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문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러시아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러시아식 도치법에 대한 내용은 러시아식 유머 문서
러시아식 유머번 문단을
러시아식 유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헌정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 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 호 · 한카호 · 돈 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 산맥 · 스타노보이 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 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 반도 · 타이미르 반도 · 캄차카 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 섬 · 콜라 반도 · 축치 반도 · 크림 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초르노젬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브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국가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1. 개요
2. 강세
2.1. 남성 명사
2.2. 여성 명사
2.3. 중성 명사
3. 정자법
4. 명사·대명사·형용사 곡용
4.1. 격
4.2. 명사
4.2.1. 수사
4.2.2. 1변화(여성)
4.2.3. 2변화(남/중성)
4.2.4. 3변화(여/중성)
4.2.5. 기타 불규칙
4.3.2. 소유대명사
4.3.3. 지시대명사
4.3.4. 의문대명사
4.4. 형용사
5.1. 동사 활용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본 문서는 러시아어문법을 다룬다. 러시아어 문서에도 언급되듯이,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큰 문법적 차이가 있으며 이나 시제 등의 복잡함 때문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인도유럽어족의 많은 타 언어들과 달리 관사가 없는 점 등은 배우기 편할 수 있다.

영문판 위키책 <러시아어>에 교과서처럼 알기 쉽고 자세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어 참고하면 좋다.


2. 강세[편집]


(극히 드문 예외를 제외하고) 끝에서 두 번째 모음에 강세가 오는 폴란드어체코어 등과 달리, 러시아어의 강세는 수많은 불규칙과 예외사항이 많아 초심자들을 헷갈리게 한다.

소련 및 러시아의 언어학자였던 안드레이 잘리즈냐크(Андрей Зализняк, 1935–2017)는 러시아어 단어에서 강세가 어간(stem, S)에 떨어지는지 혹은 어미(ending, E)에 떨어지는지를 중심으로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현재까지 보편적인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잘리즈냐크의 분류
분류
a
b
b'
c
d
d'
e
f
f'
f''





















주격
S
S
E
E
E
E
S
E
E
S
E
S
S
S
E
S
E
S
E
S
대격
S

E

E

S

E

S

S

E

S

E
속격
S
S
E
E
E
E
S
E
E
S
E
S
S
E
E
E
E
E
E
E
여격
S
S
E
E
E
E
S
E
E
S
E
S
S
E
E
E
E
E
E
E
도구격
S
S
E
E
S
E
S
E
E
S
E
S
S
E
E
E
E
E
S
E
전치격
S
S
E
E
E
E
S
E
E
S
E
S
S
E
E
E
E
E
E
E

  • 복수 대격의 경우 활동체 명사(animate nouns)는 생격 복수와, 불활동체 명사(inanimate nouns)는 주격 복수와 그 형태가 일치한다.


2.1. 남성 명사[편집]


남성 명사의 대다수[1]는 패턴 A를 따른다. 단 예외가 있다.

  • 몇몇 1음절 명사의 경우 패턴 B를 따른다. 예: блин, врач, жук, ковш, ноль 등[참조]
  • -ец, -ёж, -як, -ун 등으로 끝나는 경우 패턴 B를 따른다.[참조]

  • 몇몇 1음절 명사의 경우 패턴 C를 따른다. 예: сад, фронт, шкаф 등[*참조 ]
  • 주격 복수 형태가 -а/-я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패턴 C를 따른다. 예: дом, край, учи́тель [2]

  • 몇몇 1음절 명사의 경우 패턴 E를 따른다. 예: бог, волк, год, зверь, лось, род[*참조 ]
  • 몇몇 다음절 명사의 경우 패턴 E를 따른다. 예: во́лос, ка́мень, ко́рень, ле́бедь, о́вощ, па́рень[*참조 ]
  • 복수로만 쓰이는 몇몇 명사의 경우 패턴 E를 따른다. 예: кле́щи, мо́щи, са́ни, слю́ни

  • гвоздь, груздь, червь의 경우 패턴 F를 따른다.

2.2. 여성 명사[편집]




2.3. 중성 명사[편집]



3. 정자법[편집]


러시아어는 기본적으로 현대 러시아어 정자법(正字法)을 기초로 하여 격변화 등을 하기에 초급 러시아어 단계에서 정자법을 익히는 것은 여러 격변화를 접하게 될 때 좀 더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분류
[a]
[o]~[e]
[u]
[i]
ь
а
я
о
ё
е
у
ю
ы
и
г, к, х
O
X
O
X
Rf.
O
X
X
O
X
ш, ж
O
X

X
O
O
X
X
O
O
ч, щ
O
X

O
O
O
X
X
O
O
ц
O
X

X
O
O
X
O
Rf.
X

  • Rf. : 굴절 시에 나타남(고유어 어근에서 나타나지 않음)
※ 권설음, 치경구개음, ц 뒤에 о가 나올 때 강세가 무조건 о에 들어가지만 정서법이 완벽히 정리된 게 아니라서 어간에서 치경구개음 뒤에 나오는 ё는 о에 통합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단, 이는 러시아어용 정자법이기에, 외래어·외국어 표기를 위해서 예외가 발생할 수도 있다. Фредди МеркьюриИэн Кёртис 같은 경우가 그 예. 한 가지 눈여겨볼 점은, 'Интервью(인터뷰)'처럼 타 언어의 /j/ 발음을 'Интервю'처럼 바로 연음시켜 적는 게 아니라 ь+/j/ 식으로 적는 경우가 많다. 즉 러시아인 입장에서는 /j/와 /ʲ/가 확연히 구분되는 발음이라는 뜻이다.

외래어 관련 참고사항
* 외래어를 가지고 올 때 "e"가 [je]가 아닌 [e] 발음이 나더라도 "э"가 아닌 "е"로 표기한다. кафе가 그 예시.
* [jo] 계열 발음은 "ё"가 아닌 "йо"로 표기한다. Тойота가 그 예시.
* "ё"는 오히려 [oe] 계열 발음을 전사할 때 사용한다. Кёнигсберг가 그 예시.
* [y] 계열 발음은 "ю"로 표기한다. Юрген이 그 예시.

