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덤프버전 :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K Crvena Zvezda
정식 명칭
Фудбалски клуб Црвена звезда Београд
(Fudbalski Klub Crvena Zvezda Beograd)
영문 명칭
Red Star Belgrade
별칭
Crveno-beli (적과 백), Zvezda (별들)
창단
1945년 3월 4일 (79주년)[1]
소속 리그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Serbian SuperLiga)
연고지
베오그라드 (Belgrade)
홈구장
스타디온 라이코 미티치 (Stadion Rajko Mitić)
(55,538명 수용)
라이벌
FK 파르티잔 - 베치티 데르비
구단주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국기|
]][[틀:국기|
]]
스베토자르 미야일로비치 (Svetozar Mijailović)
감독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바락 바하르 (Barak Bakhar)
주장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알렉산다르 드라고비치 (Aleksandar Dragović)
UEFA 랭킹
42위#
역대 한국인 선수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황인범 (2023~ )
공식 웹사이트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우승 기록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 리그 (1부)
(1회)
1945-46
유고슬라비아 프르바리가 (1부)
(19회 / 최다 우승)
1950-51, 1952-53, 1955-56, 1956-57, 1958-59, 1959-60, 1963-64, 1967-68, 1968-69, 1969-70,
1972-73, 1976-77, 1979-80, 1980-81, 1983-84, 1987-88, 1989-90, 1990-91, 1991-9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리그 (1부)
(5회)
1994-95, 1999-00, 2000-01, 2003-04, 2005-06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1부)
(9회 / 최다 우승)
2006-07, 2013-14, 2015-16,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유고슬라비아컵
(12회)
1947-48, 1948-49, 1949-50, 1957-58, 1958-59, 1963-64, 1967-68, 1969-70, 1970-71, 1981-82,
1984-85, 1989-90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컵
(9회)
1992-93, 1994-95, 1995-96, 1996-97, 1998-99, 1999-00, 2001-02, 2003-04, 2005-06
세르비아컵
(5회)
2006-07, 2009-10, 2011-12, 2020-21,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
(1회)
1990-91
인터컨티넨탈컵
(1회)
1991
미트로파컵
(2회)
1958, 1968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황인범 (Hwang In-Beom)
(2023년, From 올림피아코스, 5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국기|
]][[틀:국기|
]]
고란 드룰리치 (Goran Drulic)
(2001년, To 레알 사라고사, 1300만 €)
최다 출장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드라간 자이치 (Dragan Džajić) - 389경기(1963-1975 / 1977-1978)
최다 득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보라 코스티치 (Bora Kostić) - 230골(1951-1961 / 1962-1966)
영구 결번
12[2]

1. 개요
2. 역사
3. 선수 명단
4. 최근 시즌
4.1. 2020-21 시즌
4.2. 2021-22 시즌
4.3. 2022-23 시즌
4.4. 2023-24 시즌
5.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스타(Star)
6. 서포터즈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FK 츠르베나 즈베즈다(Фудбалски клуб Црвена звезда Београд)는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 연고지를 둔 축구 클럽이며 종합 스포츠 클럽인 SD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일부분이다.[3]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붉은 '이란 뜻으로 나라마다 달리 불리는데, Red Star(영어), Étoile Rouge(프랑스어), Roter Stern(독일어), Stella Rossa(이탈리아어), Estrella Roja(스페인어)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특히 FK 파르티잔과 세르비아 축구를 양분하며 라이벌리를 형성하고 있다. 구 유고슬라비아 시절 가장 성공한 세르비아 클럽이며 리그 우승 30회, 컵 우승 12회를 기록하며 세르비아 팀 중 통산 최다 우승팀이기도 하다. 엠블럼 상단의 별은 10회 우승 시마다 하나씩 부여되는데, 1945-46 시즌부터 2018-19 시즌까지 30회를 달성함에 따라 3개의 별이 추가되었다.[4]

동유럽 클럽 중에서는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더불어 둘밖에 없는 챔피언스 리그 우승 클럽이다.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IFFHS)이 발표한 20세기 클럽 랭킹에서 네덜란드페예노르트와 더불어 27위에 랭크되었다. 90년대 해외축구 팬들에겐 챔스 우승의 레드 스타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팀이다.


2. 역사[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5년 3월 4일, 레드 스타 반파시즘을 표방하는 청년 집단에 의하여 내무부 소속의 종합 문화 클럽으로 창단되었다. 전쟁이 종결된 후에 재개된 1946-47 시즌부터는 대략 3년 동안 FK 파르티잔, GNK 디나모 자그레브,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FK 사라예보 등등 쟁쟁한 경쟁 상대들이 많았기에 부침이 있었지만 정상의 자리를 차지하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았다. 1951년, 1953년에 리그에서 우승을 달성하였고 1956년에도 챔피언이 되어 1956-57 시즌 유러피언컵(현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첫 출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준결승까지 진출하지만 피오렌티나에 밀려 결승까지는 도달하지 못하고 만다. 그 다음 시즌엔 8강에 진출하지만 맷 버스비맨유에 종합 4-5로 밀려 탈락하는데, 이 와중에 맨유가 뮌헨 참사를 당하였다. 그 후 1970-71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한 번 더 준결승에 오른 것 외에는 1991년까지 기대 이하의 성적만 거뒀다. 다만 1978-79 시즌 UEFA컵(현 UEFA 유로파 리그)에는 결승에 올랐다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 1-1, 0-1로 패하며 준우승을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1990-91 시즌, 이전까지 착실히 자국 내 유망주들을 수집하며 팀 빌딩을 진행해 온 그들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현재까지도 구단 역사상 최강의 스쿼드라고 일컬어지는 1991 유러피언 제너레이션이 드디어 구성됐기 때문이다. 유러피언컵에 출전한 즈베즈다는 류프코 페트로비치 감독을 필두로,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블라디미르 유고비치, 데얀 사비체비치의 미드필더 조합에 해당 시즌 발롱도르 2위를 차지한 다르코 판체프, 당대 동유럽 최고의 수비수로 불리던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까지 화려한 중원과 최고의 골 결정력을 지닌 스트라이커, 동유럽 역사상 최고의 수비수를 앞세워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명문 그라스호퍼를 종합 5-2, 2라운드에서 스코틀랜드의 명문 레인저스를 종합 4-1, 8강에서 동독의 강호 디나모 드레스덴을 종합 6-0[5], 그리고 준결승에서 독일의 명문이자 유프 하인케스가 이끌던 바이에른 뮌헨까지 종합 4-3으로 격파하면서 무패로 결승전까지 진출을 하였다. 그렇게 해서 만나게 된 결승 상대가 당대만 해도 유럽 최강의 선수진을 보유하고 있었던 마르세유. 빅 이어가 걸린 경기답게 치열한 접전이 연장전까지 이어졌다. 연장 후반까지 스코어는 끝내 0-0이었으며, 결국 승부차기 끝에 마르세유를 5-3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파일:red-star1.png


