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프베리 원형진

덤프버전 :

파일:lufbery_circle.webp

Lufbery Circle, Lufberry Circle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했던 미국에이스 라울 러프베리(Raoul Lufbery)의 이름을 본뜬 방어기동용 항공전술의 하나이다. 라울은 이 전술을 발명하지 않았으며 정확히 어떻게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된지는 미지수이다. 라울의 훈련을 받고 들어오는 미국 조종사들 사이에 라울로 유명했던 전술이였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이름을 어떻게 읽냐에 따라서 '러프'베리 원형진이라 읽기도 하고 '루프'베리 원형진이라 읽기도 한다.

항공기의 전투력이 딸리는 세력에서 구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어전술로 여러 대의 항공기가 거대한 원형을 이루면서 계속 선회하는 것이 이 전술의 핵심이다. 가령 예를 들어 1 → 2 → 3 → 4 → 5 → 6 → 1 순으로 선회를 하고 있을 때, 공격자가 3을 공격하기 위해 꼬리를 문다면, 뒤따라오는 2에게 꼬리를 물려서 당하게 되는 전술이다.

이 방어전술은 수직방향에서 들어오는 공격에는 약점을 지니고 있었지만 수평방향의 선회전에서는 가히 악마적인 방어력을 선보였고, 1차대전의 항공전 자체가 수평방향 선회전으로 전개되는 경우가 많아서 큰 지장은 없었다. 다만 항공기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화력도 강화되면서 일격이탈 전술이 도입되자 우위를 상실하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원형진에서 1 ~ 2기 가량이 격추당하고 나면 원형진 자체가 와해되기 때문에 그 다음부터는 골라먹는 재미가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일단 쉽게 구사할 수 있는 방어전술이었고, 공격자가 공격목표에 집중하다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원형진에 말려들어 당하는 경우가 제법 있었기 때문에 계속 위험한 함정으로 사용되었다. 사실상 일격일탈을 한다 해도 선회하는 적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공격기도 선회를 해야 하므로 사격 위치에 들어가기 위해 기동을 하다 걸려드는 경우도 있었다.

일격일탈이 말은 쉬운 것처럼 보여도, 확실히 보내버릴 수 있는 화력과 에너지 우위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불가능한 전술이다. 고도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고 속도가 부족한 상태에서 일격일탈을 할 경우 하강 후 상승하는 과정에서 실속하고 그대로 고정된 표적이 된다. 제아무리 빠른 전투기라도 적이 더 유리한 위치에서 접근하면 불리한데, 여기다 상공에서 원형진을 구사하면 너는 이미 죽어 있다.

1차대전 이후 실전에서 사용된 유명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 두 전투기는 후방으로 사격이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양쪽 다 큰 재미는 못보고 주간작전에서 빠지는 수모를 당했다.

가끔 정줄놓은 독일기가 말려들어 격추당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보통은 영국 하늘의 정반대로, P-40이 더 많은 피해를 당하는 상황이었다.

타치 위브가 도입되기 전까지 저속 선회전을 선호하는 일본군을 상대로 그럭저럭 성과를 올렸다고만 나온다.

  • 서부전선에서 상륙 작전 이전에 방어를 위해 출격한 독일 공군기들이 사용하기도 했다. 더군다나 그 당시 폭격을 다녔던 P-47 썬더볼트는 상승력이 그다지 좋지는 않아 위쪽에서 원형진으로 커버하다 골라먹는 재미가 있었다고 한다.

  • 동부전선에서 비교적 우수한 성능(저공 한정)의 소련군 기체들을 상대로 독일군이 사용했다. 전쟁 초반 소련군 기체들은 일반적으로 수직 기동이 딸리는 편이므로 효과가 좋았다고 한다. 반대로 소련군이 Il-2를 독일군 전투기 상대로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기총은 없었지만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었던 팬텀이 미그기 꼬리를 잡기 위한 낚시로 사용했다. 문제는 월맹군도 이걸 써서 미군기의 꼬리를 잡아버렸다는 점이지만….



이들도 사용하는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들은 공격헬기라는 특성 때문에 지상을 한번 공격하고 재공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케이스로 보이며 의도적으로 쓴게 아닐수도 있다.

러프베리 원형진의 악명높은 킬러로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활약한 독일군 에이스 한스 요아힘 마르세이유를 꼽고 있다. 자신의 천재적인 조종술과 Bf109F의 우수한 비행성능을 이용한 독특한 상하방향 공격전술을 구사하였는데(상단 사진 참조), 이걸 잘 활용하여 웬만한 원형진 하나 작살내는데 몇 분도 안 걸렸다. 덧붙여, 이 인간이 적기 1대 잡는데 쓴 총알이 많아도 100발이었다.