4. 명사·대명사·형용사 곡용[편집]


러시아어에서 명사·대명사·형용사는 성·수·격에 따라 다르게 곡용한다.

4.1. 격[편집]


현대 러시아어의 격은 전통적으로 6가지로 분류하고 주격 ➩ 생격(소유격) ➩ 여격 ➩ 대격 ➩ 조격 ➩ 전치격 순서로 배열한다. 물론 격마다 세세한 용법이 있다.

형용사는 명사의 성·수·격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단수 총 18개 변화(격 6개 × 성 3개)에 복수는 6개(복수일 때는 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 주격(Именительный падеж, 主格): 문장의 주어. '~가'
  • 생격(Родительный падеж, 生格): 소속, 소유, 양화(量化) '~의'(이에 관해선 "수사" 문단 참조), 부정[3]
  • 여격(Дательный падеж, 與格): 간접목적격. '~에게'
  • 대격(Винительный падеж, 對格): 직접목적격. '~를'
  • 조격(Творительный падеж, 造格): 동반. 수단. 자격. '~로', '~와', '~로서'
  • 전치격(Предложный падеж, 前置格): 전치사 없이는 쓰이지 않는다. 단 모든 전치사가 전치격과 붙어 나오지는 않는다. 전치격은 장소나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일부 교재들은 격을 위에서 배열한 전통적인 순서에 따라 숫자를 매겨 부른다. 주격을 1격, 생격을 2격, 여격을 3격이라고 부르는 식.

특정 명사에만 사용되는 특수한 격이 따로 있다.
  • 부분격(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падеж, 部分格): 불가산명사의 일부를 가리키는 격으로,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대부분 생격에 통합되었다.
  • 처격(Местный падеж, 處格): 장소를 나타내는 격이지만, 거의 대부분이 사라지고 전치격으로 통합되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снег, рай 등 남성명사 150여 개와 дверь 등 극소수 여성명사는 в나 на 뒤에 처격을 사용해야 한다. 다만 여성명사에서는 그 형태가 전치격과 동일하고 강세만 어말에 온다.
  • 호격(Звательный падеж, 呼格): 누군가를 부를 때. '~야', '~여' 일부 단어 외에는 거의 안 쓰이니 무시해도 좋다. 애초에 고대 교회 슬라브어 시절에도 성/수/격에 따른 곡용과 형용사 활용이 모두 완전히 이루어지는 수준의 호격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14세기 이후에는 사실상 사멸하였다. 다만 문어와 문법에서는 사라졌지만, 아직까지 구어에서 그 흔적이 남았다. Таня → Тань[4], Бог(신) → Боже(신이시여, 감탄사로 많이 쓰임)의 경우도 호격의 잔재이다. 지금도 불가리아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에는 호격의 형태가 남았다.

전통적으로는 러시아어 명사와 형용사의 정규 격은 주격부터 전치격까지 6가지만 인정하고 특수한 격 변화는 따로 취급하지만, 일부 언어학자들은 격 변화의 배열 순서를 바꾸고 부분격이나 처격도 정규 격으로 분류해야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호주의 언어학자 제이슨 존스턴(Jason Clift Johnston)은 주격부터 전치격까지 6가지만 인정한다는 조건에서, 가장 합리적인 배열은 주격➩대격➩생격➩전치격➩여격➩조격 순이라고 주장하였다.[5] 존스턴의 말대로 배열해 보면 표가 매우 깔끔해진다.

부분격과 처격을 포함할 경우에는 배열이 꼬인다. 부분격은 생격이나 여격, 처격은 전치격이나 여격과 모양이 같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언어학자 페트르 아르카디예프(Петр Михайлович Аркадьев)는 부분격과 처격도 포함하여 주격➩대격➩생격➩부분격➩여격➩전치격➩처격➩조격 순으로 배열함이 최선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런 학자들의 주장은 충분히 합리적이지만, 기존의 배열이나 구분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관성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어 교육 현장에 잘 반영되지는 않는다.

같은 인도유럽어족인 라틴어와 격 구조가 비슷하다. 라틴어에는 조격이 없고 처격도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 거의 없는 대신, 전치격에 해당하는 탈격(奪格)이 있으며 호격이 -us 어미의 남성단어에 한해서 쓰인다.[6]

격 변화와 동사 변화는 아래 표대로 모두 들어맞지는 않지만 음운론적인 규칙만 외우면 꽤나 규칙적이다. 형태변화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으나, 복수형이 불규칙일 때 격변화도 불규칙일 수 있고, 강세 이동이 상당히 번거롭다. 형용사 변화는 외울 때는 어렵지만 쉬운 편.

4.2. 명사[편집]


  • 범례
    • |를 기준으로 앞쪽은 경변화, 뒤쪽은 연변화이다.
    • Cγ : 어간이 경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별도 언급이 없으면 경변화를 한다.
    • V :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별도 언급이 없으면 연변화를 한다.
    • Cj : 어간이 연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별도 언급이 없으면 연변화를 한다.
    • I : 어간이 и로 끝나는 단어. 별도 언급이 없으면 연변화를 한다.
  • 일부 남성명사는 장소 표현으로 쓰이는 전치사 в, на 뒤에서 전치격어미 -е 대신 처격어미 -у́|-ю́가 붙는다. ex) сад - в саду, лес - в лесу, берег - на берегу, аэропорт - аэропорту
  • 여성 조격은 -ой, -ей, -ёй와 -ою, -ею, -ёю의 두 가지가 있는데, 형태만 다를 뿐 쓰임 상의 차이는 없으므로 취향에 따라 아무 거나 쓰면 된다. 박자와 라임을 맞추어야 하는 노래 가사에서는 음절 수를 늘리기 위해 -ою 형태도 많이 쓴다.
변화
단수1형
(여성)
단수2형
(남•중성)
단수3형
(여 -ь•중성 -мен-)
복수형
주격
-а|-я
남: -Cγ|-Vй/Cjь
중: -о|-е(-ё)
원형
남•여: -ы|-и
중: -а|-я
불활동체 대격
-у|-ю
활동체 대격
-а|-я
1형: -Cγ|-Vй/Cjь
2•3형: -Cjей[7]
남: -Cγов|-Vев(-Vёв)
중: -Cγ|-Vй[8]
생격
-ы|-и

전치격
-е/Iи
-е/Iи
(-у́|-ю́)
-ах|-ях
여격
-у|-ю
-ам|-ям
조격
-ой|-ей(-ёй)
-ою|-ею(-ёю)
-ом|-ем(-ём)
여: -ью
중: -ем
-ами|-ями

일단 영어에는 없어진 문법적 성이 3개(남·여·중)이다. 다행히도 독어와는 다르게 노어의 경우 단어의 생김새를 보면 99%의 경우 성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명사의 성을 판별하는 데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남성은 자음으로 끝나거나 -й, -ь. 여성은 -а, -я, -ь. 중성은 -о, -е, -ё, 그리고 단 10개의 단어가 -мя로 끝난다. -ь는 남성, 여성 공히 있으니 외워야 한다.