파일:external/www.novosti.rs/sp-bari.jpg

우승의 기쁨을 누리는 즈베즈다의 선수들

1991년에는 인터컨티넨탈컵(도요타컵)에서도 남미 챔피언 콜로-콜로(칠레)를 3-0으로 이겨 연이은 메이저 타이틀을 획득했다. 다만 유러피언 슈퍼컵에서는 1990-91 유러피언 컵위너스컵 우승팀인 맨유에 0-1로 패해 준우승했다.

그러나 몇 년간은 이어질 줄 알았던 전성기가 1년도 안 되어 갑자기 막이 내리게 된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큰 타격을 입게 된 것이다. 1991-92 시즌이 한창 진행되던 중에 터진 거라 정신적인 부담이 컸음에도 시즌은 계속 진행되었고, 그 여파인지 유러피언 컵에서 만치니삼프도리아에 밀려 아깝게 결승 진출에 실패하게 된다. 그리고 이 시즌을 끝으로 유고 리그는 1997-1998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 유럽 대항전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핵심 선수들은 해외로 떠났고, 유고 리그는 5개 리그로 분열되었으며 조국은 내전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인해 정치적, 경제적, 치안적으로 크게 휘청거렸다. 그리하여 오늘날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현실적으로 빅 이어는 고사하고 챔스 16강 진출조차 노리기 힘든 구단이 되었다.

전성기가 막을 내린 이후로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동네북이 된 지 오래이다. 전술했듯 유고슬라비아 리그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로 각각 찢어지면서 리그 규모가 큰 타격을 받았고, 내전으로 인해 90년대 중후반엔 유고 리그 상위권 팀들이 유럽 대항전에 참가할 수 없었다. 결국 핵심 선수들은 전부 해외로 뜨는 바람에 챔피언스 리그에선 32강만 가도 본전인 수준으로 추락,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똑같은 신세가 되었다 2000년대 들어 3위권 밖으로 밀려난 적은 없지만 라이벌 파르티잔이 리그를 독식해 앞서 있던 리그 우승 횟수를 거의 따라잡혔다.

2013-14 시즌엔 오랜만에 리그 우승을 거뒀으나, 리그 재정 문제 및 UEFA 규정 위반으로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이 박탈되어 2위인 라이벌 파르티잔이 대신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했다.

2014-15 시즌은 파르티잔에 이어 리그 2위를 기록했다. 컵 대회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다.

2017-18 시즌에 들어서 엄청난 임팩트를 보여주면서 리그 우승을 했지만 컵에서는 고배를 들이마셨다. 그리고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FC 크라스노다르를 승부차기로 간신히 꺾고 조별 리그까지 통과하였지만 32강전에서 CSKA 모스크바에 덜미를 잡혀 탈락하게 되었다.

2018-19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잘츠부르크를 상대로 1차전 홈에서 거의 잠근 전술로 0:0으로 비기고 원정에서 2:2로 비기며 원정 다득점으로 챔스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잘츠부르크가 지난 시즌 유로파 4강까지 간 전력임을 생각하면 좋은 성적이다. 물론 챔스에서는 사실상 최약체인데 하필 파리, 리버풀, 나폴리와 한 조가 되었다. 헌데 4차전 홈 경기에서 리버풀을 2-0으로 이기는 이변을 보여줬다. 당연하지만 원정에선 리버풀에 0-4으로 압도당했다. 리버풀을 이긴 거와 대조적으로 1승 1무 4패로 조 4위 꼴찌로 탈락했다.

2019-20 시즌에는 스위스의 영 보이스를 이기고 32강에 진출했다. B조에 들어가서 토트넘 홋스퍼 FC, FC 바이에른 뮌헨, 올림피아코스 FC와 맞붙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에서 조금 알려지게 되었는데 손흥민이 이 팀을 상대로 2경기 모두 2골씩 넣었기 때문이다. 토트넘에 원정에서 5-0, 안방에서 4-0으로 참패했고 1, 2위 다툼을 하는 뮌헨과 토트넘에 밀려 챔피언스 리그 16강은 거의 탈락한 상태. 그나마, 올림피아코스를 누르고 조별 리그 4차전에서 3위를 달리며 유로파 리그 진출 기회가 남아 있다. 그러나 마지막 6차전 올림피아코스 원정을 0-1로 지면서 역전당해 저번 시즌처럼 조 4위로 탈락.