많은 독일 에이스들이 저거야 말로 원형진의 완벽한 파해법이라 생각하고 가르쳐달라고 했지만 실전에서 아무도 흉내내지 못했을 정도로 고난도 조종술을 요구했다. 게다가 마르세이유의 요기로 따라나선 조종사들은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어서 그냥 고공으로 올라가 구경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남아있다.

미사일 기술이 발달하고 BVR 교전이 일반화된 현대의 항공전에서는 미사일이 바닥나서 딱총질할 정도가 되면 사용하게 될 가능성은 있다지만 실질적인 가능성은 0에 한없이 수렴하고 있다. 게다가 원형진을 이룰 정도로 많은 수의 전투기들이 얽힐 가능성도 거의 없기 때문에 제3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볼 일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공격헬기들의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기관포만으론 어림 반푼어치도 없는 전차나 건물, 벙커, 토치카 등을 상대할때, 멀리서 미사일을 쏘기도 하나 미사일을 미장착했거나 소진했을시 시리아 내전의 케이스처럼 중저고도에서 달려들며 무유도로켓과 기관포 또는 기총을 함께 쏘며 공격하는데, 이때 러프베리 원형진이 매우 유용하다. 선두가 달려들어 적 대공진지의 정줄을 빼놓으면, 직후 대공화기 사수가 방금 공격끝내고 이탈하는 선두를 상대로 대응하려 할때다음 돌입기가 들이닥치기 때문에, 대공화기 사수가 쏠 틈이 없어지며 덕분에 생존성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거기다 특히 포탑의 기총이 기관포가 아닌 중기관총으로 포탑화력이 약해 기수 양측에 고정기관포를 따로 달고다니는 Mi-35 하인드나, 아예 포탑이 없는 Ka-50/52는 저공비행으로 접근해 앞에서부터 로켓으로 헤드온 공격을 퍼부은뒤 선회하면 다음 기체가 돌입해 공격하는 전형적인 러프베리 원형진으로 추정되는 진형을 쓰며 이를 시리아군 또는 러시아군으로 추정되는 조종사들이 시리아 내전에서 보여줬다. 심지어 이 짓을 하보크도 했다.

한국군에서도 달려드는 적기보다 공격후 지나가는 적기에 대공사격을 해야 격추가능성이 높다고 가르친다. 이는 달려드는 적기는 육안으로 발견하고 피하거나 선제공격으로 대공진지를 격파할수 있지만, 지나간뒤 그자리에 숨어있던 맨패즈가 쏴대면 피하긴 커녕 RWR 없이는 알지도 못하고 얻어맞기 때문이다. 아니 RWR이 있어도 플레어랑 채프 말고는 방도가 없다. 즉 앉은뱅이 오리(Sitting Duck)[1]가 되는 셈. 다만 한국군은 이것을 맨패즈가 아닌 일개 소총수한테까지 저렇게 하라고 교육한다. 하지만, 소총수의 대공사격은 격추가 아니라 적의 조준방해와 적기 격퇴지 절대 격추가 아니다.[2] 아니 애초에 소총이나 기관총은 안둘기나 장갑이 없는 정찰용 경헬기, 드론을 빼고는 격추시킬수 있는게 아예 없다. 이러한 점에서는 한국군이 대공사격에 얼마나 경험이 없는지를 알수있다. 뭐 애초에 한국군은 공습 자체를 경험할 기회조차 얼마 없었고 앞으로도 거의 없을 예정에 굳이 대공방어 할려해도 전세계 하늘 반절이 이미 지들 안방인 미군이 동맹이어서 대공방어의 필요성을 너무 못느낀 나머지 개념부터가 거의 안잡혀 있는 수준이긴 하지만... 이런 교리에 보완이 없으면 언젠가 대규모 전쟁에서 대공전투를 해야 할때 러프베리 원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7:46:11에 나무위키 러프베리 원형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무것도 못하고 당하기만 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다.[2] 때문에, 일반 소총병 및 기관총 사수의 대공 사격은 지나간 적기가 아닌 지금 당장 나한테 헤드온 걸고 달려드는 적기를 향해 일제 집중사격을 퍼부어야 한다. 다만 그렇다고 다 한데 몰리면 안되고, 부대원 대부분이 달려드는 적기를 상대하는 와중에도 일부는 선회중인 다른 적기들에게 견제사격을 잘 해주고 있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