  • 형용사를 추상명사로 만드는 -ость(경변화), -есть(연변화)와 어간이 상악음으로 끝나는 -жь, -чь, -шь, -щь은 100% 여성, 그리고 Жизнь(삶, 목숨), Любовь(사랑) 등의 추상명사 역시 대부분 여성명사다. 다만 '손님'을 뜻하는 Гость[9]는 형용사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어근 자체가 저렇게 생겼기 때문에 여성이 아니라 남성명사다.

  • 동사를 직업명사로 만드는 -тель, -арь는 100% 남성인데, -арь는 동사 뿐 아니라 명사, 형용사를 기반으로도 만들어진다.

단, 활동체 명사는 형태가 어떻든 간에 자연성을 따라간다. 그러니까 Дядя(아저씨)는 남성명사이면서 여성격변화를 한다. 라틴어의 Agricola(농부)와 같이 격변화에는 여성명사의 변화에 따라 어미를 붙이고 형용사는 남성을 붙이면 된다는 뜻이다.


4.2.1. 수사[편집]


러시아어에선 수(數)가 단수, 복수로 분류된다. 러시아어의 대표적인 수사는 다음과 같다.
0
ноль(놀)/нуль(눌)[10]
10
десять(제씨찌)
1
один(아진)
11
одиннадцать(아진낫짜찌)
2
два(드바)
12
двенадцать(드비낫짜찌)
3
три(뜨리)
13
тринадцать(뜨리낫짜찌)
4
четыре(치띄례)
14
четырнадцать(치띄르낫짜찌)
5
пять(뺘찌)
15
пятнадцать (삣낫짜찌)
6
шесть(셰스찌)
16
шестнадцать (쉬스낫짜찌)
7
семь(솀)
17
семнадцать (씸낫짜찌)
8
восемь(보씸)
18
восемнадцать (바씸낫짜찌)
9
девять(제비찌)
19
девятнадцать (지빗낫짜찌)

"~개의 ~"라는 식의 어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사) + (명사)" 형태를 쓰는데, 앞에 붙는 수사가 1인 경우, 2·3·4인 경우, 5 이상인 경우를 따로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한국어에서 "사과 2개"라고 말하듯, 러시아어에서도 비슷하게 "사과의 2개"라고 말한다고 이해하면 얼추 맞는다. 그러나 수사는 대개 관형사로 분류되고 1개를 나타낼 경우 명백한 주격이 위치하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자면 이 해석은 옳지 않다.

수사가 주격 및 불활동체 대격일 때 1이 앞에 붙는 경우엔 뒤의 명사가 주격이며, 2·3·4가 앞에 붙는 경우엔 뒤의 명사가 단수 생격, 5 이상이 앞에 붙을 땐 뒤의 명사가 복수 생격이어야 한다. 수사가 주격이나 대격이 아닌 다른 격일 땐 뒤의 명사의 격도 수사의 격에 따라 굴절한다.

원칙적으로는 그렇지만 남성과 중성 -мя를 제외하면 단수 생격과 복수 주격의 형태가 같기 때문에 중성명사 10개 남짓과 남성명사만 주의하면 된다.

2인 경우, 남성명사, 중성명사이면 два, 여성명사이면 две가 된다.


час: 시간, 시 (남성명사)
один час 1시
два часа 2시
три часа 3시
четыре часа 4시
пять часов 5시
그러나 часы: 시계(=시간들)이다.

20
двадцать(드바짜찌)
200
двести(드볘스찌)
30
тридцать(뜨리짜찌)
300
триста(뜨리스따)
40
сорок(쏘락)[11]
400
четыреста(치띄리스따)
50
пятьдесят(삐지썃)
500
пятьсот(삣솟)
60
шестьдесят(쉬지썃)
600
шестьсот(쉿솟)
70
семьдесят(쏌지씻)
700
семьсот(씸쏫)
80
восемьдесят(보씸지씻)
800
восемьсот(바씸쏫)
90
девяносто(지비노스따)
900
девятьсот(지빗솟)

100
сто(스또)
1000
тысяча(띄씨챠)[12]

20 이상의 수는 맨 뒤의 숫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위의 규칙에 맞게 굴절한다. 0이 붙으면 10이 붙은 것처럼 생각하면 된다.

106
миллион(밀리온)
109
миллиард(밀리아르트)
109을 영어에서는 Billion이라고 하지만, 근대까지의 영어와 상당수의 유럽어에서는 Milliard라는 단어를 쓴다.

예)
주격 남성
Один остров 한 섬
Два острова 두 섬들
Три острова 세 섬들
Четыре острова 네 섬들
Пять островов 다섯 섬들

주격 여성
Одна женщина 한 여자
Две женщины 두 여자들
Три женщины 세 여자들
Четыре женщины 네 여자들
Пять женщин 다섯 여자들

주격 중성
Одно тело 한 몸
Два тела 두 몸들
Три тела 세 몸들
Четыре тела 네 몸들
Пять тел 다섯 몸들

4.2.2. 1변화(여성)[편집]


  • 경변화 여성
Ко́мната

주격
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Ко́мната
Ко́мнату
Ко́мнаты
Ко́мнате
Ко́мнатой
Ко́мнатою
복수
Ко́мнаты[13]
Ко́мнат
Ко́мнатам
Ко́мнатах
Ко́мнатами
  • 연변화 여성
Боги́ня
여신
주격
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Боги́ня
Боги́ню
Боги́ни
Боги́не
Боги́ней
Боги́нею
복수
Боги́ни
Боги́нь[14]
Боги́ням
Боги́нях
Боги́нями