3. 선수 명단[편집]




4. 최근 시즌[편집]



4.1. 2020-21 시즌[편집]


-유로파 리그 32강 탈락
-수페르리가 우승 (4시즌 연속 우승)
-세르비아 컵 우승

전 시즌 리그 우승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0-21 시즌 1차예선에 진출했다.[20-21시즌]
UCL 1차예선 상대는 지브롤터의 유로파 FC. 유로파를 5-0으로 대파하고 2차예선으로 향한다.[코로나-19]
UCL 2차예선 상대는 알바니아의 KF 티라나. 1-0으로 신승을 거두며 3차예선에 진출한다![코로나-19]
UCL 3차예선 상대는 키프로스의 강호 AC 오모니아. 1-1 혈투를 만들어낸 끝에 이어진 승부차기에서 2-4로 패배하면서 UEFA 유로파 리그/2020-21 시즌 플레이오프로 떨어진다.[코로나-19]
UEL 플레이오프 상대는 아르메니아의 FC 아라라트-아르메니아. 이 경기에서 2-1로 승리해내며 본선 진출에 성공한다! 이후 2포트를 부여받는다.

이어진 조추첨에서 L조에 뽑히며 벨기에의 KAA 헨트, 분데스리가의 TSG 1899 호펜하임, 체코의 FC 슬로반 리베레츠와 한 조가 된다. 1포트인 헨트보다 3포트인 호펜하임이 실질적 조 최강으로 꼽히며, 헨트와 즈베즈다가 2위 자리를 놓고 경쟁할 구도로 예상된다. 한편 리베레츠는 최근 유럽 대항전 경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기에 고전이 예상되지만, 헨트와 즈베즈다의 전력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기에 2위 경쟁 구도에 조심스럽게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1강 2중 1약의 구도.

다음은 유로파 리그 본선 48강 L조의 즈베즈다의 기록이다.
1차전에서 호펜하임에 0-2 패배를 당한다.
2차전에서 리베레츠를 5-1로 박살을 내며 다음 라운드가 중요해진다.
3차전, 헨트를 상대로 2-1로 승리하며 조 2위 싸움에 유리한 고지를 잡는다.
4차전에서 헨트를 상대로 2-0으로 잡아내며 조 2위를 굳히는 모양새.
5차전에서 호펜하임과 0-0 무승부를 가져가면서 32강 진출을 확정한다!
6차전 리베레츠에 0-0 무승부로 조별리그를 마무리한다.
총 6전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조 2위를 달성하며 32강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다!

유로파 리그 32강 상대로 세리에의 명문 AC 밀란을 만나버린다.[6]
1차전 홈에서 2-2 무승부를 거둔다. 2차전 원정에서도 1-1 무승부를 거두며 도합 3-3 무승부를 만들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밀리며 32강을 탈락한다.


한편 리그에서는 35승 3무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무패 우승을 기록했다.

세르비아 컵에서도 라이벌 파르티잔을 승부차기 접전 끝에 이기며 우승, 더블을 완성했다.


4.2. 2021-22 시즌[편집]


-유로파 리그 16강 탈락
-수페르리가 우승 (5시즌 연속 우승)
-세르비아 컵 우승

전 시즌 리그 우승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1-22 시즌 2차예선에 진출한다.[21-22시즌][7]
UCL 2차예선 상대는 카자흐스탄의 FC 카이라트. 1차전에서 1-2로 패하며 이변의 주인공이 되나 했으나, 2차전에서 5-0 대승을 거두며 도합 6-2 역전승으로 3차예선에 진출한다!
UCL 3차예선 상대는 몰도바의 FC 셰리프 티라스폴. 더 쉬운 상대가 되리라 예상됬지만... 1차전 홈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더니 2차전 원정에서 0-1 충격패를 당하며 도합 1-2 패배, 기어코 이변의 주인공(?)이 되며 UEFA 유로파 리그/2021-22 시즌 플레이오프로 떨어진다.
UEL 플레이오프 상대는 루마니아의 CFR 1907 클루지. 1차전 홈에서 4-0 대승, 2차전 원정에서 2-1 승리를 하며 도합 6-1로 가볍게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에 진출한다! 이후 2포트를 부여받는다.

이어진 조추첨에서 F조에 배정되며 포르투갈의 SC 브라가, 불가리아의 PFC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덴마크의 FC 미트윌란과 한 조가 된다.
브라가, 즈베즈다, 루도고레츠는 유럽 대항전 경험이 풍부한 팀들이고, 토너먼트 진출 경험도 꽤 있는 팀이다. 미트윌란 또한 무시할 수 있는 전력을 가진 팀은 아니지만 일단 브라가, 즈베즈다, 루도고레츠의 경쟁 가능성이 커 보인다. 3강1중 (혹은 3중1약) 구도.

다음은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F조에서의 즈베즈다의 기록이다.
1차전에서 브라가를 2-1로 잡아낸다!!
2차전에서 만난 루도고레츠는 1-0으로 꺾으며 조 1위로 16강 직행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차전, 미트윌란 원정에서 1-1 무승부로 승점을 가져온다.
4차전 홈에서 불러들인 미트윌란에 오히려 0-1로 패배하며 분위기가 묘해진다....?
5차전 홈으로 불러들인 루도고레츠를 또 1-0으로 꺾으면서 조 1위의 희망은 이어가고 있다.
5차전까지 상위 3팀이 서로 승점이 1점차로 살얼음판 순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그렇게 중요해진 6차전에서 브라가와 1-1로 비기며 3위인 미트윌란에게 1위의 기회가 왔!으나.... 미트윌란이 이미 탈락이 확정된 루도고레츠에게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순위가 유지되버린다.[8]

그렇게 총 6전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아슬아슬하게 조 1위를 기록, UEL 16강 직행에 성공한다!!

