부에는 일반과학자와 똑같게생겼지만 무기부터 체력까지다른 둔갑한 헬기npc가 존재한다 카드방내부에는 1~2씩 존재하니 일반과학자라 생각하여 방심하지말자

4.2. 로켓 발사장[편집]


파일:20200225.png
인게임 내 명칭은 Launchsite. 한국인들 끼리는 주로 런싸, 발사대, 발사장 등등 다양하게 불린다.

방사능 레벨은 방사능 방호복없이는 들어갈 생각을 않는게 좋다. 심지어는 메인건물의 경우, 방사능 방호복의 방호력마저도 상회하여, 들어가서도 물병으로 지속적으로 방사능 수치를 낮추거나, 방사능 알약을 삼키거나, 주사기를 사용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

메인건물 옥상에는 3티어 방사능 구역에만 젠되는 엘리트 상자가 3개씩 젠되어 있고, 발사장 지하에서 파쿠르를 하고 측면입구로 들어가면 노란 상자나 군수상자가 4개 있다.

패치 이전에는 메인건물 전면의 해치가 열려있었으나, 패치후엔 닫겨있으며, 내부로 APC가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파밍 방법은 그렇게 어려운편은 아닌데, 로켓 발사장이 12시, 메인건물 후면이 6시라고 할 때, 3시쪽 살짝 높은 지형에 연료 시설이 두개. 그리고 그옆에 작은 건물이 보일것이다. 이곳은 별다른 조치 없이 항상 1레벨 키카드 리더기가 작동하고 있으며, 키카드를 사용하여 들어가면, 퓨즈와 스위치가 보인다. 퓨즈를 장착하고 스위치를 올린뒤에 제조공장 해치에서 왼쪽으로 가면 직원 숙박시설이 보일것이고, 들어가지말고 좌회전을 하면 같은건물의 측면입구가 보인다. 들어가면 똑같이 퓨즈와 스위치가 있고, 퓨즈를 장착하고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메인건물 측면의 키카드(3레벨) 리더기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만 여기서 끝난게 아니다. 키카드를 사용하여 입장하였다면, 파밍을 끝낸후 나가야 할것인데, 단순히 빨간 버튼을 누른다고 문이 열리지 않는다. 이경우에 당황해서 아무것도 못하고 방사능에 찌들어 죽는 뉴비들이 많은데, 해치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후면 좌측에 빨간 로고가 써져있는 문이 있을것이다. 거기서 비상 발전기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메인건물 측면의 나가는문 버튼이 활성화된다.

4.3. 오일 리그 [편집]


인게임 내 명칭은 Oil Rig[2]

바다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위 파밍지에도 불구하고 방사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 과학자보다 더 뛰어난 AI를 가지고 있는 오일 리그 NPC가 다수 존재하며, 기존 과학자들보다 더 좋은 아이템들을 획득 할 수 있다.

각 층 여기저기 드럼통과 상자들이 배치되어 있고, 대형 굴착기를 사용하기 위한 디젤 연료를 얻을 수 있다.

선착장을 제외한 층 중 3층에서 초록 키, 4층에서 파란 키, 빨간 키를 사용 할 수 있다. 4층에는 잠긴 상자가 존재하는데 잠금 해제를 시작하면 경보음이 들리며 M249로 무장한 다수의 헤비아머 NPC를 태운 수송 헬기가 출현한다.

4.4. 라지 오일 리그 [편집]



파일:Large oil rig.jpg

일반 오일리그보다 더 큰 라지 오일리그

당연히 과학자들도 더 많다.


5. 기타[편집]



5.1. 세이프 존[편집]


파일:Rust safezone.jpg
2018년 5월 4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장소이다.
세이프 존에는 원유 정제기, 재활용 기계, 자판기 등등이 있으며, 세이프 존 내에서의 자판기에서 스크랩 100개로 2레벨 키카드(파란색)을 교환할수 있다.

세이프 존 내 에서 지켜야할것
아래사항 위반시 30분 동안 적대상태로 변환
1. 무기를 들지말것.
2. 루팅(약탈 및 시체에서 전리품을 챙기는행위)를 하지 말것.
3. 죽이지 말것.
4. 구역 내에서 잠들지 말것.

우무기는 인벤토리나 벨트에 넣는건 상관없지만 무기를 드는순간 5초동안 시간을 주고 그 시간내에 무기를 안내리거나 누군가를 쏘면(플레이어나 과학자 등) 30분동안 그 구역내에서 적대상태로 된다. 또한 헬기나 열기구가 아웃포스트 위로 지나갈시 터렛에 의해 격추된다.

시체 루팅의 경우, 자신의 시체만을 루팅할수 있고, 구역내에서 게임종료 할경우, 서버와 끊어지자마자 터렛의 총구가 자신에게 향하게 된다.


5.2. 벤딧 타운[편집]


파일:Rust Bandit town.jpg
2018년 8월 3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장소다.

세이프존의 과학자 NPC처럼 중립 NPC가 있으며 규칙은 세이프존과 비슷하다 상점이 있으며 무려 스크랩으로 도박을 할수있는 도박장이있다

스크랩으로 각종 무기들 구매가 가능하다
세이프존에 잘수도 있다


5.3. Giant Excavator Pit[편집]



파일:giant excavator pit.jpg

한국시간으로 8월 2일 업데이트된 새로운 아이템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굴착기다.

약간의 방사능이 존재하며, 18명 정도의 선공격 과학자가 배치되어있다.

디젤 연료는 오일리그와 라지 오일 리그 그리고 돔에서 얻을 수 있으며, 전초기지에서 저급연료 300개를 주고 구입할 수도 있다. 얻은 디젤 연료를 굴착기 중앙에 위치한 기관실의 연료 탱크에 넣은 후 시동을 걸고, 굴착기 앞쪽 끝에 위치한 제어실에서 원하는 광물을 선택하면 굴착기가 가동되며, 채취된 광물은 제어실 반대편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 양쪽 끝에서 얻을 수 있다.

(2019.10.4이후 금속 광석, 유황, 돌 버프)2분당 1개의 디젤 연료가 소모되며, 디젤 연료 10개당 각 돌 50000개, 금속 광석 20000개, 유황 광석 7500개, 고품질 금속 광석 400개를 얻을 수 있다.




[1] 1분동안 작동한다.[2] 석유 굴착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