4.2.3. 2변화(남/중성)[편집]


  • 활동체 명사는 자연성을 따르므로, 중성명사는 모두 불활동체다. 따라서, 중성명사는 주격과 대격이 항상 같다.
  • 경변화 남성
Стол
탁자
주격·대격[15]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Стол
Стола́
Столу́
Столе́
Столо́м
복수
Столы́
Столо́в
Стола́м
Стола́х
Стола́ми
  • 연변화 남성
Геро́й
영웅
주격
대격[16]·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Геро́й
Геро́я
Геро́ю
Геро́е
Геро́ем
복수
Геро́и
Геро́ев
Геро́ям
Геро́ях
Геро́ями

Царь
황제
주격
대격[17]·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Царь
Царя́
Царю́
Царе́
Царём
복수
Цари́
Царе́й
Царя́м
Царя́х
Царя́ми
  • 경변화 중성
Окно́
창문
주격·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Окно́
Окна́
Окну́
Окне́
Окно́м
복수
О́кна
О́кон[18]
О́кнам
О́кнах
О́кнами
  • 연변화 중성
Мо́ре
바다
주격·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Мо́ре
Мо́ря
Мо́рю
Мо́ре
Мо́рем
복수
Моря́
Море́й
Моря́м
Моря́х
Моря́ми

4.2.4. 3변화(여/중성)[편집]


  • 여성
Жизнь

주격·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Жизнь
Жи́зни
Жи́знью
복수
Жи́зни
Жи́зней
Жи́зням
Жи́знях
Жи́знями
  • 중성
Зна́мя
깃발
주격·대격
생격
여격
전치격
조격
단수
Зна́мя
Зна́мени
Зна́менем
복수
Знамёна
Знамён
Знамёнам
Знамёнах
Знамёнами
-мя로 끝났지만 여성이 아닌 중성인 명사가 있는데 옛 러시아어의 흔적으로 오직 10개만 있다. 각각 Время(시간), Имя(이름), Племя(종족), Семя(씨), Пламя(불꽃), Бремя(짐), Вымя(짐승의 유방), Знамя(깃발), Темя(정수리), Стремя(등자鐙子)이다. Время, Имя, Пламя, Знамя 정도만 자주 쓰일 뿐이다. 단수 주격 및 (불활동체) 대격을 제외하고는 어간이 -мен-이 되고 단수형에서 3변화(조격은 -ем), 복수형에서 중성(2변화) 경변화를 한다. 단, 복수 생격에서 어미가 -мён이 된다. 단, Семя, Стремя은 어미가 -мён이 아니라 -мян이다. 그리고 Знамя는 복수어간 자체가 -мен-이 아니라 -мён-이다.
  • 남성
Путь(길)은 조격(Путём)만 빼고 여성 3변화를 따른다.

4.2.5. 기타 불규칙[편집]


남성과 중성이 같은 2변화로 묶이다보니 남성 중 일부 격변화가 중성의 것을 따르거나 그 반대가 존재하는데 다음과 같다.

Домишко, 누추한 집: 남성인데 단수 주격과 대격, 복수 생격(Домишек)이 중성형이다.
Подмастерье, 견습공: 남성인데 단복수 주격만 중성형이다.
Глаз, 눈(目): 남성인데 복수 주격, 대격, 생격이 중성형이다.
Доктор, 박사: 남성인데 복수 주격이 중성형이다.

이외에도 복수형이 불규칙한 명사가 있다. Друг(친구)는 복수 주격이 Друзья이며 Небо(하늘)는 복수 주격이 Небеса이다.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생격 단수와 형태가 같은 남성명사[19]
адрес (address) - адреса
вечер (evening) - вечера
глаз (eye) - глаза
город (city) - города
дом (house) - дома
лес (forest) - леса
паспорт (passport) - паспорта
поезд (train) - поезда
повар (cook) - повара
свитер (sweater) - свитера
цвет (colour) - цвета
  • 어근 교체/보충
ребёнок (m) – child де́ти
челове́к (m) – man, human лю́ди
  • 지소체(ёнок → я́та)
ребёнок (m) – boy ребя́та
телёнок (m) – calf теля́та
волчо́нок (m) – wolf cub волча́та
  • 고대 러시아어의 불규칙 변화 명사(접미사 첨가)
чу́до (n) – miracle чудеса́
не́бо (n) – sky небеса́
мать (f) – mother ма́тери
дочь (f) – daughter до́чери
сын (m) – son сыновья́ (also сыны́ in certain cases)
кум (m) – godfather кумовья́
  • 쌍수형 보존
коле́но (n) – knee коле́ни
плечо́ (n) – shoulder пле́чи
у́хо (n) – ear у́ши
ве́ко (n) – eyelid ве́ки
я́блоко (n) – apple я́блоки
  • -ья/ья́형 복수
брат (m) – brother бра́тья
брус (m) – baulk, timber бру́сья
граф (m) – count гра́фы/графья́
гроздь (f) – bunch гро́здья
де́верь (m) – brother-in-law деверья́
де́рево (n) – tree дере́вья
дно (n) – bottom до́нья
друг (m) – friend друзья́
звено́ (n) – link зве́нья
зять (m) – son-in-law зятья́
клин (m) – wedge кли́нья
клок (m) – shred, scrap кло́чья
князь (m) – prince князья́
кол (m) – stake ко́лья
ко́лос (m) – ear of a plant коло́сья
крыло́ (n) – wing кры́лья
лист (m) – leaf ли́стья (cf: листы – 종이)
муж (m) – husband мужья́
перо́ (n) – feather пе́рья
поле́но (n) – log поле́нья
по́лоз (m) – runner, coluber поло́зья/по́лозы
помело́ (n) – broom поме́лья
прут (m) – twig пру́тья
собра́т (m) – confrere, fellow собра́тья
струп (m) – scab стру́пья
стул (m) – chair сту́лья
сук (m) – branch су́чья (branches, 집합명사) / суки́ (각개의 branches)
ши́ло (m) – awl ши́лья
шу́рин (m) – brother-in-law шурья́/шу́рины
  • -но / -а́
су́дно (n) – ship суда́
  • 접미사 소실
цвето́к (m) – flower цветы́ (flowers, 집합명사) / цветки́ (각개의 flowers)
  • 기타
хозя́ин (m) – owner, host хозя́ева
сосе́д (m) – neighbor сосе́ди

격변화를 전혀 하지 않는 불변명사도 있는데, 주로 외래 차용어로서 중성인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불변명사는 метро(지하철), кино(영화관)[20] 등.