유로파 리그 16강 상대는 스코틀랜드의 강호 레인저스 FC. 1차전 원정에서 0-3 대패를 하고 만다. 2차전 홈에서 2-1로 승리했지만 도합 2-4, 뒤집기엔 너무 큰 점수차의 패배였고 그렇게 탈락한다.


한편 리그에서는, 이번 시즌부터 새롭게 바뀐 리그 8위까지 챔피언십 리그로 추가경기를 가진 리그에서 32승 4무 1패로 라이벌 파르티잔을 2점 차이로 제치고 우승을 차지하며 리그 5연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무패이던 전번 시즌과 달리 중위권 라딘크 원정에서 1-2로 패해 1경기를 졌다.

세르비아 컵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13위 노비 파자르를 8-0으로 아주 뭉개고그래도 4강전인데.. 결승에 진출하여 라이벌 파르티잔과 5월 25일 우승을 다툰다.
결승전에서 알렉산다르 카타이의 멀티골을 앞세워서 2-1로 파르티잔을 격파하고 세르비아컵에서 또 다시 우승, 2시즌 연속 더블을 완성한다.


4.3. 2022-23 시즌[편집]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탈락(조 4위)
-수페르리가 우승 (6시즌 연속 우승)
-세르비아 컵 우승

전 시즌 리그 우승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 3차예선에 진출했다.[22-23시즌]
UCL 3차예선 상대는 아르메니아의 FC 퓨니크 예레반. 1차전 홈에서 5-0으로 박살을 내버리고, 2차전 원정에서도 2-0 승리를 거두며 도합 7-0 승리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UCL 플레이오프 상대는 이스라엘의 거함 M. 하이파. 1차전 원정에서 2-3으로 패배했다. 2차전 홈에서 2-2 무승부를 캐며 도합 4-5 패배로 또 다시 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 본선 32강으로 떨어진다. 이후 1포트를 부여 받는다!

이어진 조추첨에서 H조에 배정되며 리그앙의 AS 모나코 FC,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 TC, 튀르키예의 트라브존스포르와 한 조를 이룬다.
리그 1의 강호 모나코가 즈베즈다보다 조금 더 우세할 것으로 보이지만, 즈베즈다 역시 전력이 만만치 않다. 튀르키예의 팀들은 역사적으로 먼 원정 경기로 고통을 준 만큼 4포트의 트라브존스포르조차 변수. 페렌츠바로시 또한 유럽 대항전에서 잔뼈가 굵은 팀이라 언제든지 2~3위 경쟁에는 뛰어들 가능성이 있다.

다음은 유로파 리그 본선 32강 H조의 즈베즈다의 기록이다.
1차전 홈에서 모나코에 0-1 패배를 당했다.
2차전 트라브존스포르 원정에서 충격의 1-2 패배를 당한다.
3차전 홈에서 페렌츠바로시를 4-1로 크게 꺾는다. 이 시합으로 인해 조 1위가 득실차 음수, 조 꼴찌가 오히려 득실차 양수인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다.
4차전 페렌츠바로시 원정에서 1-2로 패배한다.
5차전 홈에서 마주한 트라브존소포르에게 2-1로 승리, 이로써 1위를 확정한 페렌츠바로시를 제외한 3팀의 처절한 순위싸움은 마지막 날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상당히 중요해진 6차전, 모나코 원정에서 1-4로 대패하며 승리한 모나코는 유로파 PO로, 즈베즈다는 아예 탈락으로 마치게 되었다.

총 6전 2승 4패 승점 6점으로 조 4위로 탈락하고 만다.


한편 리그에서는 19라운드 기준 17승 2무 무패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라이벌 베오그라드와 10점차로 앞선 상황.
최종 37전 30승 7무 0패 승점 97점으로 2시즌만에 다시 무패우승을 기록한다. 6시즌 연속 리그 우승.

세르비아 컵에서도 3시즌 연속 우승을 차지하는데 성공한다.
이로써 3시즌 연속 더블을 달성한다.

4.4. 2023-24 시즌[편집]


-챔피언스리그 본선 32강 진출(진행중)
-리그 진행중
-세르비아컵 진행중

전 시즌 리그 우승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3-24 시즌 본선 32강에 직행하였다.[23-24시즌]

이후 3포트에 배정되어 이어진 조추첨에서 G조에 배정되는데, 프리미어리그의 강자이자 전 시즌 트레블의 주인공 맨체스터 시티 FC, 분데스리가의 RB 라이프치히, 스위스의 신흥강호 BSC 영 보이즈를 만나게 되었다.

챔피언스리그 디펜딩 챔피언인 맨시티를 견제할 만한 체급을 가진 팀이 없고, 라이프치히는 맨시티에게 상성 수준으로 털려왔으나 그걸 제외해도 나머지 두 팀은 7위권 밖의 리그에서 온 팀들인지라 변수가 없는 한 라이프치히도 순조롭게 16강에 합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나머지 즈베즈다와 영 보이즈 두 팀이 조 3위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다투는 1강 1중 2약 구도로 예상된다.

2023년 9월 5일, 올림피아코스 FC 소속의 황인범을 구단 최고 이적료인 550만유로에 영입하였다. 이로써 황인범은 팀의 첫 한국인 선수가 되었다.

5.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스타(Star)[편집]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창단 직후 50여 년의 역사 동안 활약한 5명과 1991 유러피언 제너레이션에게 각각 별[9]라는 칭호를 부여하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zurnal.rs/unnamed(4).jpg}}}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창립 멤버이자 초대 주장으로서 팀의 첫 번째 전성기를 연 인물.