4.3. 대명사[편집]


생격 어미 -ого, -его의 г는 в/v/로 발음한다. 형용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4.3.1. 인칭대명사[편집]


  • 사람은 모두 활동체이므로 대격은 생격과 형태가 같다.
  • 2인칭 복수는 단수·복수 겸용 존칭으로도 쓰인다. 이 때는 한국과 같이 수직적 서열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나와 얼마나 가까운(친한)지, 가깝지 않은(친하지 않은)지로 구분한다.
  • 3인칭의 성은 사람의 성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일반명사의 성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 3인칭의 н- 형태는 전치사 뒤에서 쓰인다.
단수
1인칭
2인칭
재귀(단•복수)
주격
я
ты
없음
생격·대격
меня́
тебя́
себя́
전치격·여격
мне
тебе́
себе́
조격
мной
мно́ю
тобо́й
тобо́ю
собо́й
собо́ю

복수
1인칭
2인칭
주격
мы
вы
생격·대격·전치격
нас
вас
여격
нам
вам
조격
на́ми
ва́ми

3인칭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он
중: оно́
она́
они́
생격·대격
(н)его́
(н)её
(н)их
전치격
нём
(н)ей
여격
(н)ему́
(н)им
조격
(н)им
(н)ей
(н)е́ю
(н)и́ми

4.3.2. 소유대명사[편집]


  • 소유물의 성·수·격에 따라 곡용한다.
  • 어미가 같은 것끼리 같은 변화를 하므로, 단수(+재귀)/복수 두 가지 변화표를 제시한다.
    • 1인칭 단수: мой
    • 2인칭 단수: твой
    • 3인칭 재귀: свой
    • 1인칭 복수: наш
    • 2인칭 복수: ваш
  • 3인칭은 소유물의 성·수·격을 불문하고 인칭대명사 생격을 그대로 쓴다.
단수
мо-(1인칭)
тво-(2인칭)
сво-(3인칭 재귀)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й
중: -ё
-я́
-и́
불활동체 대격
-ю́
활동체 대격
-его́
-и́х
생격
-е́й
전치격
-ём
여격
-ему́
-и́м
조격
-и́м
-е́й
-е́ю
-и́ми

복수
на́ш-(1인칭)
ва́ш-(2인칭)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
중: -е


불활동체 대격

활동체 대격
-его
-их
생격
-ей
전치격
-ем
여격
-ему
-им
조격
-им
-ей
-ею
-ими

4.3.3. 지시대명사[편집]


this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э́тот
중: э́то
э́та
э́ти
불활동체 대격
э́ту
활동체 대격
э́того
э́тих
생격
э́той
전치격
э́том
여격
э́тому
э́тим
조격
э́тим
э́той
э́тою
э́тими

that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тот
중: то
та
те
불활동체 대격
ту
활동체 대격
того́
тех
생격
той
전치격
том
여격
тому́
тем
조격
тем
той
то́ю
те́ми

4.3.4. 의문대명사[편집]



who(활동체)
what(비활동체)
주격
кто
что[21]
대격
кого́
생격
чего́
여격
кому́
чему́
조격
кем
чем
전치격
ком
чём

whose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남: чей
중: чьё
чья
чьи
불활동체 대격
чью
활동체 대격
чьего́
чьих
생격
чьей
전치격
чьём
여격
чьему́
чьим
조격
чьим
чьей
чье́ю
чьи́ми

4.4. 형용사[편집]


변화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주격
남: -ый(-о́й)|-ий
중: -ое|-ее
-ая|-яя
-ые|-ие
불활동체 대격
-ую|-юю
활동체 대격
-ого|-его
-ых|-их
생격
-ой|-ей
전치격
-ом|-ем
여격
-ому|-ему
-ым|-им
조격
-ым|-им
-ой|-ей
-ою|-ею
-ыми|-ими
단어미[22]
남: -∅|-ь
중: -о|-е
-а|-я
-ы|-и

Красивый
아름다운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주격
남: Красивый
중: Красивое
Красивая
Красивые
불활동체 대격
Красивую
활동체 대격
Красивого
Красивых
생격
Красивой
전치격
Красивом
여격
Красивому
Красивым
조격
Красивым
Красивой
Красивою
Красивыми
단어미
남: Красив
중: Красиво
Красива
Красивы

Синий
파란
단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
주격
남: Синий
중: Синее
Синяя
Синие
불활동체 대격
Синюю
활동체 대격
Синего
Синих
생격
Синей
전치격
Синем
여격
Синему
Синим
조격
Синим
Синей
Синею
Синими
단어미
남: Синь
중: Сине
Синя
Сини

5. 동사[편집]


엔하위키-리그베다 위키의 러시아식 유머에 서술된 여러 예시 때문에 문장 내에서 단어 위치가 자유롭다고 알려졌지만, 굴절어라고는 해도 어순이 엄청나게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물론 기본적인 어순이 SVO로 있으나 이것 때문은 아니고, 화용적 맥락에 크게 지배되기 때문. 통사적으로는 주어(주격)이더라도 신정보라면 맨 뒤로 가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거나, 격은 주격이나 맥락상 행위주가 아니라든지... 그래서 어순이 달라지면 강조하는 것이 달라지기 때문에 의미상 미묘한 차이가 생긴다. 한국어 역시 조사와 어순으로 이러한 것을 나타내니 조금만 신경을 쓰면 습득하기에 크게 문제는 없다.

물론 를 비롯한 문학에서는 좀더 자유롭게 변화하기도 한다. 특히 시의 경우 로모노소프의 음절-강세 작시법의 영향으로 일부러 도치를 시켜 강세를 맞추는 경우가 많다.