지능적이고 창의적이며 자신감 넘치는 플레이로 인기를 얻었으며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의 전성기를 함께한 선수. 1996년에는 부산 대우 로얄즈의 감독을 지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longballfootball.files.wordpress.com/dzajic.jpg}}} ||
츠르베나 즈베즈다 역사상 통산 득점 1위, 통산 경기 출전 1위.

  • 네 번째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별: 블라디미르 페트로비치 "피존"( Vladimir Petrović "Pižon")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LYszQJ.jpg}}} ||
츠르베나 즈베즈다 주장으로서 최초로 유럽 대항전 결승(1978-79 UEFA컵)으로 팀을 이끌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1.bp.blogspot.com/Dragan+Pixie+Stojkovic+Panini+Etoile+Rouge+de+Belgrade+1990.png}}} ||

  • 여섯 번째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별들: 1991년 유러피언컵 우승 세대(The 1991 European Cup Winner Generation)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1.bp.blogspot.com/Estrela+Vermelha+1991ok.png}}} ||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처음으로 빅 이어를 들었던 영광의 시절. 등번호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No. 2 블라디미르 유고비치, No. 3 슬로보단 마로비치, No. 4 레픽 사바나조비치, No. 5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No. 6 일리야 나이도스키, No. 7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No. 8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No. 9 다르코 판체프, No. 10 데얀 사비체비치, No. 11 드라기샤 비니치. 그 외에 골키퍼 No. 1 스테판 스토야노비치가 있다.


6. 서포터즈[편집]


델리예(Delije)라는 이름이 있다. 세르비아어로 '영웅들'이란 뜻.

세르비아 국내에서는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한다. 세르비아의 축구 팬 중 절반 정도가 츠르베나 즈베즈다를 응원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같은 베오그라드를 연고지로 하는 라이벌인 FK 파르티잔과의 더비 매치는 특히 고조를 보이곤 하는데, 2009년 4월에는 파르티잔과의 경기 도중 서포터가 경찰과 충돌하여 95명이 체포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내전, 보스니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마피아 젤리코 라즈나토비치 "아르칸"(Жељко Ражнатовић Аркан, 1952~2000)이 이 서포터 그룹을 장악하고 준군사집단으로 키워놔 내전에 참여했는데, 이 당시 이들의 전술인 '크로아티아 도시에 잠입, 로켓포 폭격 후 빠지기'는 당시 크로아티아계들이 이를 갈기에 충분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벌인 약탈, 학살, 강간은 하도 사례가 많아 정확한 조사, 집계가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들이 벌인 대학살극의 실상은 스레브레니차 학살 문서 참조. 사라예보 시민들을 무차별 저격하고, 보스니아계 마을을 불질러 초토화시키는 끔찍한 일들을 아무렇지도 않게 자행했다. 이들은 이걸 굉장히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하지만 우습게도 이 팀 구단주가 되려고 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1996년에 베오그라드에 연고지를 둔 FK 오빌리치(FK Obilić, 이름부터가 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 전사한 기사인 오빌리치에서 따옴) 구단주가 되면서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테러를 가했다. 이로서 그를 지지하던 극우 즈베즈다 서포터들도 아르칸은 오로지 본인의 이득을 위해 우리를 써먹은 것이었다고 치를 떨게 된다. 이제 알았냐? 아르칸은 오빌리치 서포터들에게 츠르베나 즈베즈다나 파르티잔의 서포터들을 총기로 쏴버리라는 엽기적 명령까지 내렸으며, 심지어 상대방 팀 주전들을 납치하여 감금하기까지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C5%BDeljko_Ra%C5%BEnatovi%C4%87.jpg

아기 호랑이를 들고 있는 사람이 아르칸. 저 호랑이는 그가 애완용으로 키우던 호랑이였다고. 보다시피 이런 게 구단주이고, 위에 복면 쓴 것들이 나중에 서포터라는 이름으로 행패를 부렸다. 세르비아 극우 정치인으로서 아르칸은 코소보 전쟁 당시 알바니아 여성들을 강간하라는 명령까지 휘하 민병대에게 내려서 코소보의 강간마 히틀러라는 악명까지 얻었으나, 세르비아 극우들에게는 인기가 대단했다. 그리고 정적들에게 훌리건, 아니 부하들을 고용하여 테러를 가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테러 및 상대 주전 납치, 감금 같은 화려한 노력으로 오빌리치는 1997~98 시즌 세르비아 리그(당시 이름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도 차지하며 98-99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바이에른 뮌헨에겐 이런 방법을 쓸 수도 없어서인지 안방에서 1-1로 비기고 원정에서 0-4로 패해 탈락했다.그리고 이런 범법 행위들이 드러나서 오빌리치에 대한 승점 삭감 및 벌금형이 내려졌고, 팀은 리그에서 중하위로 밀리기 시작했다.

아르칸은 2000년 1월 15일 베오그라드의 5성급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23세의 도브로사브 가브리치가 쏜 총에 눈과 얼굴을 맞고 사망했다. 가브리치는 뒤에서 아르칸에게 접근해 CZ-99 권총을 연사했으며, 총을 맞은 아르칸은 현장에서 혼수상태에 빠졌고 가브리치는 아르칸을 살해한 후 권총을 추가로 난사해 아르칸의 친구 밀렌코 만디치와 드라간 가리치 형사를 살해했다. 현장에 있던 보디가드였던 즈본코 마테오비치가 가브리치를 쏘아 중상을 입힌 뒤 아르칸을 차에 태웠지만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사망했다. 가브리치는 징역 19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검찰의 상고로 대법원에서 두 공범과 함께 각각 징역 30년 형을 받았지만 남아공으로 달아났고 20년 지난 지금까지도 남아공에서 살면서 송환을 요구하는 세르비아 측 요구를 무시 중인 남아공과 서로 재판 중이다.


파일:external/photos1.blogger.com/2657-1-1.2.jpg

아내인 체차. 1973년생으로 아르칸과 나이 차가 21살이나 되었다.
한편 아르칸이 죽자 아르칸의 아내였던 스베틀라나 "체차" 라즈나토비치(Светлана Цеца Ражнатовић)가 남편이 하던 짓거리를 그대로 하며 구단주가 되었다. 체차는 1995년 당시 43살이었던 아르칸과 결혼한 이후, 상당한 재력을 갖춘 아르칸을 등에 업고 부정 축재를 저질렀다. 하지만 총에 맞아 살해당한 남편과 달리 구단 운영 능력은 아주 형편없어서,[10] 오빌리치는 2005년부터 '강등-강등-강등-강등-잔류-강등-강등' 테크를 타고 3부 리그까지 추락하면서 몰락했다. 게다가 자금 횡령 및 이사들과의 대립까지 일어났고, 아르칸에 충성을 다하던 서포터들조차 무능에 치를 떨며 그녀를 배제하여 결국 체차는 구단주에서 반강제로 쫓겨난 뒤 횡령 혐의로 쇠고랑을 찼다.[11] 다른 구단주를 맞이한 오빌리치는 2012~13 시즌, 1부 리그로 올라왔으나 다음 시즌, 꼴찌로 광속 강등당하고 2부 리그에서 맴돌고 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 서포터들은 극단적인 극우가 아닌 한, 아르칸을 비난하고 싫어한다. 오빌리치 구단주가 되면서 서포터라고 하고 극우 민병대를 부하로 부리며 츠르베나 서포터들을 쏘거나 구타하던 작자이니 츠르베나 역사에서도 이가 갈리는 짓을 했기 때문이다. 바로 97-98 시즌에도 오빌리치 구단 막장 짓으로 단 승점 2점 차로 츠르베나 즈베즈다(84점)는 오빌리치(86점)에게 리그 우승을 빼앗겨 버렸으니 오히려 극단적인 서포터들은 원래 우승팀은 츠르베나인데 더러운 수법으로 우승을 훔쳐간 아르칸이 어떻게 츠르베나의 자랑이냐고 분노하고 혐오하게 만들었다. 참고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가 사라지고 2020년까지 츠르베나와 파르티잔이 우승을 독점한 가운데, 딱 1번 다른 팀 우승이 바로 이 오빌리치의 97~98 시즌 우승뿐인데 이렇게 불미스러운 수단으로 우승했던 것이다.




2019/20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즈베즈다가 BSC 영 보이즈를 꺾고 본선에 진출하자 극성 서포터즈는 본선 진출 기념으로 즈베즈다 시내에서 홍염을 터트리며 탱크[* 모델은 구형 T-54실제 유고 내전 때 동원된 탱크다. 다만 세르비아 측에서는 실제 탱크가 아닌 복제품이며, 폭발물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퍼레이드를 선보여서 논란이 되었다. 이에 유고 내전 당시 즈베즈다 서포터의 테러로 피해를 입은 크로아티아 측에서는 큰 충격을 받아 명백한 도발 행위로 간주해 UEFA에 제재를 촉구하기도 했다. 기사 뭐 상술한 대로 그렇게 올라간 조별 리그에서 4위로 광탈했고 토트넘에겐 5-0, 4-0으로 참패하면서 손흥민이 2경기 모두 2골씩 넣으며 한국에서 손흥민에게 골 먹힌 팀 정도로 알려진 팀이었다가 2023-24 시즌에 황인범이 이적하면서 한국에도 알려지게 되었다.