영어의 be 동사 현재형에 해당되는 단어는 나타나지 않는다. 간단한 문장에서는 아예 쓰지 않고, 문장이 길어지거나 가벼운 문체가 아닐 경우엔 이를 '—'라는 기호(тире, dash)로 대체한다. 비유하자면 '목포는 항구다.'라고 쓸 것을 '목포 — 항구.'라는 식으로 쓰는 것이다. 보통 영어의 be동사가 연계사라는 기능(linking verb)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역할을 — 기호가 한다고 보면 된다.

특히 러시아어는 조어력이 매우 풍부한 언어로 평가받는다. 때문에 러시아어는 외국어의 형태소를 그대로 가져다 쓰기보다 형태소별로 번역[23]한 다음 붙여서 러시아어처럼 생기게 만드는 능력이 좋다. 덕분에 완전히 외래어라고 부를 수 있는 단어는 적은 편. (약 10%), 비행기를 뜻하는 단어 самолёт(싸말룟)의 경우 '스스로'라는 뜻의 접두사 само와 '나는 것'이란 뜻의 лёт의 합성어이며, 곰을 뜻하는 медведь(미드볘지)는 мёд(꿀)과 есть(먹다)의 합성어이다. 각각 '스스로 나는 것', '꿀을 먹는 녀석'으로 직역될 수 있다. 러시아 하면 떠오르는 사모바르(самовар) 주전자도 '스스로 끓는 것'이란 뜻의 합성어다.

  • 도치법(?)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식 유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동사 활용[편집]


러시아어 역시 여타 다른 인도유럽어 계통과 마찬가지로 동사가 주어의 인칭에 따라 인칭 변화를 한다. 이러한 주어에 따른 어미 변화는 어미 변화가 없는 한국어나 인칭 변화가 퇴화하여 3인칭 단수에서의 -s밖에 남지 않은 영어만을 접한 이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러시아어의 인칭 변화 자체는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의 인칭 변화에 비하면 쉬운 편이다. 이는 러시아어의 문법에서 시제서법이 다른 유럽어들보다 덜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어의 경우 전과거, 단순과거, 대과거, 중복합과거, 복합과거, 반과거, 근접과거, 현재, 근접미래, 전미래, 단순미래의 시제가 있으며, 독일어는 영어와 같이 과거완료-과거-현재완료-현재-미래완료-미래의 시제가 있다. 때문에 프랑스어의 경우 각 시제마다 동사가 6개의 인칭 변화를 하므로 한 동사마다 존재하는 시제 형태가 6×11, 총 66가지… 뭐, 사실은 과거분사와 조동사의 존재 그리고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시제들의 존재로 인하여 훨씬 줄어들긴 하지만 여전히 많다… 이에 반해 과거형 인칭 변화는 주어의 성에 의해 4가지로만 변화하고 현재형은 6가지 미래형의 경우 조동사(be 동사에 해당하는)의 미래형 + 동사원형이므로 16가지만 외우면 된다.

그러나, 노어든 불어든 어디까지나 이 얘기는 규칙 동사들에만 해당하는 것. 거기다 동사들이 대부분 1군, 2군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눠지므로 한 가지 군당 불어는 66가지 러시아어는 16가지를 외워야 한다. 16개면 실제로 매우 적지만... 러시아어의 문제는 자음이 추가되거나 사라지거나 충돌하여 변하는 경우 및 모음구조가 바뀌는 경우를 포함하면 동사변화가 20가지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예외적인 변화 한 가지를 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동사들의 그룹으로! 물론 이곳에 그것을 일일이 나열할 수는 없으므로, 학습하면서 어간과 어미의 경계가 어디인지, 강세이동이 이루어지는지, 자음충돌이 있는지 없는지, 어미가 1식인지 2식인지만 확인하면서 외우면 어렵진 않다. 처음에 배울 때는 1식과 2식에서 어미와 어간 경계에 규칙이 있는 것처럼 배우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ать만 봐도 물론 기본 1식변화(а 뒤에서 끊으면서 1식)가 다수이긴 하지만, а 앞에서 끊으면서 1식, а 앞에서 끊으면서 2식의 세 가지가 있다. 이 어미 외에는 단어마다 기억을 해둬야 한다는 것.

러시아어 동사의 기본적인 시제 활용은 다음과 같다.



과거
인칭
1식 변화 현재
-ать|-ять[24]
2식 변화 현재
-ить[25]
-еть[26]
미래
быть[27]
단수
남성

1

быть[28] 미래 + 부정사
여성
-ла
2
-ешь
-ишь
중성
-ло
3
-ет
-ит
복수
-ли
1
-ем
-им
2
-ете
-ите
3
-ют
-ят

знать
알다
과거
인칭
현재
미래
단수
남성
знал
1
зна́ю
бу́ду знать
여성
зна́ла
2
зна́ешь
бу́дешь знать
중성
зна́ло
3
зна́ет
бу́дет знать
복수
зна́ли
1
зна́ем
бу́дем знать
2
зна́ете
бу́дете знать
3
зна́ют
бу́дут знать

горе́ть
불타다
과거
인칭
현재
미래
단수
남성
горе́л
1
горю́
бу́ду горе́ть
여성
горе́ла
2
гори́шь
бу́дешь горе́ть
중성
горе́ло
3
гори́т
бу́дет горе́ть
복수
горе́ли
1
гори́м
бу́дем горе́ть
2
гори́те
бу́дете горе́ть
3
горя́т
бу́дут горе́ть

한편, 재귀동사의 경우 위의 표에 -ся(자음 뒤), -сь(모음 뒤)가 추가로 따라붙는다.