7. 기타[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008b><width=14%> '''{{{#fff 순서}}}''' ||<-2><width=40%> '''[[UEFA 챔피언스 리그 위너스|{{{#fff 우승}}}]]''' ||<width=14%> '''[[국가|{{{#fff 국가}}}]]''' ||<width=16%> '''{{{#fff 첫 우승연도}}}''' ||<width=16%> '''{{{#fff 우승 횟수}}}''' ||
|| 1 || [[레알 마드리드 CF|[[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height=60]]]] ||<colbgcolor=#00008b> '''[[레알 마드리드 CF|{{{#fff 레알 마드리드 CF}}}]]''' ||<colbgcolor=#eeeeef,#191919>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1956년]] || [[유러피언컵/1955-56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56-57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57-58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58-59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59-60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65-66 시즌|'''{{{#ccac00 ★}}}''']][[UEFA 챔피언스 리그/1997-98 시즌|'''{{{#00008b ★}}}''']][br][[UEFA 챔피언스 리그/1999-2000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1-02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3-14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5-16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6-17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7-18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21-22 시즌|'''{{{#00008b ★}}}''']][br]'''14회''' ||
|| 2 || [[SL 벤피카|[[파일:SL 벤피카 로고.svg|height=60]]]] || '''[[SL 벤피카|{{{#fff SL 벤피카}}}]]'''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40]]]] || [[1961년]] || [[유러피언컵/1960-61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61-62 시즌|'''{{{#a9a9a9 ★}}}''']][br]2회 ||
|| 3 || [[AC 밀란|[[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60]]]] || '''[[AC 밀란|{{{#fff AC 밀란}}}]]''' || [[이탈리아 축구 연맹|[[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1963년]] || [[유러피언컵/1962-63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68-69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88-89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89-90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1993-94 시즌|'''{{{#ccac00 ★}}}''']][[UEFA 챔피언스 리그/2002-03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6-07 시즌|'''{{{#00008b ★}}}''']][br]'''7회''' ||
|| 4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height=60]]]]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fff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이탈리아 축구 연맹|[[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1964년]] || [[유러피언컵/1963-64 시즌|'''{{{#a9a9a9 ★}}}''']][[유러피언컵/1964-65 시즌|'''{{{#a9a9a9 ★}}}''']][[UEFA 챔피언스 리그/2009-10 시즌|'''{{{#00008b ★}}}''']][br]3회 ||
|| 5 || [[셀틱 FC|[[파일:셀틱 FC 로고.svg|height=60]]]] || '''[[셀틱 FC|{{{#fff 셀틱 FC}}}]]''' ||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40]]]] || [[1967년]] || [[유러피언컵/1966-67 시즌|'''{{{#00008b ★}}}''']][br]1회 ||
|| 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6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fff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1968년]] || [[유러피언컵/1967-68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1998-99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7-08 시즌|'''{{{#00008b ★}}}''']][br]3회 ||
|| 7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height=60]]]]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fff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1970년]] || [[유러피언컵/1969-70 시즌|'''{{{#00008b ★}}}''']][br]1회 ||
|| 8 || [[AFC 아약스|[[파일:AFC 아약스 로고.svg|height=60]]]] || '''[[AFC 아약스|{{{#fff AFC 아약스}}}]]'''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1971년]] || [[유러피언컵/1970-71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1-72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2-73 시즌|'''{{{#ccac00 ★}}}''']][[UEFA 챔피언스 리그/1994-95 시즌|'''{{{#00008b ★}}}''']][br]'''4회''' ||
|| 9 || [[FC 바이에른 뮌헨|[[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height=60]]]] || '''[[FC 바이에른 뮌헨|{{{#fff FC 바이에른 뮌헨}}}]]''' || [[독일 축구 연맹|[[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1974년]] || [[유러피언컵/1973-74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4-75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5-76 시즌|'''{{{#ccac00 ★}}}''']][[UEFA 챔피언스 리그/2000-01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2-13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9-20 시즌|'''{{{#00008b ★}}}''']][br]'''6회''' ||
|| 10 || [[리버풀 FC|[[파일:리버풀 FC 로고.svg|height=60]]]] || '''[[리버풀 FC|{{{#fff 리버풀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1977년]] || [[유러피언컵/1976-77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7-78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80-81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83-84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4-05 시즌|'''{{{#ccac00 ★}}}''']][[UEFA 챔피언스 리그/2018-19 시즌|'''{{{#00008b ★}}}''']][br]'''6회''' ||
|| 11 || [[노팅엄 포레스트 FC|[[파일:노팅엄 포레스트 FC 로고.svg|height=60]]]] || '''[[노팅엄 포레스트 FC|{{{#fff 노팅엄 포레스트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1979년]] || [[유러피언컵/1978-79 시즌|'''{{{#00008b ★}}}''']][[유러피언컵/1979-80 시즌|'''{{{#00008b ★}}}''']][br]2회 ||
|| 12 || [[아스톤 빌라 FC|[[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height=60]]]] || '''[[아스톤 빌라 FC|{{{#fff 아스톤 빌라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1982년]] || [[유러피언컵/1981-82 시즌|'''{{{#00008b ★}}}''']][br]1회 ||
|| 13 || [[함부르크 SV|[[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height=60]]]] || '''[[함부르크 SV|{{{#fff 함부르크 SV}}}]]''' || [[독일 축구 연맹|[[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1983년]] || [[유러피언컵/1982-83 시즌|'''{{{#00008b ★}}}''']][br]1회 ||
|| 14 || [[유벤투스 FC|[[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height=60]]]] || '''[[유벤투스 FC|{{{#fff 유벤투스 FC}}}]]''' || [[이탈리아 축구 연맹|[[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40]]]] || [[1985년]] || [[유러피언컵/1984-85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1995-96 시즌|'''{{{#00008b ★}}}''']][br]2회 ||
||<|2> 15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svg|height=60]]]] ||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fff 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2>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40]]]] ||<|2> [[1986년]] ||<|2> [[유러피언컵/1985-86 시즌|'''{{{#00008b ★}}}''']][br]1회 ||
|| [[FCSB|[[파일:FCSB 로고.svg|height=60]]]] || '''[[FCSB|{{{#fff FCSB}}}]]''' ||
|| 16 || [[FC 포르투|[[파일:FC 포르투 로고.svg|height=60]]]] || '''[[FC 포르투|{{{#fff FC 포르투}}}]]'''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40]]]] || [[1987년]] || [[유러피언컵/1986-87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3-04 시즌|'''{{{#00008b ★}}}''']][br]2회 ||
|| 17 || [[PSV 에인트호번|[[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height=60]]]] || '''[[PSV 에인트호번|{{{#fff PSV 에인트호번}}}]]'''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40]]]] || [[1988년]] || [[유러피언컵/1987-88 시즌|'''{{{#00008b ★}}}''']][br]1회 ||
|| 18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height=60]]]]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fff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40]]]] || [[1991년]] || [[유러피언컵/1990-91 시즌|'''{{{#00008b ★}}}''']][br]1회 ||
|| 19 || [[FC 바르셀로나|[[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height=60]]]] || '''[[FC 바르셀로나|{{{#fff FC 바르셀로나}}}]]''' ||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40]]]] || [[1992년]] || [[유러피언컵/1991-92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5-06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08-09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0-11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14-15 시즌|'''{{{#00008b ★}}}''']][br]'''5회''' ||
|| 20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height=60]]]]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fff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 [[프랑스 축구 연맹|[[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40]]]] || [[1993년]] || [[UEFA 챔피언스 리그/1992-93 시즌|'''{{{#00008b ★}}}''']][br]1회 ||
|| 21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height=6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fff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독일 축구 연맹|[[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 [[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결승전|1997년]] || [[UEFA 챔피언스 리그/1996-97 시즌|'''{{{#00008b ★}}}''']][br]1회 ||
|| 22 || [[첼시 FC|[[파일:첼시 FC 로고.svg|height=60]]]] || '''[[첼시 FC|{{{#fff 첼시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UEFA 챔피언스 리그/2011-12 시즌/결승전|2012년]] || [[UEFA 챔피언스 리그/2011-12 시즌|'''{{{#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2020-21 시즌|'''{{{#00008b ★}}}''']][br]2회 ||
|| 23 || [[맨체스터 시티 FC|[[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height=60]]]] || '''[[맨체스터 시티 FC|{{{#fff 맨체스터 시티 FC}}}]]''' || [[축구협회(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40]]]] ||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결승전|2023년]] ||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00008b ★}}}''']][br]1회 ||
||<-6><#fff,#191919> {{{-2 ※ 우승 횟수에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구단은 [[UEFA 배지 오브 오너]]를 부착할 수 있는 구단이다.[br]'''{{{#ccac00 ★}}}'''은 우승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게 된 시즌이며 '''{{{#a9a9a9 ★}}}'''은 오리지널 유러피언컵 트로피를 들어올렸던 시즌이다.}}}[br][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관련 문서)] ||