5.2. 시제[편집]


시제는 5개. 완료과거, 과거, 현재, 미래, 완료미래. 시제만 놓고 본다면 과거, 현재, 미래 세 가지밖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문법에 익숙한 이들은 시제가 적다는것이 다소 어색할 수 있으나, 시제가 발달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이를 표현하는 언어도 다수 존재하며, 한국어 역시 학자에 따라서는 시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러시아에서와 같이 상의 존재를 통해 시제를 표현한다고 보는 학자들도 존재한다. 어쨌든 문제는 원어민이 아닌 입장에서는 이 상을 완전히 통달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 심지어는 원어민들조차 상의 구분을 헷갈려하는 경우도 많다. 기본적으로 행위 그 자체를 지칭, 반복, 지속, 상태는 불완료상, 결과(인과관계의 존재 유무를 의미함), 행위의 완료, 1회는 완료상으로 표현된다. 또한 동시동작일 경우 주로 불완료상을, 순차동작인 경우에는 주로 완료상을 사용한다. 러시아어의 진정한 헬게이트의 시작

동사는 일반적으로 불완료상(진행)-완료상(1회성)의 쌍으로 되어 있다.[29] 물론 불완료상만 존재하는 동사도 있다. 반대로 완료상만 존재하는 동사도 있으며, 두 형태가 똑같은 동사도 있다. 불완료상과 완료상을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단어마다 제각각 다른데, 보통 любить → полюбить(사랑하다)처럼 앞에 по-, на- 등등의 접두사가 따라붙거나 아니면 вставать → встать(일어나다)처럼 어미의 형태가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지만, 종종 говорить → сказать(말하다)나 покупать → купить(사다)처럼 전혀 다른 형태가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다. 특이하게 отрезáть → отрéзать(잘라내다)처럼 강세와 활용형만 바뀌는 경우도 존재한다.

동사의 상은 동사의 시제와 결합하여 각기 상이한 시제를 나타낸다.


과거변화
현재변화
불완료상
과거
현재
완료상
완료과거
완료미래
бы- 복합
가정
미래

러시아어는 거의 대부분의 동사에 접두사를 붙여 의미를 구체화, 세분화하고 확장한다. 이게 정말 장난아니게 어렵고 헷갈리는데, 말이 의미확장이고 같은 어근이지 학습자 입장에서는 그냥 비슷하게 생긴 동사를 더 외워서 (경우에 따라선 별로 차이가 없어보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의미 자체도 한 접두사의 의미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일단 그걸 다 외우는 시간은 제쳐두고라도 여기서 무슨 의미로 쓰였는지 알 수가 없고, 무슨 의미인지 알더라도 동사와 합쳐서 무슨 의미가 되는지 역시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그나마 한국어로 뜻이 다르면 다행이고, 뉘앙스나 특정 어구와 결합할 때는 이 동사를 쓴다(...)는 동사들은 학습자 입장에서는 치가 떨리는 수준. 어떻게 번역해도 한국어에서는 그 두 동사의 의미차이를 설명할 수가 없거나, 외국인 입장에서 별로 납득이 안 가는(...) 의미가 탄생하는 경우도 많다.

다행히도 러시아어 접두사와 접미사는 일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고, 이를 통해서 파생단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다만 문제는 이러한 부분을 설명해주는 교재를 한국에서는 절대로 찾을 수 없으며, 러시아의 경우에는 카잔에 한정하여 배울 수 없다.[30] 다만, 벨라루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교재와 수업이 존재한다.

*класть-ложить 두다
закладывать-заложить 1. 넣다 2. 닦다 3. 저당하다[31]
укладывать-уложить 1. 눕히다 2. 재우다 3. 정돈하다[32]
подкладывать-подложить 1. 두다 2. ~에 나란히 세우다 3. 더하다[33]
вкладывать-вложить 1. 끼워넣다 2. 투자 하다 [34]
перекладывать-переложить 이동시키다, 옮기다, 미루다, 전가하다 [35]
выкладывать-выложить 1. 꺼내놓다 2. 다 털어놓다 3. 깔다 [36]
прикладывать-приложить 1. 더하다, 응용하다 2. 놓다 3. 쓰다 [37]
раскладывать-разложить 1. 배열하다 2. 사방에 나누어 두다 3. 분배하다[38]
складывать-сложить 1. 넣다 2. 합하다 3. 쌓다 4. 노래를 짓다[39]

*платить 지불하다
оплачивать-оплатить 어떤 사물에 대해 지불하다. 어떤 사람에게 지불하다, 상환,보상하다[40]
заплатить 지불하다, 갚을 물다[41]
выплачивать-выплатить 1. 다 지불하다, 다 갚다 2. 를 전액 갚다 [42]
переплачивать-переплатить 초과 지불하다. 지불에 많은 돈을 소비 하다 [43]
уплачивать-уплатить 납부하다, 지불해서 사용해버리다.[44]

*падать-пасть 떨어지다.
выпадать-выпасть 1. 떨어지다 2. 사라지다 3. 내리다
отпадать-отпасть 1. 떨어지다 2. 떨어져 나가다 3. 멀어지다
пропадать-пропасть 없어지다, 사라지다
нападать-напасть 공격하다

그나마 운동동사들에서는 접두사들이 (확장된 의미로 쓰이지 않는 이상) 의미가 아주 일정해진다.[45][46]

в + идти(가다) = войти 들어+가다(외부 → 내부)
вы + идти = выйти 나+가다(내부 → 외부)
у + идти = уйти 떠나다 (출발점 → 어떤 공간, 즉 출발점에서의 주어의 absence)
при + идти = прийти 도착하다 (어떤 공간 → 목적지 도달, 즉 주어의 presence)
до + идти = дойти 도달하다, 다다르다, 이르다(경계까지)
под + идти = подойти 다가+가다, 가까이+가다(가까이, 근처)
пере + идти = перейти 통과하다, 지나+가다
за + идти = зайти 들르다
об + идти = обойти 돌아+가다
от + идти = отойти 멀어+지다, 떨어+지다(경계로부터 떨어짐)
раз + идти = разойти 흩어+지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31:47에 나무위키 러시아어/문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유입된 외래어이거나(예: компью́тер), 2음절 이상이거나(예: анана́с), 주격 단수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붙지 않는 경우(예: ла́стик)[참조] A B 더 자세한 목록은 여기를 참조.[2] 단 рука́в는 예외이다.[3] 즉 '빵이 없다'는 'Хлеб нет'이 아닌 'Хлеба нет'이며, '입구 아님'은 'Нет вход'가 아닌 'Нет входа'이다.[4] 이 쪽은 전통적인 호격이라기보단 러시아어의 전체적 역사에서 보았을 때 상당히 최근인 19세기에 등장한 용법으로 일명 신호격(новообразование, new vocative) 용법이라고 부른다. 러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이름 및 몇몇 명사에 한정하여, 주로 -а나 -я로 끝나는 단어에 있어 마지막 모음을 생략시키는 형태로 발현된다. 이 때 마지막 모음이 연모음일 경우 ь이 남는다. 또 다른 예시로 Ваня와 Вань, Маша와 Маш가 있다. 반대로, 자음으로 끝날 경우 Сын > Сына처럼 а를 붙이는 경우도 존재한다. 신호격 용법은 19세기 문학 작품 등의 문헌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당시에는 어수룩한 사람이나 문맹, 시골 촌뜨기 등이 주로 사용하는 어투였다.[5] 출처: "Systematic Homonymy and the Structure of Morphological Categories"(1996) University of Sydney, p51-57[6] 또한 라틴어의 탈격은 러시아어 조격의 역할도 한다.[7] ш, ж, ч, щ로 끝나는 남성명사도 이 변화를 따른다.[8] 3변화 명사는 역점이 끝으로 이동해 -мён이 된다.[9] 영단어 host와 동원어이다.[10] 아무 거나 사용해도 된다.[11] четыредцать이 아니다. 아주 예전, 중세 시절 즈음에는 비슷한 단어를 썼으나 이 단어로 대체되었다.[12] 1천부터 10만까지는 тысяча를 여성명사 취급해서 천은 단수 주격을 써서 тысяча, 2천, 3천 및 4천은 단수 생격을 써서 две/три/четыре тысячи, 5천 이상은 복수 생격을 써서 пять/шесть... тысяч가 된다.[13] 불활동체[14] 활동체[15] 불활동체[16] 활동체[17] 활동체[18] 러시아어는 자음 충돌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모음을 삽입한다. 이를 출몰모음(Беглые гласные)이라 한다. 과거 표기법에서 окъно와 같이 자음 사이에 뜬금없이 ъ가 나오면 대부분 그 자리에 출몰모음이 나타난다. [19] 다만 강세 위치가 생격 단수와 다르다. 아래의 명사들은 모두 -а에 강세가 있다.[20] 다만 실제 러시아인들은 뒤에 극장을 뜻하는 театр를 붙여 кинотеатр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외국인을 교육하는 원어민 교/강사나 교수들도 кинотеатр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위키백과 러시아어판에서도 영화관은 Кинотеатр로 등재되었으며, 그냥 кино를 입력하면 영화관이 아닌 시네마토그래피를 뜻하는 Кинематограф 문서로 연결된다. кинотеат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격변화를 해야 한다.[21] што로 발음한다.[22] 수식이 불가능하고 오직 서술만 가능하다.[23] 이런 것을 영어로 calc 또는 calque라고 한다. 한국어로는 대개 어의차용, 번역차용 등으로 번역된다.[24] 예외적으로 молчать, спать 등은 2식이다.[25] 예외적으로 жить, пить, шить 등은 1식이다.[26] 예외적으로 уметь, иметь, сметь 등 소수는 1식이다.[27] 현재형은 사용되지 않는다.[28] to be[29] 의미상으로 불완료상이 기본이고, 시제도 불완료상이 많기 때문에 형태 역시 불완료상을 기본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30] 러시아는 워낙 넓은 나라라 한 지역의 경험으로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31] за가 지니고 있는 의미는 상당히 많은데 일반적으로 어디를 들어갔다 나오다의 의미가 있다. 즉, 무언가를 두지만 다시 가지고 나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주로 저당하다의 의미로 쓰인다.[32] у는 1. 내 영혼 주변의, 내 것의 의미와 2. 멀리 떠나다, 돌아오지 않는다의 2가지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는 1번의 의미로 쓰인다. 그래서 내 주변에서 재우다는 의미로 쓰인다. 주어가 목적어를 근처에 눕히는 것을 의미한다.[33] под는 1. 아래의, 2. 연결된 의미가 있는데, 2번의 의미에 연관돼서 물건이 옆에 세우거나 가까이 둔다는 의미이다.[34] в는 어디에 들어가다라는 의미가 있는데, 어디에 들어가서 놓는다의 뉘앙스로 쓰인다.[35] пере는 어디를 가로지다. 어디를 이동하다, 어디를 통과하다는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는 어디를 가로질러서 물건을 놓는다의 의미로 이동시키다 옮기다의 의미가 되었고 이 의미에서 파생된 의미가 미루다, 전가하다이다.[36] вы 는 в와 반대로 나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끼워넣는 의미의 반대인 꺼내다의 의미가 나온다. 당연히 이 의미에서 파생된 의미가 다 털어놓다이다. [37] 예외적인 의미에 해당한다. 다만 при는 어디에 도착한다. 어디 근처에 도달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다만 в의 경우에는 그 대상에 들어가는 것이라면 При의 경우에는 어디의 근처까지 도달한다는 의미이다.[38] рас는 주변에 퍼지다라는 의미가 있다. 그래서 주변에 넓게 놓는다는 의미에서 분배하다는 의미가 있다.[39] c는 모이다는 의미 또는 누구랑 같이 간다는 의미가 있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모여지는 느낌의 단어이다.[40] о는 ~에 대하여라는 의미로, 특정 대상을 한정하는 의미를 쓰인다. 그래서 특정한 대상에 대해서 지불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41] за는 앞서 말했듯이 무언가가 들어갔다 나오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지불하고 무언가의 대가를 받는다는 느낌이다.[42] вы는 지불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에서 빚을 갚았다는 의미이다.[43] пере는 앞서 말했듯이 지나가는 것인데, 특정한 선을 넘었다는 의미로 초과하다는 의미가 있다.[44] y는 앞서 말했듯이 내 주변의 의미와 떠나다는 의미가 있는데, 여기서는 돈을 다 써서 사라져버렸다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45] 독일어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데, gehen이라는 동사를 가지고 ein, aus, auf, über, ver 같은 접두사와 결합시켜 다른 뜻을 나타낸다. 그리고 라틴어에서도 이 현상이 있는데…. 성염 선생의 '고전 라틴어'란 책을 직접 보도록 하자.[46] 영어 구동사의 쓰임새와 약간 비슷하다. 다만 영어의 경우 부사(파티클)가 동사 뒤로 나오는데, 러시아어는 접두사가 앞에 붙어 마치 한국어의 '돌아+가다', '들어+가다', '떠나+가다', '뚫고+가다', '다가+가다'와 같은 의미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