파일: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png
1990-91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파일:RedStarBelgrade.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PartizanBelgrade.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ProleterZrenjanin.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FK_Vojvodina.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FK_Rad_Beograd.svg.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1200px-Radnički_Niš.svg.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FK_Zemun.svg.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1200px-Spartak_Subotica.svg.pn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DinamoZagreb.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HajdukSplit.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NK-Osijek-Logo.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HNK_Rijeka_logo.pn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Borac_Banja_Luka.pn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Sarajevo.pn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FK_Velež_logo.gif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Zeljeznicar.pn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FK_Sloboda_Tuzla_Centenary_Logo.svg.p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c2327; font-size: 0.8em;"
투즐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OlimpijaLjubljana.p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53f; font-size: 0.8em;"
올림피야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BudućnostPodgorica.pn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4190; font-size: 0.8em;"
부두치노스트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0:55:38에 나무위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델리예(Delije)'라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공식 서포터즈를 위해 12번을 영구결번.[3] 농구 팀 역시 세르비아의 강호로 KK 파르티잔과 라이벌리를 형성 중이다.[4] (유고슬라비아 1부리그 우승 19회+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리그 우승 5회+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우승 7회=31회/별 3개)[5] 디나모 드레스덴과의 1차전은 3-0 승리, 2차전에선 78분경까지 츠르베나 즈베즈다의 2-1 리드로 가다가 디나모 드레스덴 팬들의 난동으로 인해 경기는 중단되고 UEFA는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3-0 몰수승을 선언한다.[20-21시즌] 시작 기준, UEFA 19위인 세르비아는 리그 1위에게 UCL 1차예선 진출권을, 국내컵 우승팀에게 UEL 2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2,3위에게는 UEL 1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코로나-19] A B C 영향으로 이번 시즌은 UEL의 모든 예선과 UCL PO를 제외한 모든 예선은 단판으로 치러진다.[6] 참고로 이 시즌 유로파 리그는 조 추첨일을 기준으로 유럽 5대 리그를 포함한 14개 클럽들이 자국 리그 1위를 달리고 있는 상황이었고, 이에 진짜 챔스라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21-22시즌] 시작 기준, UEFA 19위인 세르비아는 리그 1위에게 UCL 1차예선 진출권을, 국내컵 우승팀과 리그 2,3위에게는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7] 첼시가 2020-21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팀이 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팀 중 가장 리그 순위가 높은 팀인 베식타스가 본선 조별리그로 직행한다. 베식타스의 빈 자리는 덴마크 리그 우승팀인 브뢴뷔가 채웠으며, 3차 예선에는 체코 리그 우승팀 슬라비아 프라하가, 2차 예선에는 그리스와 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인 올림피아코스,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직행하게 되었다.[8] 만약 미트윌란이 한골만 넣었어도 즈베즈다는 조 2위로 밀리며 16강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했을 것이다.[22-23시즌] 시작 기준, UEFA 16위인 세르비아는 리그 1위에게 UCL 3차예선 진출권을, 국내컵 우승팀은 UEL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2,3위에게는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23-24시즌] 시작 기준, UEFA 11위인 세르비아는 리그 1위에게 UCL 본선 직행권을, 리그 2위에게 UCL 3차예선 진출권을, 국내컵 우승팀에게 UEL PO 진출권을, 리그 3위에게 UECL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4위에게는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졌다.[9] 세르비아어로 즈베즈다(звезда). 러시아어에도 동일한 뜻을 가진 동일한 단어가 있다.[10] 가수 시절 연예 활동에만 전념하며 이를 통해서만 돈을 벌던 사람이었기에 축구팀 구단 운영이나 나머지 사업 경영에 관해서는 경험이나 돈 버는 능력이 전혀 없었다.[11] 나중에 석방되었다.[12] AS 모나코보루시아 도르트문트,맨체스터 시티가 각각 2004년, 2013년, 2021년 챔스 결승에서 푸마 저지를 사용했지만 준우승에 그쳤다.[13] 파르티잔의 경우 과거 인천 유나이티드 FC와 자매결연 관계였고, 인천에서 김치우 선수를 임대 영입해 쏠쏠히 활용했던 경험이 있다.

관련 문서